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48.54.245) 조회 수 2045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C8EX+GPE+중국제 양축모터를 쓰고 있는데, 예산이 200만원 남짓 있습니다.  사진을 생각해서 적도의를 업그레이드 하려고 합니다.  두가지 안이 있는데요..

1. EM10B(sky39에서 200만원에 팔더군요...)
2. GPD+스카이센서

어느쪽이 좋을까요?  
GPD+스카이센서+가이드 의 결과물이 EM10과 비교해서 큰 차이가 없다면 활용도가 높은 스카이센서쪽으로 가겠습니다만.... 의견 부탁드립니다.
  • 추현석 2004.02.21 10:58 (*.93.0.153)
    안녕하세요? 오랫만입니다,
    신호철님, 저를 기억하실런지요?
    스카이센서는 기본적으로 진동이 많습니다.
    안시로 Deep Sky를 쉽게 할수는 있어도 사진촬영에는 맞지 않는다 생각되어집니다.
    자금을 모아 EM200계열을 구하시거나 빅센에서 새로나온 자동도입SXW적도의(250만원정도)를 추천하고 싶습니다.
    SXW적도의를 실사용한적은 없으나 밧데리 연결하여 작동되는것은 해 보았습니다. 소음도 없고 자동도입도 편리합니다. 자세한것은 빅센대리점에 물어보세요. 꼭 직접 확인하고 구하십시요.

  • 신호철 2004.02.21 12:47 (*.248.54.245)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아는 추현석 이란 분이 두분 인데 어느분인지 모르겠습니다....^^;
  • 추현석 2004.02.21 23:17 (*.242.81.186)
    신호철님,
    구로역에서 뵌적이 있지요.
    그런데 저와 동명인분이 계시다구요?
    누군지 궁금하군요. 한번 전화주시겠습니까?(019-345-2965)
  • 신호철 2004.02.22 00:44 (*.248.54.245)
    그때 주신 LV7mm는 잘 쓰고 있습니다. 덕분에 불우이웃돕기도 했구요. 동기중에 추현석이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
  • 지승용 2004.02.23 10:09 (*.169.14.203)
    스카이센서를 이용한 반자동 가이드는 초점거리 500미리 이하에서만 가능합니다. 스카이센서의 모터는 일반적인 GPD 모터와 달리 DC 모터를 이용하는데, 컨트롤러 키를 눌러도 바로 응답이 오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 가이드 작업이 아주 까다로워 집니다. 즉 사진촬영을 염두하신다면, 초점거리 500미리 이상의 주경이라면 EM-10을 권하지만 그 이하라면 스카이센서도 괜찮은 적도의 입니다. 안시관측용이라면 스카이센서가 낫습니다. 제 경우 스카이센서의 진동은 없습니다. 진동문제는 발란스를 잘 맞추면 해결 될 수 있습니다.
  • 신호철 2004.02.23 16:46 (*.248.54.245)
    답변 감사합니다....
  • 박현권 2004.02.24 11:04 (*.126.9.12)
    스핑크스 비추입니다.
    제가 얼마전 적도의 살때 심각하게 고려했던 놈입니다.
    하얀색과 파란색의 어우러짐, 스타북.
    한마디로 뽀다가 저를 꼬드긴 이유였는데,
    포기한 이유는 탑재 중량입니다.
    카탈로그나 웹상에는 아직 정확한 탑재중량이 나와있지 않은데, 일본의 망원경 샵 아저씨 얘기로는
    GPD와 GP의 중간급이라고 하네요.
    관망(안시)라면 추천하지만, 사진찍을 계획이 있다면 말리시겠다 하셨습니다.

    GPD의 대체 모델이라기 보단 GP의 다음 버전인거 같습니다.
    향후 지금의 스핑크스 상위 버전이 나올지는 모르겠지만요.
  • 신호철 2004.02.25 22:43 (*.248.54.245)
    감사합니다.. SWX를 스핑크스라고 하는군요. ^^;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607
282 레지스탁스에서 합성시 사각형이 나타나요... 8 김경중 2005.07.27 1898
281 보드카메라를 이용한 천체촬영용 카메라제작 메뉴얼 7 엄태준 2004.05.06 1898
280 초보입니다..스텔라이미지에서... 1 김창수 2004.02.16 1898
279 가이드아이피스...? 2 김경중 2005.07.12 1897
278 질문요. 6 김경호 2005.06.03 1897
277 기계는 어디서 깎으시나요? 7 조영우 2004.04.17 1897
276 관측장소와 관측기구에 대해서 2 김현준 2004.04.18 1896
275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 1 박성준 2004.08.28 1895
274 안녕하세요^^*오늘 가입했는데... 2 참이슬 2003.12.13 1894
273 맥심 플러그인~~ 2 정지수 2006.05.19 1891
272 T셔츠 플랫에 대해 6 정세윤 2005.06.27 1890
271 보드카메라 공동구매관련 진행상황 13 엄태준 2004.04.19 1890
270 203구경 반사 망원경으로요~!!!! 8 신승훈 2005.02.28 1889
269 Takahashi 제품 AS ? 13 신병석 2005.01.13 1889
268 안녕하세요....질문하나 또 올립니다. 1 전영준 2004.10.29 1889
267 [re] 장시간 노출 사진과 안시에 대하여.. 1 file 김동빈 2004.05.12 1889
266 래지스택스 4 이상명 2005.03.09 1888
265 셀레스트론의 NexImage Solar System Imager라는 것에 대해... 2 이재열 2004.11.01 1888
264 굴절 주경의 초점면 형성위치 5 엄태준 2005.02.18 1886
263 적도의 문의 5 김경호 2005.01.17 1885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