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01.107.100) 조회 수 611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점점 어두워 지고..

날씨예보도 안 좋아지고..

좀 찍어 볼라 했더니 이젠 끝인가요~~ ㅠ.ㅠ


Lovejoy2-550px.gif



  • 김광욱 2015.01.13 14:18 (*.94.23.211)
    3월달까지는 6등급 유지할거라는 전망이 있더라고요. 일단 이번주 다음주가 절정인 것은 맞는데...날씨 좋을때 나가봐야죠 뭐
  • 김태환 2015.01.13 20:45 (*.230.243.225)
    16인치 x2 쌍안으로보니 혜성이 푸르스름하게 보이더라구요~
  • 박영식 2015.01.13 22:20 (*.152.111.99)
    http://www.aerith.net/comet/catalog/2014Q2/2014Q2.html

    광도곡선 보세요. 한동안은 6등급이하로 안떨어 질 것 같습니다.

    근일점 통과하고, 이동속도가 좀 늦어지는 2월이 좀더 촬영하기 쉽지? 않을까요? ^^
  • 김상욱 2015.01.13 22:29 (*.151.120.182)

    혜성의 광도는 어떻게 계산하나 찾아봤는데... 이건 뭐 제 수준으로는 해독불가입니다.^^

    작은 핵을 기준으로 하나요? 아니면 뿌연 코마까지 포함해서 계산하는지요? 꼬리 밝기는 빼고 계산하겠죠?

    궁금해서 질문 드려봅니다.

  • 박영식 2015.01.13 22:53 (*.152.111.99)
    쓰다 보니, 좀 길어졌는데요, 천천히 읽어보시면 됩니다. ^^



    혜성의 등급을 이야기할때는, 안시등급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요즘은 대부분 ccd camera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기 때문에, 17등급 이하의 혜성을 발견하기도 합니다.
    암튼 혜성의 크기가 작을때는 CCD로 차등 측광을 해서 밝기를 구할 수 있지만,
    이번 혜성 처럼 지구 가까이 지나가는 혜성의 경우, 코마가 크기 대문에 CCD로 코마 전체 밝기를 구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그럴때는 안시관측 자료를 활용합니다.

    m1은 코마의 밝기, m2는 코마 안에 보이는 가상핵의 밝기를 말합니다.
    위 링크의 맨 마지막에 있는 그래프는 혜성의 m1을 관측한 자료들(점), 그리고 그 관계 식으로 부터 구한 예상 커브(직선)로 나타내져 있습니다.

    알려져 있는 몇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아래 링크 한번 스윽 보시면됩니다.
    http://www.skyandtelescope.com/observing/how-to-estimate-a-comets-brightness/

    쌍안경으로 보통 많이 활용하는데요...

    혜성과 비슷한 밝기의 별들와 혜성을 번갈아 가면서, 초점을 흐리기도 하고,
    혜성의 코마와 비슷한 크기로 별을 out focusing 시키기도 하고...
    암튼, 몇번 해보면, 비슷한 밝기의 별들과 비교를 해서, 밝은별과 어두운별... 그 중간 쯤에 혜성이 위치하면 적당한 값으로 어림을 하게됩니다.

    혜성의 코마 등급, m1은 아래와 같은 경험식으로 보통 나타냅니다.

    m1 = m0 + log D + 2.5 n log R

    mo : 보통 혜성의 절대등급이라고 하는데요, 지구와 태양에서 각각 1AU 떨어져 있을때의 추정 등급을 말합니다.
    D : 혜성과 지구와의 거리 (AU 단위)
    n : 경험으로 구한 상수(혹은 변수)
    R : 혜성과 태양과의 거리 (AU 단위)


    C/2014 Q2 m1의 관계식은 m1 = 3.5 + 5 log d + 20.0 log r 로 표현이 됩니다.
    러브조이는 n이 8이네요.

    만일, 러브조이가 지구에서 1AU, 태양에서 1AU 떨어지게 되면 뒤에 로그텀이 다 0이 돼서...
    m1은 3.5 등급이 됩니다.


    오늘 러브조이 혜성은, D는 0.48, R은 1.31이므로... 오늘의 예상하는 m1 은 4.25 등급입니다.

    결국 혜성이 밝으려면, m0가 작던가, D와 R이 1AU 보다 작고, 근일점 거리가 가깝고, 혜성자체의 크기가 큰 경우입니다.
  • 김상욱 2015.01.14 09:07 (*.70.145.130)
    말씀하신 대로 스~윽 읽어봤습니다. 재밌네요.
    그런데 광도 측정도 일종의 육체노동이군요.ㅋ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 이건호 2015.01.14 10:07 (*.101.107.100)
    날씨가 계속 안좋네요. 추워져야 하는데...

자유 게시판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 예의는 기본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로그인 문제는 즐겨찾기 주소 확인 부탁드립니다. 5 최승용 2015.04.14 515
공지 [공지] 게시판 이용방법 *** 3 NADA 2004.08.23 10631
109 [re] 정회원 가입신청 2 NADA 2013.07.11 872
108 Canon 200mm F2.8 Lens를 이용한 와이드필드 이미징 3 공석환 2013.10.10 871
107 프레임 뉴튼 경통완성 2 file 이준화 2013.05.30 858
106 [부고] 김영재 회원님 부친상 13 박현권 2014.01.28 855
105 QHY 구매 이건호 2014.01.13 854
104 2015년도 호주 원정관측 계획되신 분들이 있으신가요?? 7 신병석 2014.11.17 853
103 로그인 문제가 아직도 있나요? 15 최승용 2014.04.08 843
102 애스트로 Sony A7s 2 공석환 2015.02.14 840
101 정회원 가입신청 이건호 2013.07.08 838
100 [부고] 황인준 회원님 장인상 17 최승용 2014.01.21 829
99 태양 풍년 8 file 임상균 2014.03.23 796
98 2013 NADA Image Processing Workshop 공지 2 2 file NADA 2013.07.04 789
97 어휴 8 이건호 2013.07.17 775
96 홈페이지 이전방안 7 이건호 2014.02.09 768
95 [전시회]2013 별하늘지기 천체사진 전시회 1 file 안해도 2013.07.21 754
94 회원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 최승용 2014.01.01 725
93 2013 NADA Image Processing Workshop 공지 3 5 file 박영식 2013.07.08 723
92 열정이 식은것 같습니다.. 3 김종호 2014.11.09 713
91 Clear sky 5 공석환 2013.08.21 704
90 알라스카로 오로라 촬영 3 공석환 2015.02.05 686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Next
/ 9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