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Piggyback/Wide-field
2013.05.07 18:09

백조자리와 은하수

조회 수 1423 추천 수 17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백조자리와 은하수 (Cygnus and Milky Way).

사진의 오른쪽 위에 위치한 노란색 별의 알비레오(Albireo)는 백조의 머리 부분에 해당한다. 알비레오는 육안으로는 하나로 보이지만 망원경으로 보면 3등급의 노란색 별과 5등급의 푸른색 별로 이루어진 이중성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또한 알비레오는 밤하늘에서 색의 대비가 가장 뚜렷한 아름다운 이중성으로 알려져 있다.

백조자리는 밝은 1등성의 데네브(Deneb) 별을 기점으로 해서 2등성과 3등성의 별들이 커다란 십자가의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들은 북십자가(Northern Cross)로 알려진 백조자리의 가장 중심이 되는 별들이다. 북십자가의 주위에는 4등성과 5등성의 별들이 약간 대칭을 이루면서 좌우에 위치한다.  

백조자리는 북아메리카 성운(North America Nebula, NGC 7000), 펠리칸 성운(Pelican Nebula, IC 5070), 베일 성운(Veil Nebula), 초승달 성운(Crescent Nebula, NGC 6888) 등의 멋진 성운들과 M29, M39와 같은 멋진 산개 성단들도 있기 때문에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북아메리카 성운은 데네브의 약간 동쪽에 놓여 있다. 이 성운은 북아메리카 대륙과 유사한 모습을 하고 있어서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펠리칸 성운은 북아메리카 성운의 근처에 위치해 있다. 백조자리 엡실론 별의 남쪽에는 베일 성운이 있으며 이들은 초신성의 잔해로서 크기는 3도에 이른다. 또한 초승달 성운이 백조자리 감마 별과 에타 별 사이에 놓여 있다.

촬영장비: SkyTracker 포터블 적도의 + 맨프로토 190CL 삼각대 + EOS 5D Mark III + EF 50mm (F1.4).
2013년 5월 6일.

cf. 사진을 클릭해서 원본 크기로 보시길 권장합니다. ^^

<Exposure Data>
Date : 2013. 05. 06. 02:23.
Location : Gapyeong, Gyeonggido.
Mount : ioptron SkyTracker portable mount.
Camera : modified Canon EOS 5D Mark III digital camera.
Lens : Canon EF 50mm (F1.4).
Focal Length : 50mm.
F ratio : 5.6.
Exposure : 7 x 330 s = 38 min.
ISO : 800.
Filter : Lee soft no. 1 filter.
Photographer : Bum-Suk Yeom ( http://cometsky.tistory.com ).
  • ?
    이건호 2013.05.10 12:09
    5.6에서 별상이 아주 샤프하네요.
    Lee soft no. 1 filter
    이건 어떤건지요?
  • ?
    염범석 2013.05.11 15:39
    이건호님// 리 필터라고 폴리에스테르로 만든 사각형 필터입니다. 코킨 필터가 플라스틱 사각 필터인데 반해 리 필터는 유사하게 생긴 폴리에스테르 필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코킨처럼 어댑터에 장착하여 촬영합니다. 자세한 정보는 http://www.astrolife.co.kr/ez/mall.php?cat=071000000&query=view&no=1276# 를 참조하세요. ^^
  • ?
    이건호 2013.05.15 12:23
    아~
    그럼 렌즈 사이즈 별로 어댑터도 필요 없나요?
  • ?
    염범석 2013.05.15 23:51
    네. 이론적으로는 필요가 없습니다. 하나의 어댑터에 모든 필터가 들어가거든요. 필터의 사이즈가 100mm x 100mm 라서 구입할 때 같이 들어 있는 어댑터만 있으면 어떤 렌즈에도 가능합니다. (물론 어안렌즈에서 좀 무리더군요. 비네팅이 심합니다. 필터의 사이즈가 10cm라서요.) 하지만 경험상 어댑터에 장착하여 사용하면 이슬방지 장치의 효력을 받을 수가 없기때문에 이슬에 취약합니다. 그래서 저는 그냥 몇개는 특정 필터 사이즈에 맞게 개조해서 씁니다. 그러면 렌즈에 바로 장착이 되기때문에 이슬 걱정을 할 필요가 없거든요. ^^

  1. 2012년 청옥산 은하수...

    이번 나다 웍샵을 다녀와서... 다시한번 타임랩스 촬영을 도전해 보기로... 예전에 올렸던 영상을 다시한번 처리해 보았습니다. Canon 5D Nikon 16mm(f/2.8) Fisheye lens Manfrotto 055+410 30s, iso800, 15fps Vimeo link 올립니다. MT ChungOK. from Young...
    Date2013.07.11 CategoryTime Laps By박영식 Views1252
    Read More
  2. 소백산 은하수 동영상

    SOAO from shlee on Vimeo. 이번 워크샵 소백산 천문대에서 찍은 남천 은하수 일주 동영상(?)입니다. 밤새 저렇게 구름과 은하수가 함께 춤을 추더이다. ^^ 고수분께서 친절히 타임랩스에 대해서 설명을 해 주셨으나 멀고도 험한 길이다 라는 것 밖에 기억에 ...
    Date2013.07.08 CategoryTime Laps By이상헌 Views1691
    Read More
  3. 여름철 은하수

    여름철 은하수 (Summer Milky Way). 사진의 왼쪽 위에는 독수리자리(Aquila)가 있고 아래쪽으로 궁수자리(Sagittarius)와 함께 은하수가 펼쳐져 있습니다. 남쪽하늘에 광해가 많아서 궁수자리쪽이 좀 밝게 나왔습니다. 여기서 은하수 중심부 촬영은 무리네요....
    Date2013.06.19 CategoryPiggyback/Wide-field By염범석 Views1143
    Read More
  4. 여름철 대삼각형과 은하수

    여름철 대삼각형과 은하수 (Summer Triangle and Milky Way). 여름철 대삼각형을 이루는 별자리들과 은하수를 촬영하였습니다. 여름철 대삼각형을 이루는 별들은 거문고자리의 베가, 백조자리의 데네브, 그리고 독수리자리의 알타이르입니다. 이들 여름철 대...
    Date2013.06.04 CategoryPiggyback/Wide-field By염범석 Views2246
    Read More
  5. 한계령 은하수

    Imaging Date: June 1th, 2013 Imaging Site: Hangyeryeng,Korea Lens: Samyang 24mm Imaging Camera: 5D Mark III Exposure: 30sec F ratio : 2.0 ISO : 3200. Filter : Lee soft #2. Processing Notes : DPP3 설악산 등산하기전날 한계령에 올라가 촬영한 ...
    Date2013.06.03 CategoryPiggyback/Wide-field By선숙래 Views1213
    Read More
  6. 은하수 망아지 한마리.- Prancing horse nebula

    ||1찍고 났더니 다리만 나왔군요. ㅠㅠ 담번엔 좀더 위쪽까지 전신컷을 찍어야 겠습니다. Zeiss 100mm F2.8-> F4. + SBIG 8300color.. 600s x 4장, 75% Resize (좀 큽니다. Ctrl & - 또는 마우스 wheel) 그런데 이곳 이름이 따로 있나요?? : 김광욱님 감사합...
    Date2013.06.03 CategoryPiggyback/Wide-field By신병석 Views1172
    Read More
  7. 은하수

    은하수 중심 부근을 촬영해 보았습니다. 우측에 전갈자리 몸통부터 좌측의 궁수자리까지입니다. 촬영정보 시 간 : 2013.06.03. 02시경 장 소 : 무령고개 카메라 : 6D(UV-IR) 렌 즈 : ZIESS 85MM F1.4@F8 노출정보 : ISO3200, 3분, 6장 모자이크 후처리 : DPP,...
    Date2013.06.03 CategoryPiggyback/Wide-field By임재식 Views1202
    Read More
  8. 여름철 은하수

    어제 날이 좋아 지인분들과 천문대에서 안시관측을 했습니다. m31, m27,m81,m82,m27,m16,m17,m8,m20,m13,m3 등과 한들거리는 착각이 들 정도로 보이는 베일성운이 멋지게 보이던 밤이었습니다^^ 촬영정보 촬영일자 : 2013년 5월 17일 새벽 촬영장소 : 무궁화 ...
    Date2013.05.17 CategoryPiggyback/Wide-field By임재식 Views1113
    Read More
  9. 여름철 대삼각형 (Summer Triangle)

    여름철 대삼각형 (Summer Triangle). 천문 박명 전후에 촬영한 사진입니다. ^^ 디퓨저 필터를 쓸때와는 느낌이 또 다르네요. Object : Summer Triangle. Date : 2013. 05. 16. 03:18 (KST). Location : Gapyeong-gun,  Gyeonggi Province. Telescop...
    Date2013.05.16 CategoryPiggyback/Wide-field By염범석 Views1125
    Read More
  10. 백조자리와 은하수

    백조자리와 은하수 (Cygnus and Milky Way). 사진의 오른쪽 위에 위치한 노란색 별의 알비레오(Albireo)는 백조의 머리 부분에 해당한다. 알비레오는 육안으로는 하나로 보이지만 망원경으로 보면 3등급의 노란색 별과 5등급의 푸른색 별로 이루어진 이중성으...
    Date2013.05.07 CategoryPiggyback/Wide-field By염범석 Views1423
    Read More
  11. 여름철 대삼각형과 은하수

    여름철 대삼각형과 은하수 (The Summer Triangle and Milky Way). 데네브(Deneb)는 사진의 왼쪽 아래에 있고, 여름철 대삼각형의 가장 밝은 별인 베가(Vega, 직녀)는 중앙의 위쪽에 있으며, 알타이르(Altair, 견우)는 오른쪽 아래에서 볼 수 있습니다. 디퓨저...
    Date2013.05.06 CategoryPiggyback/Wide-field By염범석 Views1913
    Read More
  12. 덕초현 은하수

    덕초현 은하수 Imaging Date: May 5th, 2013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Lens: Samyang 24mm Imaging Camera: 5D Mark III Exposure: 30sec F ratio : 2.0 ISO : 3200. Filter : Lee soft #2. Processing Notes : DPP3 처음으로 촬영해보는 성야 사진...
    Date2013.05.06 CategoryPiggyback/Wide-field By선숙래 Views125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52 Next
/ 52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