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03.11.24 00:59

시리우스 2중성?

(*.79.196.221) 조회 수 2474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시리우스 2중성?

11월 23일 맑은 날 밤에 시리우스를 찍어보았습니다(6인치 굴절, s2pro 직초점). 허나 이중성은 아무래도 찍히지 않았습니다. 노출을 짧게도 줘보고, 길게도 줘 보고, 감도를 올렸다가 내렸다가...물론 안시 관망으로도 보일 택이 없었습니다. 시리우스가 우찌나 밝은지요.

할 수없이 대물렌즈 전면부를 60% 정도 차폐를 하고 iso1600으로, 37초 노출을 줘서 찍었더니 좌우지간 시리우스 별 옆에 무엇인가 찍혀 있었습니다.

이것이 무엇일까요? 지가 보기엔 2중성일 리가 없는데...

위 그림의 조작은 없고 그냥 원본만 줄여서 오려서 올린 그림입니다.

  • 최승용 2003.11.24 11:41 (*.187.167.209)
    저도 시리우스를 찍어 보았지만 확인 할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이 사진에서도 구별 되지는 않는 것 같군요.
    다만 이상하게 찍혔다는 것 이 좀 이상 합니다.^^
  • 이경화 2003.11.24 11:42 (*.105.75.5)
    안시등급 -1.6등성의 시리우스의 반성은, 8등성의 백색왜성으로 시리우스의 약 1/10000의 밝기때문에, 또 두별의 공전주기가 50년이고 경로도 구불구불한 관계로, 두별의 거리에 따라 보일수도 안보일수도 있는것 같습니다. 그 예로 1844년 독일의 베셀은 시리우스가 보이지않는 반성을 가진 연성이라고 생각했음에도 두별이 너무 가까이 있어 볼수 없었고, 1862년 미국의 망원경 제작가 클라크가 18인치 굴절을 제작해 이 반성을 처음으로 발견했는데 1973년 이 두별이 가장 멀리 떨어져있어 쉽게 볼수 있었다니 지금은 어떨지 모르겠네요.
    미자르 알코아가 12' 떨어져 있는데 이는 연성이 아니고 시선방향이 가까운 겉보기 이중성이고 실제 미자르는 14" 떨어진곳에 8등성의 반성을 가지고 있답니다. 시리우스의 반성은 6"~3" 떨어져 있게되기 때문에 이상적인 조건하에서 우수한 10인치급이면 볼수있지않을까 한다네요. 이른새벽 시리우스가 태양으로 인해 빛이 좀 줄어들어 보일때 반성을 보는게 확률이 높은관계로 시리우스가 여명이 터올때 보이는 철에는 여지없이 망원경의 마지막 대상이 됩니다. 물론 안시로요.
  • 최승용 2003.11.24 12:00 (*.187.167.209)
    그러니까 요즘에는 시리우스 볼 일이 없다는 것이지요.
    저도 한밤중에 투유켐으로 찍어 보았지만 이글거림이 심해서 도저히 불가능 했습니다.
  • 이건호 2003.11.24 12:45 (*.101.108.100)
    시리우스 반성은 지난번 이 게시판의 토론자료를 보시면 관측가능하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target=_blank>http://www.astronet.co.kr/cgi-bin/zboard.php?id=qanda&no=83


    관측의 첫째 조건은 시잉입니다.
    토요일밤과 같은 썩 좋지않은 시상에선 보이거나 찍히기는 무리입니다.
  • 황인준 2003.11.24 12:56 (*.53.138.66)
    투유캠으로 도전하면 어떨까 합니다.
    나중에 한 경울에 한번 찍어보아야 겠습니다..
  • 박병우 2003.11.24 19:12 (*.79.196.221)
    어제 시리우스를 여러조건으로 하여 70여장 찍어 보았습니다. 물론 각 배율로 안시 관망도 해 보았습니다.

    위의 그림은 직초점이므로 화각이 넓어서, 시리우스의 흐릿한 밝은 부분이 시리우스가 될 수 없지요.

    직초점으로 찍은 것은 몇장 안되고 6인치 초점거리 1200mm에 4.8mm 아이피스를 끼우고 쿨픽스5000으로 최대줌으로 주로 찍어보았습니다. 이렇게 되면 배율이 최소 300배는 넘지 싶습니다.

    각양 각색의 모양으로 시리우스가 찍히는데 이중성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러다가 직초점 초점을 맞추려고 s2pro를 연결하여 초점을 맞추면서 몇장을 찍었는데 시리우스 하단에 밝은 형체가 나타났습니다. 이것이 위의 그림입니다.

    이 형체가 카메라 lcd 창으로 볼 때는 흡사 시리우스 반서 같았습니다. 이제까지 안 찍혔던게 작게 보였으므로...

    집에 와서 모니터로 보니 위의 모양인데 뭔가 이유가 있겠지요.

    이것도 경험이 최고라서 이리저리 찍어보니 뭔가 느낌이 왔습니다.

    시리우스 2중성을 볼려면 두가지가 만족되면 될 수 있을 것같습니다.

    첫째 주위가 좀 밝아야된다는 느낌입니다. 밤에는 주위가 너무 어둡고 시리우스만 발광하는지라 이래가지고는 반성을 보기는 힘들 것이다라는 거지요.

    둘째는 시잉인데 시리우스가 일렁거리지 않아야되겠다는 것입니다. 어제는 제법 일렁거려서 이래가지고는 바짝 옆에 붙은 시리우스를 볼 수 없다는 생각이었습니다.

    사진 촬영을 하여 시리우스를 찍을려면 광량 조정의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시리우스 주위가 넓은 면적으로 밝게 타버리므로 그대로는 찍기가 힘들다는거지요. 주성과 반성의 밝기 차이가 10000배라고 하므로...

    다른 분들도 한번 찍어보면 재미있다고 생각합니다.
  • 박병우 2003.11.24 19:13 (*.79.196.221)
    단어 누락입니다.
    시리우스의 흐릿한 밝은 부분이 -->시리우스 '랫부분' 흐릿한 밝은 부분이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587
182 em10-usd vs swx?? 1 윤종성 2005.04.27 1952
181 EM-200을 분해해 보려고 합니다. 4 권기식 2010.02.03 3632
180 EM-200선택의 고뇌 4 김완기 2004.11.13 3569
179 em-200과 atlux 사진촬영을 비교하면 어떻게되는지요. 4 오동혁 2007.08.27 3040
178 em-200 극축 맞추는법 가르쳐 주세요~ 4 윤종성 2006.09.18 2329
177 EM-200 관련 문의 4 박경원 2007.07.21 3749
176 EM-200 Temma pc.jr의 전원장치에 대해 궁금합니다... 6 노광민 2003.09.27 2717
175 em-10b에 올릴만한사진촬영으로 적당한 경통은? 6 김유승 2005.06.21 2056
174 EM-10 백래쉬 문제.. 1 권기식 2007.10.04 3129
173 EM-10 USD에 사용되는 모터... 2 권기식 2005.03.14 2199
172 em-10 usd에 대해서 10 윤종성 2005.04.03 1938
171 EM-10 Temma PC Jr 3 조윤호 2006.05.07 2294
170 EM 200을 THE SKY 6.0으로 구동시.. 초기 setting ? 4 신병석 2005.03.14 2212
169 EM 200관련 문의 5 박성래 2015.04.02 765
168 EM 200 이 고장날까 겁이 납니다. 5 성화중 2008.01.07 3353
167 ef300mm f4랜즈에 광해 필터 장착문의 드립니다.. 1 임종필 2007.02.13 3057
166 e200 필름.... 2 임재식 2008.03.17 3090
165 E-180ED 와 STL-11000 체결 방법 3 최훈옥 2015.05.02 502
164 dsrl 케이블제작시.. 트랜지스터 종류 상관없나요? 9 오동혁 2005.11.15 2121
163 dslr케이블 제작시... 2 임재식 2006.11.29 2340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