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JP, EM10 극축조견판 사용법

by 이건호 posted Sep 01, 200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좋은 가대를 구입하셨네요.

첨부한 파일을 인쇄하여 각각 가위로 오린다음 C위에 B를 놓고 그 위에 A를 놓은 다음 중앙을 압정 등으로 눌러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A의 빗금친 부분은 오려내야 하고, A의 중앙선을 B의 128도(사는 곳의 경도) 눈금에 맞추고 풀로 AB는 붙이시기 바랍니다.

극축 맞추는 순서.

망원경의 극축을 일단 대강 맞추고.. 모든 장비를 세팅한 다음 밸런스 잡고 마지막으로 극축을 맞춥니다.

적경을 돌려 극망 내부 눈금환이 수평수직이 되게 놓습니다. (수준계가 있으면 수준계를 이용하면 되고, 이 수준계의 원점은 아래 박병우씨의 이야기처럼 실을 늘어뜨려 하시던지, 멀리있는 아파트 담벼락 수직선에 맞추던지 하시면 됩니다.)

극축조견판을 산그림이 아래로 가도록 똑바로 세워 놓고 (꺼꾸로 들고 봐서 고생한적 있습니다. ^^) C환은 날짜 B환은 시각이 되므로 눈금을 잘 보고 현재의 날짜와 시간을 일치시키도록 B를 돌립니다. 그러면 그 시간의 북극성의 위치는 A의 2000년 눈금 약간 왼쪽이 가르키는 곳(2003년)이 되겠지요.

그 북극성의 C환에서의 위치를 잘 기억하시고... 극축망원경을 보면 C환 눈금이 그대로 그려져 있으니... 북극성이 아까 기억한 그 위치에 오도록 망원경의 상하좌우 (적경적위가 아님) 조절 나사를 이용해서 맞추시면 됩니다.

* NJP는 극망배율이 조금 높으므로 북극성 찾기가 처음엔 쉽지 않으니 연습 많이 하시구요... 배율이 높은 대신 꽤 정밀하므로 왠만한 사진, 안시관측에선 극망 만으로도 충분할 겁니다.  더 정밀한 극축맞추기를 원하시면 Drift Alignment (표류이탈) 방법으로 하는데, 이건 좀더 관측에 숙달이 되어야 할거구요.  저는 사진 찍을때 항상 이 조견판으로 맞추고 찍지만 이상없이 잘 찍힙니다. ^^

좋은 관측 많이 하시길바랍니다. 이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