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00.197.215) 조회 수 282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혁기님 반갑습니다.

인준씨로부터 이혁기씨란 분의 설명이다라는 말은 들었지만 근무지는 몰랐습니다. 삼성항공이 삼성테크윈으로 회사이름이 바뀌었군요. 저는 그 주변을 잘 안답니다. 또 제 아는 사람도 그기에 근무하는 친구도 있었고, 그 옆의 삼성중공업에도 근무를 하고 있으니 뵙지는 않았지만 아주 친근하게 느껴집니다. 남양동 성원아파트가 우리집이었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머릿속에서 선하게 떠오릅니다. 그기는 공단이라하지만 맑은 공기에, 한적한 공원같은 분위기이지요.

그 옆의 성산패총 공원 꼭대기에 올라가면 지금쯤 버찌가 잘 익은 나무가 있습니다. 우리 마누라 이런 것보고 못 지나가지요. 나무에 매달려 버찌 따다가 경비아저씨에게 걸려서 디지게 욕들어 먹었던 기억이 새롭습니다(마누라 잘못 둔 죄로 저까지 욕바가지로 먹었음). 혹시 시간이 되면 애기 엄마와 같이 올라가서 버찌를 따도 좋은데, 혁기님은 망을 잘보고 애기 엄마가 요령껏 따시면 됩니다. 그 나무 버찌 아주 맛있습니다.
................................

일본 우지정기 사장이 원하는 람다를 만들어주겠다는 이야기는 제가 직접 그 자리에 참석하지는 않았지만, 몇백분의 1람다 경면을 이야기 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그 당시 한분이 우지 망원경을 구입하려했었고, 우지정기 사장이 국내 망원경 납품이 있어 들어왔습니다. 그 때  한 아마추어분이 1/10람다도 되냐? 1/20람다도 되냐? 이 정도로 물었지요. 그러니 사장이 ‘원하는 정밀도로 만들어주겠다’라고 이야기했습니다.

몇백분의 1람다는 이 책에 보면 후코테스트를 하면 그렇게 나온다는 이야기가 있어 인용한 것입니다. 그런데 이 책의 방식대로 측정을 한다고 보면 미러만 시간들여 공들여 깍으면 몇백분의 1람다가 나올 것같습니다. 그것이 실제적인 파면오차(웨이브프론트 에러)라고는 할 수는 없지만요. 따라서 람다 수치는 측정 방법에 따라 왔다갔다한다는 것을 말하고 싶었던 것입니다.

황교수님 미러가 1/20람다이하일 것이라다는 추정은 제가 소개했던 람다측정법 기준입니다. 이 방법은 5개의 존으로 나누어 측정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2배를 하면 1/10람다가 나오지요. 여기서도 부분 발췌측정이므로 오차를 고려하면 황교수님의 미러는 레일리한계를 만족하는 수준이 아닌가 보았습니다. 그 말의 이유는 이 교재 ‘천체망원경제작법’에서 실제로 만들면서 설명을 하는 책인데, 1/33람다의 치수로 만들어 후코테스트 사진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천문가이드에 나온 황교수님 망원경의 음영과 거의 같고, 이책에 나오는 여러 표면 들쭉날쭉에 따른 후코테스트의 예시와같은 그림자의 변동이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황교수님 망원경은 이 방식의 5개 존 측정이라면 적어도 1/20람다 이하는 나올 것이라보았습니다.

기타 회절에 의해서 일반 관측 구역에서 상의 흩터러짐은 없다는 것은 저도 그렇게 생각해왔습니다.

여러 가지로 초면에 감사합니다. 서울 오실 일이 있으면 한번 연락을 주십시요. 제 연락번호는 019-315-7656입니다.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585
1202 [re] 사진이 왜 이렇게 나올까요 1 file 박영식 2007.10.15 2885
1201 [re] 왕초보 질문드립니다... ^^; file 이상헌 2007.05.23 2883
1200 Maxim DL에서 canon 5D error ~ 신병석 2006.09.24 2875
1199 잠시 제생각을 올려도 될까요? 6 이혁기 2003.05.07 2875
1198 켄코 스카이메모 사용하신 분 2 공석환 2014.03.15 2874
1197 Canon 10D 7 황인준 2003.12.18 2873
1196 c8 주경 고정 방법이 궁굼합니다. 1 임재식 2009.09.29 2872
1195 [re] st10xme 쓰시는 분께 도움 요청드립니다. 1 file 이건호 2008.01.07 2867
1194 5400과 toucam의 동영상에 대하여... 6 최승용 2003.07.10 2867
1193 구두약을 구리스 대신 사용하면? 5 이준화 2003.05.15 2858
1192 고등학생이여서 중국산 천체망원경이라도 사고싶은데... 5 이진호 2006.11.30 2850
1191 천체사진의 척도구하는법 1 꽃잎처럼 2007.12.16 2847
1190 소니 사이버샷 DSC-F717 으로 천체사진 가능한가요,? 4 예수진 2006.01.01 2841
1189 가이드 성 선택... 2 임재식 2007.02.15 2835
1188 반사망원경 거울코팅의 내구성 5 김청민 2004.04.29 2831
1187 일반 망원으로 찍을때 화각에 대해서 여쭙니다. 3 이은상 2008.08.26 2830
1186 별자리 지도(성도) 어디서 구할 수 있나요? 4 file 김창훈 2007.11.04 2828
1185 포샵으로 트라페이지움 나타내는 방법이 궁굼합니다. 7 임재식 2007.01.21 2828
» 이혁기님 반갑습니다. 박병우 2003.05.07 2827
1183 안녕하세요, 외부 은하를 관측할 수 있는 망원경의 성능이 궁금합니다. 1 이진호 2011.09.12 2825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