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축 맞춤의 이론치와 실제 3

by 박병우 posted Sep 03, 200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극축 맞춤의 이론치와 실제 3

NJP 가대로 지방항성시 입력에 의한 극축 맞춤 결과의 100% 확대 사진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어느 정도가 별이 흐른 것인지 기준도 다를 것이므로 제가 생각하는 기준은 이렇습니다. 사진을 올리려고 검색해보니 별이 흐른 것은 모두 휴지통에 들어간지라 남아 있는 것 중에서 올립니다.



이건 M82 모습입니다. 100% 확대시의 크기입니다. 노출시간은 280초이므로 대략 5분 정도입니다. 과거 사진을 찍을 때 기본으로 300분을 세팅하고 먼저 찍었습니다. 280초를 준 것은 300초가 노이즈가 많아서 시간을 조금 짧게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300초이던 280초이던 별이 흐르는 차이는 별 없었습니다. 이 정도 수준이면 ‘별이 흐르지 않았다’라고 가정했습니다. 이준화님이 올리신 M82의 경우 초점거리가 제 것의 대략 1/2이므로 이 점을 고려하여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이것은 남위 26도의 M4 구상성단입니다. 노출시간은 234초 대략 4분입니다. 역시 노이즈 문제로 시간이 줄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는 별이 약간 흐른 것이 ‘확인’ 가능합니다.


M5 구상성단은 딱 적도 위치입니다. 노출시간은 255초입니다. 여기서는 별이 흐르기도 흘렀지만 바닥 진동이 있는 걸 알 수있습니다. 바닥 진동의 영향의 크다는 것을 알고부터는 망원경을 지상으로 내릴 궁리를 하게됩니다.
..................

제 가대가 메이커측의 사용설명서대로 맞추었다고 가정아래 생각하면 결론은 이렇습니다. 어제 말한 내용과 같습니다.

‘NJP 가대에서 5분 노출시 별이 흐른 양은 (6인치 굴절 망원경으로) 디지털 카메라로 5분간 직초점 촬영해서 100% 확대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이다’.

이론식에서는 5분 노출을 할 경우 2분각의 정도(精度)를 가정하면 흐름양 ‘제로’에 근접하게 되어 있지만 그렇지는 않고, 위와 같은 흐름 정도가 나옵니다. 이 정도의 흐름을 저는 눈으로 ‘확인 가능한 정도의 흐름’이라고 이야기한 것입니다. 다른 가대는 5분 노출시 1200mm 초점거리를 가정하여 100% 확대할시 어느 정도 흐르는지 정말 궁금합니다요.

이 흐름의 양이 궁금하여 사진을 찍자말자 자료를 보았습니다. 그 내용이 요 아래 설명한 내용입니다. 그 때 한번 정리해서 올려 공유하려다 그만두었는데, 그 이유는 저는 수식의 개념을 보고 눈치껏 간이적으로 계산을 하여 추정하는 스타일이고(눈치를 채신 분도 계시겠지만), 또 임의적으로 간이식을 만들기도 하여 검토하는 꼼수를 부리기도 하므로, 공식적으로 올리기는 부담스러워 올리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결론은 쉽게 추정이 가능했고, 이 정도의 흐름양을 메이커에서 개런티하구나 느낌이 왔습니다.

그래서 사용설명서대로 세팅하라고 한 것이고, 어차피 사진촬영을 위한 극축 세팅이라면 번거로운 것은 어느 방법이던 마찬가지 아닙니까? 안시 관망의 경우에는 조견판으로도 충분하고도 남지요.

분명한 것은 이제까지 얘기한대로 조견판의 오차는 그 양만큼 그대로 사진에 나타나게 되어있습니다. 그 것을 관용하는 관용 폭은 사람마다 다르기는 합니다만....

따라서 메이커에서 제공하는 기준대로 ‘기본에 철저하게’ 세팅하라는 말을 할 수밖에 없는겁니다. 지는 기본을 지키는 것에는 아주 고지식하게 고수하려고 하는 편이라, 다른 것은 생각하지 않는 스타일이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