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안녕하세요 ?

저는 celetron 8E경통 망원경을 가지고 성운을 촬영하고 싶은데, Canon 5D MarkIII와 60D중 어느 것이 좋을 까요 ?

둘다 냉각기 설치된 개조 카메라일경우 사진 품질이 크게 차이가 나는지요 ?

 

감사합니다.

윤진철

  • 김종호 2014.03.25 13:21 (*.32.14.169)
    http://www.ideiki.com/astro/EOS.aspx

    위에 보시면 카메라면 픽셀사이즈와 해상도 나와있습니다.
    아무래도 픽셀 사이즈와 해상도가 큰것이 성운에는 더 좋겠지요..
    더 광각을 찍을수 있으니까요..
    c8이면 리듀서 달고 찍으시면 되겠네요..
    찍고싶은 대상의 화각을 확인하실려면..
    요 사이트 들어가셔서 각 망원경별로 해상도.픽셀 입력하시면 화각 나오니 원하는 카메라로 선택하시면 되겠네요.
    품질의 차이는 냉각이니 크게는 차이없겠으나 센트럴ds에 보니 마크3가 더 좋긴하네요..^^

    http://www.newastro.com/book_new/camera_app.php
  • 윤진철 2014.03.25 13:38 (*.77.120.42)
    너무 정확하게 제가 알고 싶은 답변을 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T-Ring에 바로 리듀서를 달면 되나요 ?,
    어디서 들어는 데, 망원경 어뎁터 튜브 그리고 T-Ring, 카메라 순으로 연결 하라고 하는데,
    듀브라는 것이 있던데요. 리듀서와 차이점이 있나요 ?
  • 김종호 2014.03.25 15:55 (*.32.14.169)
    리듀서는 접안부에 직각 다이고날 빼고 장착하시면 됩니다..t링은 카메라 제조사 마다 니콘용,캐논용이 나오고 그 앞에 어댑터 다시고 촬영하시면 되요..
    그 어뎁터는 리듀서와도 맞는것으로 구매해야겠지요..리듀서는 초점을 줄여주는 역할이고 튜브는 말그대로 가운데 뻥뚫린 어뎁터를 말합니다...
    업체에 문의하시면 더 자세히 설명해줄겁니다..^^
  • 윤진철 2014.03.25 16:44 (*.77.120.42)
    감사 드립니다. 아는 것이 있어야 가게 가서 그것 주세요 하는데...., 이젠 감 잡았습니다.
  • 이건호 2014.03.25 13:30 (*.101.107.100)
    화각이 넓으면 좋은 점이 많습니다. 비용이 문제되지 않는다면 막쓰리가 좋겠네요.
  • 공석환 2014.03.25 18:59 (*.138.67.203)

     셀레스트론 8SE 경통은 화면이 평편하지 아니하고 주위로 가면 별들의 모양도 찌그러 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마크쓰리가 좋은 사진기이지만 8SE에는 60D의 작은 칩이 유리할 수도 있습입니다.  마크스리의 큰 화각 주변에는 비넷팅이라고 빛이 부족한 부분도 나올 수 있습니다.

    아니면 마크스리로 찍은 후 가운데만 잘라내는 크롭을 할 수도 있습니다.


    성운 사진을 찍자고 그러시면 셀레스트론 8SE보다 GSO, RC 6인치나 8인치가 더 나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GSO RC의 경우 경통 축을 맞추는 것이 초보자 분들에게는 까다로운 일이 될 수 있습니다.


    다른 댓글에서 맒씀드렸듯이 처음 성운 사진을 시도하시는 경우는 APO로 60-90mm 작은 구경의 굴절망원경이 사용하기 편합니다. 경통 축이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드뭅니다.


    셀레스트론 8SE는 안시 관측으로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리듀서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시도하시는 것이 적도의만 좋으면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하나 더 추가하면 미국 아스트로 마트에 SBIG ST 2000XCM 칼라 CCD가 가끔 중고로 800-900불에 나옵니다.


    그 CCD가 셀프 가이딩을 이용하여 사용하기가 편합니다. 여기 게스트 사진란에 가 보시면 ST 2000xcm과 Televue 76으로 찍은 사진을 올려 놓았습니다.


    그 날 날씨가 그리 좋지 아니하여 아주 좋은 사진은 얻지 못하였지만 처음 성운 등 딮 스카이 촬영을 시도하신다고 하면 위 CCD를 강추합니다.


    나중에 가이딩 CCD로만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600
1422 혹시 처분하실 하늘기획 펜탁스67 무전원 브라켓이...?? 2 이제헌 2005.02.19 2350
1421 혹시 일본웹사이트중에서 천문현상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웹페이지 아시는분 계신가요? 2 이용정 2008.12.26 2746
1420 혹시 이놈들 주인있습니까 ?? 1 file 이상희 2010.03.19 3712
1419 혹시 우레탄폼 구할 수 있는 곳 좀 아시는분? 2 오동혁 2004.07.14 5107
1418 혹시 lx200 에뮬레이터 파는분 안계시나요? 2 김명석 2005.12.18 2059
1417 혹시 AP 1200 GTO 이전모델 쓰시는 분들 계신가요~~? 3 file 박영식 2004.09.23 1966
1416 호주 Perth에서 가까운 관측지 추천바랍니다. 6 file 신병석 2016.04.29 688
1415 호시네이비 7월호에서 11 남명도 2003.06.23 2465
1414 호시나비 7월호의 XO 시리즈 1 file 박병우 2003.06.24 2432
1413 혜성인가요? 6 file 정지수 2006.08.08 2038
1412 혜성을 추적하고 싶은데요 2 박정민 2005.03.24 1883
1411 혜성을 볼때 6 김석현 2004.05.29 2329
1410 혜성 촬영 언제까지 가능한가요,..? 1 김순완 2004.05.07 1971
1409 허접 프로그램 하나 올립니다. 6 file 김형근 2005.05.30 3640
1408 행성촬영용으로 Televue Pronto를 사려고 하는데 의견좀 7 김경호 2006.08.21 2679
1407 행성촬영용 Adaptive Optic 제품 8 남기현 2004.12.09 1926
1406 행성촬영 할때 극축? 4 김경호 2006.07.23 2757
1405 행성은 어떻게 사진으로 찍나요. 3 구자환 2005.03.24 2113
1404 행성사진에 도전하려 합니다. 1 이관남 2006.05.29 2157
1403 행성별 시즌에 관하여 1 김여선 2003.09.26 187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