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셀레스트론의 C11과 C11edgh hd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외국 사이트에도 가격차이는 약 2배정도 되는데 외형상으로는 차이를 모르겠습니다.

짧은 실력으로는 구면수차가 없는 망원경이라고 하는데 정확히 구면수차가 뭐고 저것을 없애는데 저만한 비용이 필요한지,

또 어떠한 원리로 제거하는지 등이 궁금합니다.

고수님들의 궁금증해결을 부탁드립니다.

  • 공석환 2015.02.23 07:41 (*.237.209.234)
    예전에 C11을 가지고 있었는데 구경 대비 가격이나 무게가 가벼운 점은 좋은데 안시용이라면 모르지만 촬영용으로는 그리 적당치 아니 합니다.

    C11edge가 주위 별 모양 등에서 훨씬 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가능하면 아스트로마트에서 나오는 중고를 구입하여 가격을 줄이더라도 신형인 C11edge를 장만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 박영식 2015.02.23 08:50 (*.253.237.162)
    아래 사이트에 Edge HD series가 기존의 경통과 다른점을 잘 설명해 놓았습니다.
    보정렌즈를 사용해, 기존의 SCT 보다 3배 더 평탄한 시야를 갖는다고 합니다.

    http://www.celestron.com/university/astronomy/edgehd-optics
    http://www.universetoday.com/34925/a-high-definition-telescope-yeah-the-celestron-edgehd/
  • 심훈 2015.02.23 18:18 (*.76.142.35)
    감사합니다.
    다시 살펴보니 접안부와 2차렌즈 중간에 배플부위 안쪽에 렌즈가 한장 더있는데 이것이 보정렌즈인지요.
    단순히 이 보정렌즈에서 평탄도를 잡아주는것인지 아니면 주경이나 보정판이 C11과 다른것인지도 궁금합니다. 어떤분은 거의 준 RC의 성능이다 라고 하는데 과연 렌즈가 쌍곡면가공인지도 궁금합니다.
    또한 하이퍼스타를 사용하면 F10이 F2가 됨과 동시에 보정렌즈를 통과하지 않는데 평탄도보정은 무의미한것이지 아니면 촛점거리가 짧으면 보정렌즈가 불필요한것인지 여쮸어 봅니다.
    무지하여 궁금증이 너무나도 많은데 영문은 도저히 해독이 불가능 합니다.
  • 박영식 2015.02.24 09:42 (*.253.237.162)
    celestron의 faster 시리즈나 starizona의 hyperstar 시리즈들은 주경의 초점거리를 그냥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f/2 정도의 영상을 찍을 수 있습니다.
    당연히 보정렌즈가 들어가야 되구요, 안그러면 f/2에서 평탄한 상을 얻을 수 없습니다. 3매 이상의 렌즈가 들어가있을 것입니다.

    주경, 부경, 보정판 등에 대한 스펙은 celestron 에서도 거의 언급을 잘 안하더라구요.
  • 이건호 2015.02.23 23:01 (*.179.197.166)
    이건 그냥 제 추측인데요...
    주경과 보정판은 그대로이고 보정렌즈를 잘 설계하고 기계적인 정밀도도 높이고 머 그런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드네요.
    주경 보정판 새로 만들면.... 일이 커져서 저 가격에 안 될거 같아요.
    그리고 하이퍼스타는 별도로 보정렌즈가 들어 갈 거에요. 그래야 사진이 되니까요.
  • 김종호 2015.02.23 23:44 (*.97.47.212)
    원래 sct가 안시용으로 나온건데요. 중심부는 좋지만 주변부는 수차로인해 좀 삐리리해요. 아쉬운데로 리듀서를 달아서 초점비를 6.3까지 내리지만 주변부억제는 못하죠..그래서 많은 유저들의 갈구로 사진에 최적화시킨 장초점 망원경이라고 보면됩니다. 그래서 주변부 억제해주는 보정렌즈를 달은거고 전용 리듀서도 재설계해서 나오죠..보정판과 주경은 같은거구요..하이퍼스타도 안에 보정렌즈가 들어갑니다. 11인치에 f2면 수차가 얼마나 많겠어요. .
    f값이 작으면 작을수록 수차가 많아져서 각종 보정렌즈가 많이 들어가야 사진에서 비네팅이나 평탄면을 보장해주거든요. 하이퍼스타로 기가막히게 잘 찍은 사진도 많아요. 초창기에는 광축을 맞추는게 힘들었는데 요즘엔 광축 잘 맞출수있게 자작개념으로 시제품도 많구요..
    영어는 구글번역을 해보시면 대충은 알아볼수 있으니 이용해보세요.
  • 박영식 2015.02.24 09:45 (*.253.237.162) Files첨부 (1)

    첨부한 Celestron Edge HD 광학 설계 관련 내용을 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그림만 보셔도 이해 되실 껍니다. 


    본문 내내 나오는 이야기는 coma free 광학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평탄한 초점면과 coma free 광학 설계에 초점을 둔 것 같습니다. 

  • 심훈 2015.02.24 16:04 (*.100.180.147)
    저에게 C11EDGH HD를 가지고 있는데 시간이 없다는 핑게로 집에서 잠자고 있습니다.
    그런데 차이점을 잘몰라 물어보았습니다.
    너무나 많은 답변 감사합니다.
    또한 너무나 자세한 답변도 감사드립니다.
  • 박영식 2015.02.26 09:17 (*.253.237.162)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외국 애들은 Edge HD 경통으로 사진 잘 찍더라구요.
    멋진 사진 기대하겠습니다. ^^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585
1422 혹시 처분하실 하늘기획 펜탁스67 무전원 브라켓이...?? 2 이제헌 2005.02.19 2350
1421 혹시 일본웹사이트중에서 천문현상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웹페이지 아시는분 계신가요? 2 이용정 2008.12.26 2746
1420 혹시 이놈들 주인있습니까 ?? 1 file 이상희 2010.03.19 3712
1419 혹시 우레탄폼 구할 수 있는 곳 좀 아시는분? 2 오동혁 2004.07.14 5105
1418 혹시 lx200 에뮬레이터 파는분 안계시나요? 2 김명석 2005.12.18 2059
1417 혹시 AP 1200 GTO 이전모델 쓰시는 분들 계신가요~~? 3 file 박영식 2004.09.23 1966
1416 호주 Perth에서 가까운 관측지 추천바랍니다. 6 file 신병석 2016.04.29 685
1415 호시네이비 7월호에서 11 남명도 2003.06.23 2464
1414 호시나비 7월호의 XO 시리즈 1 file 박병우 2003.06.24 2432
1413 혜성인가요? 6 file 정지수 2006.08.08 2036
1412 혜성을 추적하고 싶은데요 2 박정민 2005.03.24 1883
1411 혜성을 볼때 6 김석현 2004.05.29 2329
1410 혜성 촬영 언제까지 가능한가요,..? 1 김순완 2004.05.07 1971
1409 허접 프로그램 하나 올립니다. 6 file 김형근 2005.05.30 3640
1408 행성촬영용으로 Televue Pronto를 사려고 하는데 의견좀 7 김경호 2006.08.21 2679
1407 행성촬영용 Adaptive Optic 제품 8 남기현 2004.12.09 1926
1406 행성촬영 할때 극축? 4 김경호 2006.07.23 2757
1405 행성은 어떻게 사진으로 찍나요. 3 구자환 2005.03.24 2112
1404 행성사진에 도전하려 합니다. 1 이관남 2006.05.29 2157
1403 행성별 시즌에 관하여 1 김여선 2003.09.26 187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