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97.47.105) 조회 수 1721 댓글 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번 1280*960 , 3.75픽셀

2번 1280-*960, 4.65필셀

 

1번은 제 40mm 솔라스코프에 풀프레임으로 꽉차고

2번은 외곽에 여유가 있는데요.

두제품중 이미지 퀄리티가 어떤게 더 이점이 있나요?

 

2번제품이 제dmk41인데요. 화면에 꽉차게 크롭하면 퀄리티가 좀 떨어지는데요..

차라리 꽉차게 할수 있는 1번 카메라로 바꾸면 2번보다 나을려나요??

 

아니면 3번으로 1024*768 ,4.65픽셀도 화면에 꽉차는데

가장 디테일이 뛰어날 제품은 무엇일까요?? 

 

픽셀크기에따른  퀄리티를 말씀드리는겁니다..^^

픽셀의 크기에따른 이미지 퀄리티..

  • 김광욱 2014.03.04 12:40 (*.94.23.211)
    태양이라면 1번. 장노출이 필요없으니 소자크기가 적은게 디테일 잡기에는 유리하겠죠.
  • 김종호 2014.03.04 12:58 (*.97.47.105)
    픽셀이 작은게 더 촘촘이 박혀있으니 좋다는 말씀이시죠?
  • 이건호 2014.03.04 12:43 (*.101.107.100)

    두개 CCD가 소자 자체가 갖고있는 기본 특성에 따라 성능이 확 달라 지겠죠,
    근데 일반적인 룰을 따른다고 가정을 하면...
    2번 카메라가 크기도 훨씬 크고, 담을 수 있는 전하량도 많을테니,
    저는 2번이 더 좋겠다에 한표 던집니다.
    단, 성능이 떨어지는 것은,,, 동일 광학계에서 해상력 차이인데, 이건 초점길이 변화로 커버하면 되지 않나요?
    난 Skyris 274M을 선택할 때, 뒤도 안돌아보고 큰거 낼름 골랐어요.

    처음 산다면 2번... 지금 가지고 있는게 1번이니까,, 그래서 고민인거죠?? ㅎㅎ

    아 2번을 가지고 있다고 했군요. 음... 내 CCD 빌려가봐요. 

  • 김종호 2014.03.04 13:03 (*.97.47.105)
    저도 원샷용으로 다시 마련할려고하는데 고민중이에요..
    건호님 카메라는 DMK51과 같은 센서를 사용하고있는데
    그때당시에는 40mm 가지고 평생 즐기려해서 41을 산건데
    이놈의 뽑뿌땜시..ㅋ 나중에 번개하면 사용해보져뭐.
    초점길이로 하면 바로우가 1.2배짜리가 없어요..ㅋㅋ
  • 김영렬 2014.03.04 12:56 (*.66.58.81)

    2번 카레라로 촬영할때, 위에 이야기대로 만일 4.65/3.75 = 1.24 로 촛점을 늘리면(바로우등으로)
    픽셀당 해상도가 같아지니까 디테일은 같게 되겠지요.
    결국 픽셀크기는 망원경의 초점거리와 연관해서, 그리고 구경에 따른 최대해상도와 관계해서
    생각해야 하는데, 현재 사용하는 초점길이에서는 우리들 거의 한계 해상도까지 사용하지 않고 있고,
    (바로우를 쓰고, 모자이크하고 해야하니까요. 귀찮아서) 두개는 같은 해상도로 촬영이 가능하겠지요.
    단지, 현상태대로 바로우 없이 사용한다면(1.24 바로우가 없을테니까), 화소를 많이 이용할 수 있는 1번이
    유리할 수 있네요.

    실은, 60미리 솔라맥스도 400밀리 초점거리라, 한장으로 촬영할때 저는 거의 1.24에 가깝게 바로우 사용을 합니다.

    저도 픽셀크기 4.65마이크로인 카메라(DMK41 ) 사용하니까요.

  • 김종호 2014.03.04 13:04 (*.97.47.105)
    흠..1번이라..아..또 돈쓰게 생겼네요..감사합니다~
  • 김영렬 2014.03.04 13:11 (*.66.58.81)

    굳이 이런 이유로 거의 같은 성능의 1번 카레라로 바꾸는 것은 낭비일 텐데요.
    저는 위에 쓴대로 한장으로 할때는 1.24에 가깝게 바로우 사용하지만,
    대개는 1.5배 정도로 바로우 사용해서 2장 모자이크 합니다. 이것이 1.24배로 한장 한것보다 해상도가 좋으니까요.
    그렇다고 더이상 바로우 사용해서 한계해상도까지 늘리는것은 모자이크 장수가 많아져 사용 안하구요.

    제 태양사진은 처음에는 직초, 그러다가 1.2배, 최근에는 1.5배 두장 모자이크로 변해 왔습니다.^^

  • 김종호 2014.03.04 14:01 (*.97.47.105)
    넵..조언 감사합니다. 이리저리 머리굴려봐야겠네요..
  • 김광욱 2014.03.04 13:06 (*.94.23.211)
    굳이 배로우를 구하지 말고, 촛점거리가 1.2배 긴 경통으로!!!! ㅋ
  • 김종호 2014.03.04 13:53 (*.97.47.105)
    헐...ㅋㅋㅋ
  • 이건호 2014.03.04 13:14 (*.101.107.100)
    바로우와 ccd 거리 조정으로 확대율은 맘대로 변화가능한데...
    꽉 맞게 찍는 것도 어렵고 여백이 좀 있어야 ㅎㅎㅎ

    그리고 중요한 사항중에 하나가
    픽셀이 커지면 성능이 좋아져요. 일반적인 룰을 따르면..
    음. 태양 사진을 예를 들면
    노출조정으로 가장 밝은 광구가 새츄레이션 될때 직전까지 노출을 내리는데...
    이때 어두운 홍염까지 찍히냐 안 찍히냐... 요런거도 고민해 보심.
  • 김종호 2014.03.04 14:01 (*.97.47.105)

    원샷이 부러워서요...ㅎㅎ


Q&A 질문과 답변

천체사진, 관측장비, 대상정보,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등에 대해 질의해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을 쓰시기 전에 읽어 보세요~ NADA 2004.05.01 9585
1282 DSLR의 노이즈와 필름의 입자.. 1 박준영 2006.03.11 2407
1281 dslr의 초점 문제... 4 임재식 2006.06.06 2721
1280 dslr케이블 제작시... 2 임재식 2006.11.29 2340
1279 dsrl 케이블제작시.. 트랜지스터 종류 상관없나요? 9 오동혁 2005.11.15 2121
1278 E-180ED 와 STL-11000 체결 방법 3 최훈옥 2015.05.02 500
1277 e200 필름.... 2 임재식 2008.03.17 3090
1276 ef300mm f4랜즈에 광해 필터 장착문의 드립니다.. 1 임종필 2007.02.13 3057
1275 EM 200 이 고장날까 겁이 납니다. 5 성화중 2008.01.07 3352
1274 EM 200관련 문의 5 박성래 2015.04.02 763
1273 EM 200을 THE SKY 6.0으로 구동시.. 초기 setting ? 4 신병석 2005.03.14 2212
1272 EM-10 Temma PC Jr 3 조윤호 2006.05.07 2294
1271 em-10 usd에 대해서 10 윤종성 2005.04.03 1938
1270 EM-10 USD에 사용되는 모터... 2 권기식 2005.03.14 2199
1269 EM-10 백래쉬 문제.. 1 권기식 2007.10.04 3129
1268 em-10b에 올릴만한사진촬영으로 적당한 경통은? 6 김유승 2005.06.21 2056
1267 EM-200 Temma pc.jr의 전원장치에 대해 궁금합니다... 6 노광민 2003.09.27 2716
1266 EM-200 관련 문의 4 박경원 2007.07.21 3749
1265 em-200 극축 맞추는법 가르쳐 주세요~ 4 윤종성 2006.09.18 2327
1264 em-200과 atlux 사진촬영을 비교하면 어떻게되는지요. 4 오동혁 2007.08.27 3040
1263 EM-200선택의 고뇌 4 김완기 2004.11.13 3569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73 Next
/ 7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