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두별 사이의 ‘각거리’를 구하는 방법

아래의 이승호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이승호님이 꽤 궁금하게 생각하시는 것같아서 자료를 인용하여 처음부터 설명합니다.

두 별 사이의 각거리를 거리를 구하려면 ‘구면 삼각법’을 이용하게 됩니다.

윗 그림의 구조를 잘 이해하는 것이 시작입니다. 식7.1은 삼각형의 삼각함수에서 어렵지 않게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 식을 ‘구면 삼각형에서의 정현 법칙’이라고 합니다. 빗변의 길이를 1로 보면 7.1식은 나옵니다.


7.1식에서 7.2식을 유도합니다. 이것도 도형을 그려서 하면 어렵지 않습니다. 설명이 길어져서 도형에 의한 설명은 생략합니다.


7.3과 7.4식도 7.2식처럼 도형을 그려 보면 유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7.4식이 핵심입니다. 7.4식을 구할려고 7.1, 2, 3식을 유도했음을 명심해주세요.

[여기서 각C가 직각인 경우는 네피아법칙을 이용하면 쉽게 구할 수 있는데 생략합니다.]
...............

천구상의 두 별 사이의 각거리


위 그림의 천구도를 유심히 봅시다. P1과 P2는 베텔기우스와 시리우스의 위치라고 생각합니다.

P1: 베텔기우스의 위치(적경: 5시 52.5분, 적위: 7도 24분)
P2: 시리우스의 위치(적경: 6시 42.9분, 적위: -16도 39분)

d: 두 별간의 각거리.
세타: 두 별의 자오선에서 서로 연결했을 때 이루는 각도

9.1식은 위에서 말한 7.4식에서 나온 식입니다. sin이 cos로 바뀐 이유는 알 것입니다. 예를들어 sin(90-델타)는 cos델타로 바꿀 수가 있습니다.

이 9.1의 (3)식에서 각거리 d를 구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여기서 계산해보고 난 뒤의 검산 방법으로는

(1)^2 + (2)^2 + (3)^2 = 1

이 되면 계산이 맞습니다. 아래 그림은 실제로 베텔기우스와 시리우스 간의 각거리를 계산해보는 예제입니다. 한번 보시면 잘 이해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 박병우 2004.04.13 01:33 (*.99.83.55)
    그리고 적경의 시간은 당연히 '도'로 바꾸어야합니다. 적경 한시간은 15도가 되겠지요.
  • 이승호 2004.04.15 00:39 (*.70.251.251)
    답변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구면삼각법은 너무 어려운거 같아여.
    이해가 힘드네요..
    일어는 모르겠지만.. 그림보면서 책찾아보면서 공식 열심히 보면 알수 있겠죠 ^^;;

    근거리에서는 평면으로 가정해도 오차가 무시할수 있을 정도가 되지 않을까요??
  • 박병우 2004.04.15 15:35 (*.99.83.55)
    평면은 무슨 평면을 말하는지요? 혹시 필름면에 별이 맺힐 때 이 필름면 평면을 염두에 두고 질문을 한 것이 아닙니까? 요 위의 것은 두 별사이의 각거리를 구하는 원리이고, 필름면은 또 다른 이야기입니다. 요 위에서 ‘각거리’를 구하는데 굳이 구면을 평면으로 바꾸어서 헷갈리게 할 필요는 없지요. 그리고 요 위의 것은 평면좌표나 극좌표 등의 좌표 변환이 아닙니다.

    그리고 요위의 식은 별 어렵지 않답니다. 고등학교에서 수학 공부만 정상적으로 했다면 쉽게 이해가 가능합니다. 만약 식 전개에서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면 답변하겠습니다. 중간 유도과정은 생략했는데, 아마 국내 교재도 있을겁니다. 한번 찾아보기 바랍니다.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585
1422 10인치 뉴튼반사에도 9점지지 미러셀 필요할까요? 1 남기현 2006.04.07 2323
1421 11000M 관련 질문 드립니다. 3 file 한다니엘 2011.01.17 3175
1420 127mm 정도되는 렌즈면 어느정도나 활용이 가능할까요? 1 이제헌 2005.02.16 2050
1419 12인치 SCT를... 2 박영식 2005.09.28 2202
1418 140mm 굴절 관측시 이상한 현상을 보았습니다. 2 file 권기식 2010.01.22 3527
1417 15mm내외 광시야 렌즈 추천 부탁드립니다. 6 김정호 2010.02.26 3284
1416 2000xm 오작동? 3 file 신병석 2005.08.24 1956
1415 203구경 반사 망원경으로요~!!!! 8 신승훈 2005.02.28 1888
1414 20D,300D 로우패스필터는 어디서 제거할수 있을까요? 2 정홍우 2005.04.15 2270
1413 20D로 Flat Field 촬영하는 방법... 7 염범석 2005.01.27 1699
1412 20D로 몇시간이나 찍을 수 있는지요.. 5 별밤 2005.06.27 1881
1411 20D에서 .. 10 file 김시태 2005.01.10 2077
1410 20D와 5D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요? 3 구경록 2006.04.30 1998
1409 20인치 반사경 테스트리포트 입니다. 21 박진홍 2003.05.08 2968
1408 250mm+@f24이런거 무슨뜻이조 구경은 알겠는데 1 신승훈 2005.02.26 1763
1407 250밀리 f6.3반사에 파워메이트가 필요한지요.? 1 오동혁 2006.01.06 2322
1406 2모델중 천체사진에 맞는 dslr 추천부탁드립니다. 4 오동혁 2005.05.01 1986
1405 2인치 카메라 adapter입니다. 1 file 신병석 2004.08.31 1946
1404 300D vs 350D vs펜탁스MX 2 장강호 2007.01.31 2766
1403 300D 를 구입하면 4 지승용 2005.04.08 185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