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03.09.23 11:34

아이피스관련 질문

(*.48.218.2) 조회 수 1885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안녕하세요..
저는 막 천제관측을 시작한 직장인입니다.
제가 첫망원경으로 선택한 것은 ED102S-GP.SM(빅센) 입니다.
산지는 한달여정도 되구요..관측은 주말마다 비가 자주 오는 바람에..
야외관측을 2번밖에 하지 못했습니다.
아이피스를 더 구입하여 다양하게 관측하고 싶은데...
지금 가지고 있는 LV20mm, LV5mm외에 어떤 종류의 아이피스가
좋을까요??
LV5mm(184배)로 달, 화성을 봤을때 좀더 크게 보고 싶어서
LA2.4mm(약 383배)를 구입하고 싶고,
LV20mm(46배)로 봤을때 넓은 시야는 좋은데...좀 작아보여서
LV10mm 정도 구입하려고 합니다.
제 망원경으로 383배까지 잘 볼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기타 다른 조언 부탁합니다.
그리고 가대 GP.SM에서 아직 모터로 구동을 못해봤습니다..
고배율시 자동추적은 어떻게 하는건가요??
콘트롤러에 대한 매뉴얼 있으면 좀 얻을 수 있을까요??
참고로 전 일본어판 매뉴얼밖에 없습니다.
선두과학사에서 매뉴얼이 있긴 하지만...콘트롤러 부분은 자세히
안나와 있더군요...
그럼 좋은 하루 되시구요....항상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 류태호 2003.09.23 11:39 (*.48.218.2)
    아..그리고 한가지 더 궁금한건...모터로 구동할때..적경,적위 클램프를 풀어줘야 하나요??
  • 김일순 2003.09.23 21:24 (*.125.233.229)
    ED102를 사용해보지는 않아 어떤지 모르겠으나 적정최고배율은 대략 250배 정도가 되겠네요. 2.4mm는 무리구요. 저같으면 고배율 보다는 중배율 아이피스로 10mm사겠습니다. 모터구동시 적경, 적위 클램프는 잠금니다. 그리고 빅센 콘트롤러는 사용해보지 않아 모르겠습니다.
  • 류태호 2003.09.25 13:11 (*.48.218.2)
    김일순님..친절하게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용해 2003.09.27 09:45 (*.48.120.232)
    ED102S라면 2.4mm아이피스는 무리입니다. 물론 아주 좋은 시잉에서 가능한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더 많죠. 5mm보다 짧은 아이피스를 원하신다면 LVW3.5mm정도가 나을것입니다. 실제 제가 사용하는 조합입니다. GP-SM의경우 안시용으로만 한다면 정확히 극축을 맞추지 않더라도 극망 중앙에 북극성만 잡아놓으면 300배 이상의 고배율에서도 무난히 추적이 됩니다. 물론 추적을 시킬때 클램프는 반드시 잠구셔야 합니다.
  • 류태호 2003.09.27 17:13 (*.100.76.232)
    네..이용해님..감사합니다..^^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587
142 DSLR Low Pass Filter 제거에 관해 7 권기식 2005.12.05 2234
141 dslr iso와 노출시간 질문 드립니다. 3 김정호 2006.10.03 2508
140 DSI와 맥심을 이용한 오토가이드 고수분들께 질문 올립니다. 2 김경록 2007.11.16 3468
139 DSI를 이용한 오토가이더..그리고 MiniDin6pin에대해... 4 임재식 2007.03.21 3252
138 DSI를 MaxIm에서 촬영했을때 상 찌그러짐 1 file 홍인철 2008.09.10 3029
137 DSC-T1쓰고있어서 전용 아답터를만들었는데 이상해요.ㅠ 2 file 조성수 2006.10.23 2180
136 Dobsonian Light Shroud(암막) 제작 질문. 3 김경호 2015.10.08 529
135 dmk41과 dmk445 13 file 김종호 2014.05.12 1357
134 Defect Correction 좀 알려주세요.... Yang Seung Myeung 2005.04.26 2029
133 deepsky imager의 오토가이드 성능?? 5 임재식 2007.03.06 2890
132 Deep sky 위주로 별보기를 조심스레 시작하려합니다. 4 오현민 2007.09.02 2765
131 Dark frame 캘리브레이션 문제 2 file 이준희 2004.02.20 2293
130 D70 유저인데요... 여기 있는 사진들을 찍어 보려면? 1 김민우 2004.10.27 1916
129 D70 USER인데 천체사진 촬영방법좀... 4 하상욱 2005.03.14 2025
128 d30의 천체사진활용도에 대한객관적인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2 file sky13lue 2005.07.14 2343
127 D100으로 촬영시 박성래 2003.04.07 5587
126 D100으로 찍을때 질문입니다~ 2 takahashi/한윤덕 2003.12.23 2458
125 D100과 S2PRO중 선택하라면..... 11 최승용 2003.04.10 4304
124 D-SLR과 Di-Ca의 근적외영역 표현력 관련 9 황인준 2003.05.23 3129
123 D-SLR 구입을 하려하는데.. 고민입니다. 19 김순완 2004.04.24 3179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