[re] 질문) SKY 90 / SCT 9.25 사진촬영 ?

by 이준희 posted May 12, 200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신병석님 안녕하세요? 이준희입니다.
일전에 보내 드린 아이피스는 잘 쓰시고 계시는지요?

제가 SKY-90 으로 사진을 찍어 본 경험이 있어 약간 답변을 드릴까 합니다.  디지털 SLR 이 아니라 필름 카메라여서 조금 다르긴 하겠지만요.

우선 SKY-90 과 C9.25 중에서는 SKY-90 이 찍기가 훨씬 수월합니다. C9.25 와 같은 주경이동 방식의 SCT 는 장시간 촬영 도중에 미러가 조금씩 처져서 별이 흐르므로 오프 액시스 가이더를 써야 하는데 가이드하기가 장난이 아니고, 초점거리가 길어서 리듀서를 써야 합니다.

SKY-90 으로 찍을 때도 리듀서-플랫트너가 필수입니다. NADA 멤버 한 분이 SKY-90 에 ST-2000 (300d 보다 CCD 면적이 훨씬 작은) 를 리듀서 없이 달아서 찍어 봤는데 주변부 별은 전부 갈매기가 되어 날아다닌다고 하더군요.

리듀서 달면 초점거리가 405mm 가 되는데 300d 에 달면 35mm 필름 카메라 환산 650mm 정도의 화각이 됩니다. 이 정도면 작은 은하나 구상성단을 제외하고 상당히 많은 대상을 찍을 수 있는 적당한 화각입니다.

가이드는... EM200 이라면 이론상으로 필름인 경우는 500mm 까지 노터치가 가능합니다.  실제로 제가 필름 카메라로 리듀서 끼우고 찍어 보니 극축을 잘 맞추면 30분까지도 노터치 촬영이 되었습니다.

D-SLR 은 픽셀 사이즈가 필름보다 작아 (ASA 400 필름 25미크론, 300d 7 미크론) 별이 흐를 수도 있으나, 제가 300d 와 픽셀 사이즈가 비슷한 ST-237 (7.4미크론) 로 노터치 촬영을 해 본 결과 적위가 높은 대상은 3분 정도까지도 노터치로 가능했습니다.  어차피 DSLR 은 노이즈 문제 때문에 노출을 오래 줄 수 없고 3~4분 정도의 노출로 여러장을 찍어 합성해야 하기 때문에 노터치로도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봅니다.

가이드 장비를 달아서 찍으려면 가이드 마운트, 가이드 망원경, 가이드용 십자선 아이피스, 주경과 가이드경을 올릴 멀티플레이트 등의 장비가 추가로 필요한데 가격도 비싸고 거추장스러우니 일단 노터치로 찍어 보시고 별이 많이 흐른다면 그 때 가이드 장비를 고민하셔도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300d 에 쓸 리모트 릴리즈가 필요합니다. 아래 박성래님 글에서도 나왔지만 300d 용 릴리즈는 쓸모가 없고 10d 용 TC-803N 이란 비싼 릴리즈를 사서 개조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  ( https://astronet.co.kr/cgi-bin/zboard.php?id=slr_dica&no=32 참조 )

마지막으로 하늘이 아주 좋은 곳에서 찍는다면 몰라도 근교에 광해가 좀 있는 곳에서 찍는다면 광해 필터가 필요합니다.  NADA 멤버분들도 많이 쓰시는 일본 IDAS 사의 LPS-P2 필터가 좋습니다.  SKY-90 의 플랫트너 리듀서 뭉치 안에 48mm 필터 나사산이 있으니 48mm 짜리로 구입하시면 될 것입니다.  없어도 찍을 수는 있으나 결과물에 꽤 차이가 난다고 합니다.


>안녕하십니까..
>
>안시관측만 주로 하다가
>캐논 300D를 마련하게 되어서 천체사진도 함 찍어볼까하고 생각중입니다.. ( 솔직히 카메라쪽은 문외한이구요..)
>
>장비는 SKY 90 / SCT 9.25가 있구요..
>가대는 EM200 Temma 2 Jr...  
>
>현재 생각으로는 SCT 9.25와 SKY90을 같이 올려서
>이중 하나는 카메라로 천체사진을, 하나는 안시를 할까 하는데요..
>조금 욕심인가요??
>
>굳이 망원경이 없어도 얼마든지 멋있는 사진을 찍을수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가지고 있는 망원경을 활용하여서 함 찍어보고 싶은 생각이 듭니다.
>
>일단 찍어보면서 동호회분께 하나씩 배워볼까하는 하는 생각입니다만..
>
>망원경을 이용하여 찍는데는 잡다한 부가장비가 많이 필요하더라구요..
>일단 무슨 장비가 더 필요한지 감이 않잡히네요.. .
>
>뭘 찍고 싶은지 대상이 결정되어야 길이 보이겠지만요.. .
>일단 위의 장비로 활용하여 찍을 려면 더 필요한것이 무엇이 있을 까요?
>
>예를 들면 SKY 90을 쓸려면 플레트너를 꼭 써야한다는데...  등등.. ...
>
>질문이 너무 기초적이거나 광범위한가요?
>
>추가로 카메라 렌즈는 기본적으로 딸려오는 EF S 18-55mm 이던데요..
>천체사진용으로 딱 하나만  추천하신다면 어떤게 가장 유용할까요?
>(바로 아래 써놓으셨지만..  위의 장비를 감안하여 딱 하나하면? )
>
>* 게시판에서 여러가지 정보를 뒤져보고 있습니다만..
>아직 모르는게 많아서인지 어렵게 느껴지네요.... ..
>
>계속 뒤적뒤적하다가 답을 찾으면 .. 지우겠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