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기정보
2015.03.03 14:07

압력 조절 에탈론

(*.97.47.212) 조회 수 1037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태양 망원경에 대한 여러 글을 올리면서 많은 분들에게 태양망원경 추천 조언과 이런 저런 궁금한것들을 많이 물어보셨습니다.

가장 많은 질문이 이 pressure tuned etalon의 용도가 무엇인지..어떤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이셨습니다.

 

그래서 이 참에 설명 글 올려드리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예전글에 에탈론 틸팅(조절)방식에 크게 열,각도,압력 이렇게 세가지가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열방식은 데이스타와 바더사에서 주로 사용하고 각도와 압력은 코로나도 룬트가 담당한다고 했습니다.

열방식은 국내에 쓰시는분이 공개활동하시는분중에서는 없는것으로 추정하고있고.

바더 딜러인 하늘*획에서도 한번도 수입한적이 없다고 하더군요..ㅡ,.ㅡ

 

이중에 압력방식의 에탈론 틸팅하는 업체는 룬트가 유일합니다.

에탈론은 파장을 이용한 간섭계인데

이 파장이라는것이 열과,각도,압력에 따라 조절되기 때문에 압력을 이용한 조절장치라고 보면됩니다.

생긴건 이렇게 생겼습니다..

DSII100.jpg


빨간색 부분속에 에탈론이 들어있고 옆으로 튀어나온(금색부분 하우징)곳이 압력을 담당하는 하우징입니다.

안쪽의 단면을 본다면..이렇게 생겼습니다.

압력하우징은 -500피트~12,000피트 상공의 압력과 동일하게 에탈론 내부를 가압시킵니다.

그러면 파장이 압력때문에 푸른색과 붉은색쪽으로 이동하게됩니다. 그원리를 이용한 조절방법입니다.

장점은 각도조절이 필요없기때문에 플랫한 태양의 모습과 균등성이 아주 우수합니다.

 

아래보이는 상태는 압력이 없는 상태일때 태양의 모습을 보여주는겁니다.

디테일이 많이 떨어지지요.

 

Picture1.png


두번째 그림에서는 약간 압력을 준 상태로 2.5psi의 힘에 5000피트 상공의 압력과 동일합니다.

파장이 h@의 중심으로  움직여서 태양표면의 디테일이 살아나기 시작합니다.

 

Picture2.png


세번째 사진은 압력챔버를 거의 끝까지 밀어넣을 경우 5psi압력에 1만피트상공의 압력과 동일하게 됩니다.

그럼 파장이 블루쪽으로 많이 이동하게되고 태양의 표면의 표현력이 극대화됩니다.

 

Picture3.png


이렇게 압력조절 에탈론에 대해 설명해드렸습니다.

가장 큰 이점은 플랫함과 균일성을 갖는다는것이고

 

단점은 저 하우징..압력챔버의 압력을 밀폐해주는 오링이 시간이 흐르면 교체해줘야한다는겁니다.

즉 압력이 유지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제대로된 태양의 표면을 보기가 어렵다는겁니다.

.참고하시고

첨부파일 올려드리니 참고하세요.

 

LUNT LS60THa Compressor.pdf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 토론방 [re] 행성촬영 및 staking에 대해 궁굼한점... 2 file 어진선 2005.06.15 9166
24 사용기.팁 다카하시 TEMMA RS232C 배선도 5 file 김형석 2004.07.29 9169
23 토론방 Maxim vs IRAF 1 박영식 2005.06.08 9378
22 자작.개조 작전명: QHY8 셀프가이드 CCD만들기 6 file 김형석 2008.02.03 9385
21 토론방 모니터의 밝기는.... 3 최승용 2005.06.10 9394
20 사용기.팁 천체 사진에 별이 흐를 때 1 (가대의 모터 특성) file 박병우 2003.04.09 9414
19 토론방 F:4에 쓸 코마콜렉터???? 3 최승용 2005.07.04 9505
18 자작.개조 반사경에 센터마킹하기. 1 file 최훈옥 2006.07.26 9593
17 토론방 행성촬영 및 staking에 대해 궁굼한점... 1 박영식 2005.06.14 9785
16 토론방 혹시... EQ6 분해해 보신분 계시나요 ? 12 file 박진홍 2005.07.26 9792
15 토론방 냉각팬을 달아야 할까요 ? 3 박진홍 2005.11.29 9893
14 토론방 천체사진에 영향을 주는 요소 - 우선순위 6 남기현 2005.11.22 9921
13 사용기.팁 슈미트경통 광축 맞추기 3 file 황인준 2003.05.15 10002
12 자작.개조 펜탁스 16비트 냉각 DSLR 7 file 박대영 2008.06.08 10047
11 토론방 사진촬영용 망원경의 선택? 9 이준희 2005.07.26 10199
10 사용기.팁 자작리듀서 관련 ( 카세그레인 계열 망원경 ) 2 file 황인준 2003.07.16 10229
9 토론방 모노CCD가 좋을때 4 이건호 2007.09.29 10647
8 기기정보 망원경 배율 이야기 1 황형태 2009.04.03 10694
7 토론방 슈미트카세그레인 보정판에 쌓인 먼지 4 남기현 2006.02.18 10800
6 토론방 40D vs 4000XCM 7 김상욱 2007.09.17 10985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