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04.04.18 02:54

몇가지 질문.

(*.75.216.175) 조회 수 1842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으음; 계속 인터넷을 돌아다니고 있는데 하나하나씩 모르는것이

많이 눈에 뛰네요.

"달빛에 사람 그림자가 생긴다"  라는 말이 무슨 말이고 사실인지~?

그리고 촬영을 할때 촬영기는 핸드폰 사진기부터 디카도 되는걸로

알고있는데 맞나요~?

촬영하신 사진들 보면 노출이라고 있는데 노출의 뜻좀 가르쳐주세요^^

부탁합니다~

  • 조영우 2004.04.18 03:14 (*.70.36.8)
    우와~ 제가 답변해드릴 게 있어서 무척 기쁩니다. ^^ "달빛에 사람 그림자가 생긴다" 이건 "햇빛에 사람 그림자가 생긴다"와 다를 바가 없군요. 낮에 햇빛 때문에 사람 그림자가 생기 듯이 밤에는 달빛 때문에 사람 그림자가 생기는 거죠. 달빛이 그만큼 밝다는 뜻입니다. 도시에서만 사셔서 경험을 못해보셨나 모르겠는데.. 밤만 되면 온통 깜깜해지는 시골에서 자란 저에겐 무척 친숙한 현상인 걸요...
  • 조영우 2004.04.18 03:21 (*.70.36.8)
    '노출'이라는 거요... 사진기는 빛이 들어오지 못하게 만든 어둠상자입니다. 그 속에 필름을 감추어 두었죠. 어둠상자에 해당하는 게 사진기의 몸통입니다. 필름은 빛 에너지에 닿으면 그 빛을 기록할 수 있는 물질로 되어 있습니다.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에는 CCD 칩이 그런 역할을 하는 거구요. 필름이나 CCD 칩은 깜깜한 어둠 상자 속에 들어 있는데, 우리 앞의 사물의 모습을 담으려면 필름이나 CCD를 그 사물을 향해 잠시 드러내야 되겠죠. 그런 일을 하는 게 셔터입니다. 셔터는 어둠 상자의 일부이고 사진기의 앞에 툭 튀어나와 있는 "렌즈"라는 것의 뒤에 있습니다. 우리가 셔터 스위치를 누르면 순간적으로 셔터가 열렸다가 닫힙니다. 셔텨가 열렸다가 닫히는 시간 동안 빛이 필름이나 CCD에 들어가서 사물의 모습을 기록하는 것이빈다. 그 시간을 노출 시간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셔터를 열었다가 닫는 것을 "노출"이라고 하구요. 만약 어두운 물체라면 더 오래동안 빛을 모아야만 그 모습을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노출 시간을 더 길게 주어야 합니다. 천체 촬영을 할 때 밤하늘의 천체는 대개 아주 어둡기 때문에 노출 시간을 길게 주어야 하죠. 이것이 천체 촬영과 일반 촬영의 가장 큰 차이점 중의 하나입니다. 궁금증이 해결되셔쓴지...
  • 조영우 2004.04.18 03:23 (*.70.36.8)
    필름이나 CCD 칩, 광전자 증배관 등과 같이 빛을 검출해서 기록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들을 검출기라고 합니다. 핸드폰 카메라나 디지털 카메라는 공통적으로 CCD 칩을 내장하고 있어서 빛을 검출하고 기록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천체 관측을 하는 데 있어서 아무 거라도 상관 없겠지요. 문제가 되는 것은 과연 핸드폰 카메라를 망원경에 어떻게 결합해야 하는 것이 되겠죠. 그것도 궁리하면 묘안이 있으리라고 봅니다^^
  • 김현준 2004.04.18 19:58 (*.75.216.175)
    알았던 사실이지만 "달빛에 사람 그림자가 생긴다" 이말의 요점(달에 사람그림자가 생긴다-_-;;;)을 제가 너무 어렵게만 생각했나 봅니다^^; 답변 고맙습니다~!! 노출이란 의미를 몰라서 답답했는데 이제야좀 알겟어요. 음 그런데 노출은 자동인가요 수동인가요? 노출이 많이필요하면 셔터를 좀더 오래 누르고있어야하는건지? 으음 촬영은 망원경의 보는곳에 사진기를 대고 찍는것이 아닌가요~? 저는 핸드폰사진기도 망원경에 핸드폰을 대고 찍는줄 알고있습니다;
  • 조영우 2004.04.19 21:50 (*.178.128.130)
    노출은 카메라 기술이 발전하면서 자동 쪽으로 옮아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독특한 효과를 얻고 싶거나 천체 사진 촬영과 같은 장기 노출이 필요한 경우에는 수동 노출이 필수적입니다. 최근 나오는 카메라 중에는 수동 기능이 부족한 것이 많으므로 카메라 구입하실 때 이런 점도 보셔야겠네요. 수동 노출을 좀 더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B 셔터나 T 셔터 기능도 있습니다. 즉, 셔터를 한번 누르면 노출이 시작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노출을 끝내는 방식도 있고, 셔터를 누르고 있는 동안만 노출이 이루어지는 방식도 있죠. 앞엣 것이 B 셔터이고 뒤엣 것이 T 셔터 같은데.. 확실히 기억 안나네요 ㅡ.ㅡ 천체 사진 촬영한지 하도 오래 되서요... 또 셔터 누를 때 카메라가 흔들려서 이미지가 안좋아지는 것을 막기 위해 케이블 릴리즈라는 것을 사용합니다. 카메라 셔터에 있는 홈에 케이블을 꽂고 케이블의 다른 쪽 끝에서 버튼을 누르고 노브를 돌리면서 노출을 제어하는 거죠... 망원경 보는 곳에 사진기를 대고 찍는 경우엔 광축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광축이란 망원경의 대물렌즈 또는 대물 거울의 수직한 방향인데요.. 카메라의 검출기(필름이나 CCD)를 이 광축에 수직하게 대주어야 하거든요. 손도 떨릴 수 있겠죠..
  • 김현준 2004.04.20 01:10 (*.75.216.147)
    답변 정말 고맙습니다^-^ 덕분에 많은것을 알게됐어요~ 담에도 잘부탁해요 ㅎㅎ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609
322 장비선택,, 문의드립니다. 10 김완기 2004.11.09 3055
321 장시간 노출 사진과 안시에 대하여.. 4 최성우 2004.05.11 2036
320 저 캠어댑터 자작이요.. 2 이주승 2006.01.10 2028
319 저.. 디카 어떤걸 사는게 좋을까요?? 2 허영진 2003.08.24 2705
318 저가의 망원경과 쌍안경 2 김현준 2004.04.18 2117
317 저겨.. 목성의 4대 위성의 영 현상요? 구경이 몇 인치라야 볼 수 있는 건가요? 조성훈 2006.05.20 2048
316 저기 최근 행성에 대해서 2 김석현 2005.09.13 2020
315 저기..100만원 안짝 적도의 쓸만한거 추천좀..(중고도 포함합니다..^^) 3 박병준 2006.02.23 2333
314 저기..망원경 문의 드립니다.. 2 김정문 2007.05.09 2596
313 저기요. 우주는 넓은데 지능있는 생명체는 지구밖에 없나요 2 박정민 2006.12.13 1981
312 저의 구성에 뭘 더 추가해야 할지요... 3 원종필 2005.06.03 1874
311 적도의 기초적인 질문드립니다. 4 김선준 2005.06.25 2040
310 적도의 등의 자동제어 공부를 위한 기초 전자전기 제어 책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이용정 2009.03.27 3276
309 적도의 마운트 질문 4 조윤호 2004.03.22 2090
308 적도의 말이죠... 안야 2005.06.22 1780
307 적도의 문의 5 김경호 2005.01.17 1885
306 적도의 문의 입니다. 1 안근모 2007.05.21 2550
305 적도의 발란스 1 임종필 2005.08.31 1815
304 적도의 비교 부탁드리겠습니다. 3 이종택 2017.08.28 1288
303 적도의 선택의 질문입니다. 8 신호철 2004.02.21 2045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