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92.241.185) 조회 수 1090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인수위 기자실에 있다보니 별은 못보고 이런 기사 있을땐 쫘악 옮기기만 하내요 ^^ 다들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서울신문기사-----

63빌딩만 한 소행성 9일 지구 스쳐간다
2036년엔 충돌 가능성 0.00043%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63시티 크기의 소행성이 9일 지구에 다가온다. 이 소행성은 2029년에는 인공위성보다 더 가까운 거리에서 지구를 스쳐 지나가고, 2036년에는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도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7일 소행성 ‘아포피스’가 9일 오후 8시 43분 지구로부터 약 1450만㎞ 거리까지 접근한다고 발표했다. 지구와 달의 평균거리인 약 38만㎞의 38배 거리다. 아포피스는 2004년 미국의 천문학자들에 의해 발견됐으며 지름 220~330m로 63시티(249m), N서울타워(233m)와 크기가 비슷하다. 규산염 광물로 이뤄져 있으며 지구와 비슷한 328.58일을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고 30.4시간마다 자전한다. 9일 접근에서는 도구 없이는 관찰하기 힘든 밝기여서 남반구에서만 관측이 가능하다. 이서구 천문연 박사는 “아포피스가 북반구 하늘에 나타나는 2월 초중반에 국내외 관측시설을 투입해 감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포피스는 16년 뒤인 2029년 4월 14일 오전 6시 46분에는 지구를 스치는 수준까지 근접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때 고도는 약 3만 1600㎞로 정지위성이 떠 있는 고도인 3만 5786㎞보다 4000㎞나 낮은 지점에서 지구를 통과하게 된다. 비슷한 규모의 소행성이 이처럼 지구에 가깝게 접근할 확률은 약 1000년에 한 번꼴이다.

특히 아포피스는 2029년 4월 14일 지구로 접근할 때 지구 중력에 의해 궤도가 변경돼 2036년 4월 13일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미항공우주국(나사) 측은 이에 대해 “2036년 아포피스와 지구의 충돌 확률은 0.00043%로 매우 희박하다”고 설명했다.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천문 장비 / 이벤트

자작장비 및 천문장비 세팅사진 및 천문행사/번개관측 등의 모습을 담아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3 슬라이딩루프 관측소 23 file 이건호 2005.06.13 3131
102 자작중인 12인치 망원경 9 file 황인준 2004.11.20 3132
101 장마철 시간 보내기... ^^ 4 file 박영식 2005.07.05 3144
100 20인치 1차 조립.... 15 file 박진홍 2005.10.28 3152
99 ADT 피어 14 file 황인준 2007.01.31 3170
98 현재 주력으로 사용중인 장비샷... file 도영재 2006.04.01 3172
97 어제(030628) 강남300번개관측회 사진들-4 file 이윤 2003.06.29 3173
96 캐논 800미리 5.6L 10 file 황인준 2007.11.07 3183
95 일본방문 - 사지 아스트로 파크 103cm 10 file 황인준 2005.11.30 3186
94 실내에서 꼼지락거리기.. 7 file 전영준 2007.04.13 3224
93 NADA 봄맞이 관측회 2008 사진 3 file 박현권 2008.03.24 3224
92 CN212 9 file 박현권 2004.03.28 3229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38 Next
/ 3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