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4.204.226) 조회 수 2343 추천 수 147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지금까지 써 왔던 12인치 망원경이 10XE에는 너무 궁합이 좋았기에 좀더 대구경의 뉴튼식 반사망원경 자작을 결심하게 되었다.
하늘의 상태가 오래 균등하게 유지되기 힘든 한국의 하늘이고 보면 빠른 F수는 그만큼 장점이기에 역시 같은 방식으로 가기로 하고 가공비를 줄이기 위해 동료 포섭에 나섰다.
창우씨는 원래 같이 가기로 했고 치밀한 뽐뿌에 선숙래님과 김시태님이 참여를 하기로 했다.
올 봄 CAD를 쓰지 못하는 덕에 파워포인트로 끙끙대며 대략적인 수치와 컨셉을 설계를 했다.
기본 아이디어는 일본 가와가미씨의 프레임 망원경이었는데 개인적으로는 많은 장점이 있어 보이는 구조였으나 15인치는 어떨지 하는 의문이 들었다.
문제는 NJP와 EQ900에 올라갈 장도의 경량화를 추구하되 사진을 찍기 위한 강성 확보였다. 목표는 C14정도의 무게이거나 그 밑이어야 한다.
해서 늘 그렇듯 예전 근무했던 SK건설 플랜트 설계팀의 친구에게 부탁을 해서 하중과 뒤틀림등의 강성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보고 나서야 마음 놓고 착수를 했다.
문제는 가공의 용이성인데 조창우씨 말들은 아주 흔쾌히 "됩니다"의 연발..
결국 CAD를 이용한 세부 설계와 가공의뢰는 조창우씨가 맡고 진행이 되었는데 조잡한 파워포인트 설계도는  조창우씨를 많이 괴롭혔을 것이다.
아마도 진행중 이와 관련해서 손폰으로 조창우씨와 통화 한 것만 거의 30시간 이상이었을 것이다.
조창우씨가 참 고생 많이 했다.
고마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우선 사진의 설명인데 가장 고민을 많이 했던 부분인 미러셀 부분이다. 중간에 두번의 설계변경 끝에 지금의 모습이 완성 되었는데 아주 만족스럽다.
하중을 받는 주요부분은 두랄루민 70계열을 썼고 또한 마지막 망원경일 것이란 생각으로 가공에 많은 사치를 부렸다.
두번의 가조립중 가공이 잘못 된 부분 때문에 바뀐 것은 상판 플레트와 주경 광축 조정 방식이다.
윗 플레이트는 CNC로 따낸 면이 밑으로 가야 하는 것을 위로해서 그냥 쓰기로 한것이고 미러셀 역시 기초 설계의 오해로 뒷 봉 지지 플레이트 앞에 가도록 설계 한 것을 뒤로 빼고 나사산을 그대로  쓸 요량으로 경통 앞쪽에 조정 나사를 배치했다.
어제 광축 조절하면서 써본 결과는 사용의 용이성 면에서 대 만족이다.
밑의 적도의 연결 플레이트는 두께가 약간 앏은 듯 해서 아마도 다시 두툼한 놈으로 나중에 다시 가공을 해야 할 듯 싶다.

  • 박정용 2005.11.02 08:42 (*.117.115.182)
    여러가지 고심한 흔적이 여기저기서 보입니다.
    저렇게 꼼꼼히 생각하고 고생해서 만들었는데 당근..최고로 잘보여야지요..
    정말 멋있습니다.
  • 박진홍 2005.11.02 09:23 (*.104.85.29)
    많이 생각하고 만드신 만큼 만듬새도 예사롭지 않습니다.
    성능 또한 최고지 싶습니다.
    첫 작품이 기대됩니다 ^^;
  • 유종선 2005.11.02 09:39 (*.155.240.11)
    정말 망원경이 neat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크지만 참 예쁜넘이 될거 같습니다.
  • 최승용 2005.11.02 14:10 (*.255.146.12)
    주경 테두리 고정 하는 부분이 참 마음에 들게 가공이 되었군요.
    이런 방식으로 하고 싶었는데도 하지 못하는 심정....
    고심한 흔적이 여기저기 보입니다.
  • 조창우 2005.11.03 00:26 (*.248.26.195)
    이 망원경에서 유일하게 마음에 드는 부분이 주경 측면 고정 방식 입니다... ^^;

천문 장비 / 이벤트

자작장비 및 천문장비 세팅사진 및 천문행사/번개관측 등의 모습을 담아봅니다.

  1. 051119_parkjungyong

    박정용씨의 12인치 반사 망원경이 처음으로 이슬을 맞는 날이었습니다. 그러나 카메락 후진(?)995라서 좋은 이미지로 찍을 수 없었습니다. 다만 흔적만 남깁니다. 다음에 박정용씨의 카메라도 근사하게 올리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Date2005.11.21 By최승용 Views2969
    Read More
  2. 20인치 3차 조립...

    중간 점검을 위해 20인치를 SX260 적도의에 올렸습니다. 무게추가 부족해... 천문대에 놀고 있는 추 5개(약 30kg)를 추가해서... 추 무게만 대략 110kg 정도 됐습니다. 애당초 초점 확인만을 목표로 했습니다만 추현석 선생님께서 중간에 도와주신 덕분으로 ...
    Date2005.11.13 By박진홍 Views2744
    Read More
  3. 15인치 뉴튼 자작 - 3 : 완성

    가공이 끝난 상태에서도 사진을 찍을 수 있을 정도로 까지 만들기에는 아주 일이 많다. 새 망원경을 사도 곧 작품이 나오지 않는데는 여러가지 예기치 못한 곳에서 트러블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일단 정리해 보면 1. 호마이카를 원형으로 말아 뒷셀 쪽에 붙이...
    Date2005.11.02 By황인준 Views3125
    Read More
  4. 15인치 뉴튼 자작 - 2 : 앞셀

    파이프 앞 쪽을 지지해 주는 앞쪽 셀의 모습이다. 이 부분은 기초 설계에서 바뀌어서 많은 부분이 조창우씨 오리지날로 가공 되었다. 아마도 가장 고심스러웠던 부분은 주변 감광이야 감안하더라도 35미리 이상의 이미지 서클이 나오도록 설계하며 접안부에 ...
    Date2005.11.02 By황인준 Views2151
    Read More
  5. 15인치 뉴튼 자작 - 1 : 뒷셀

    지금까지 써 왔던 12인치 망원경이 10XE에는 너무 궁합이 좋았기에 좀더 대구경의 뉴튼식 반사망원경 자작을 결심하게 되었다. 하늘의 상태가 오래 균등하게 유지되기 힘든 한국의 하늘이고 보면 빠른 F수는 그만큼 장점이기에 역시 같은 방식으로 가기로 하...
    Date2005.11.02 By황인준 Views2343
    Read More
  6. 15인치 뉴톤

    나다관측소에 설치된 15인치 망원경입니다. 무지 튼튼하고 잘 만드셨더군요. 앞으로 나올 이미지가 기대됩니다. 윗 사진이 선숙래님의 망원경이고... 아래 사진의 황인준님 망원경은 오늘 첫 촬영이 있다고 합니다. 기대하세요... 두둥~
    Date2005.10.31 By이건호 Views2518
    Read More
  7. 20인치 1차 조립....

    생각보다 너무 크더군요. 천정이 낮아 완전 조립은 어렵고.... 두 덩어리로 나눠서 조립 해봤습니다. 렌즈까지 포함하면 현재 무게... 89kg.... 적도의 뿌러지겠습니다. 몇몇군데 수정을 한다하면 75kg 정도 나갈테고~~ 렌즈셀 부분을 획기적으로 바꾼다면......
    Date2005.10.28 By박진홍 Views3152
    Read More
  8. 15인치 돕소니언 업글

    보고 쓸 수록 정이가는 15인치 돕소니언에 이번엔 엔코더를 붙였습니다. 망원경을 상하좌우로 돌리면 엔코더가 움직임 량을 검출하여 PDA의 The SKY 성도 프로그램에 알려줍니다. 그러면 PDA의 화면상의 성도에서 현재 망원경이 가르키고 있는 위치를 동그랗...
    Date2005.10.25 By이건호 Views3680
    Read More
  9. 반사망원경 제작 프로젝트

    ****15인치 반사망원경 조립**** 일시 : 2005년 10월 21일 장소 : 아산 HO-BYM 관측소 참가자 : 황인준, 조창우, 선숙래 올 봄부터 진행한 15인치 뉴톤식 반사망원경을 조립하는 순간들입니다. 주경을 기다리는 지루한 시간들을 이겨내고,드디어 15인치 망원...
    Date2005.10.23 By선숙래 Views2931
    Read More
  10. C-14 XLT Fastar

    급한 마음에 Atlux 마운트에 세팅을 해봤습니다. Astrozap 알미늄 듀쉴드를 달지 않은 상태에서 가까스로 무게가 맞습니다. 그러나 삼각대로는 불안하네요.. 피어로 바꿀경우 충분하지는 않아도 어느 정도 사용이 가능하리라는 생각이 듭니다. 11인치와 달리 ...
    Date2005.10.18 By박대영 Views2747
    Read More
  11. RCX-400 12인치

    지난 덕초현 스타파티에 나온 미드의 신형 망원경입니다. 각종 전자장비를 내장하고 있는 로보틱망원경이라고 생각됩니다. 직접 보지는 못 했으나 안시도 잘 보인다고하니.... 사진성능도 기대가 많이 됩니다. 스타파티에서 찍어 놓은 다른 사진들도 아래주소...
    Date2005.10.13 By이건호 Views4741
    Read More
  12. NADA 천체사진전

    http://astrophoto.co.kr/zeroboard/zboard.php?id=freeboard&no=31NADA (http://astronet.co.kr) 회원들의 천체사진 42점이 지난 2005년 덕초현 스타파티에서 전시되었습니다. 8X10 인치 사이즈로 디지털 출력되어 가지런히 전시된 사진들에서 지난 1~2 년간...
    Date2005.10.10 By이건호 Views178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38 Next
/ 3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