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4.204.226) 조회 수 2343 추천 수 147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지금까지 써 왔던 12인치 망원경이 10XE에는 너무 궁합이 좋았기에 좀더 대구경의 뉴튼식 반사망원경 자작을 결심하게 되었다.
하늘의 상태가 오래 균등하게 유지되기 힘든 한국의 하늘이고 보면 빠른 F수는 그만큼 장점이기에 역시 같은 방식으로 가기로 하고 가공비를 줄이기 위해 동료 포섭에 나섰다.
창우씨는 원래 같이 가기로 했고 치밀한 뽐뿌에 선숙래님과 김시태님이 참여를 하기로 했다.
올 봄 CAD를 쓰지 못하는 덕에 파워포인트로 끙끙대며 대략적인 수치와 컨셉을 설계를 했다.
기본 아이디어는 일본 가와가미씨의 프레임 망원경이었는데 개인적으로는 많은 장점이 있어 보이는 구조였으나 15인치는 어떨지 하는 의문이 들었다.
문제는 NJP와 EQ900에 올라갈 장도의 경량화를 추구하되 사진을 찍기 위한 강성 확보였다. 목표는 C14정도의 무게이거나 그 밑이어야 한다.
해서 늘 그렇듯 예전 근무했던 SK건설 플랜트 설계팀의 친구에게 부탁을 해서 하중과 뒤틀림등의 강성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보고 나서야 마음 놓고 착수를 했다.
문제는 가공의 용이성인데 조창우씨 말들은 아주 흔쾌히 "됩니다"의 연발..
결국 CAD를 이용한 세부 설계와 가공의뢰는 조창우씨가 맡고 진행이 되었는데 조잡한 파워포인트 설계도는  조창우씨를 많이 괴롭혔을 것이다.
아마도 진행중 이와 관련해서 손폰으로 조창우씨와 통화 한 것만 거의 30시간 이상이었을 것이다.
조창우씨가 참 고생 많이 했다.
고마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우선 사진의 설명인데 가장 고민을 많이 했던 부분인 미러셀 부분이다. 중간에 두번의 설계변경 끝에 지금의 모습이 완성 되었는데 아주 만족스럽다.
하중을 받는 주요부분은 두랄루민 70계열을 썼고 또한 마지막 망원경일 것이란 생각으로 가공에 많은 사치를 부렸다.
두번의 가조립중 가공이 잘못 된 부분 때문에 바뀐 것은 상판 플레트와 주경 광축 조정 방식이다.
윗 플레이트는 CNC로 따낸 면이 밑으로 가야 하는 것을 위로해서 그냥 쓰기로 한것이고 미러셀 역시 기초 설계의 오해로 뒷 봉 지지 플레이트 앞에 가도록 설계 한 것을 뒤로 빼고 나사산을 그대로  쓸 요량으로 경통 앞쪽에 조정 나사를 배치했다.
어제 광축 조절하면서 써본 결과는 사용의 용이성 면에서 대 만족이다.
밑의 적도의 연결 플레이트는 두께가 약간 앏은 듯 해서 아마도 다시 두툼한 놈으로 나중에 다시 가공을 해야 할 듯 싶다.

  • 박정용 2005.11.02 08:42 (*.117.115.182)
    여러가지 고심한 흔적이 여기저기서 보입니다.
    저렇게 꼼꼼히 생각하고 고생해서 만들었는데 당근..최고로 잘보여야지요..
    정말 멋있습니다.
  • 박진홍 2005.11.02 09:23 (*.104.85.29)
    많이 생각하고 만드신 만큼 만듬새도 예사롭지 않습니다.
    성능 또한 최고지 싶습니다.
    첫 작품이 기대됩니다 ^^;
  • 유종선 2005.11.02 09:39 (*.155.240.11)
    정말 망원경이 neat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크지만 참 예쁜넘이 될거 같습니다.
  • 최승용 2005.11.02 14:10 (*.255.146.12)
    주경 테두리 고정 하는 부분이 참 마음에 들게 가공이 되었군요.
    이런 방식으로 하고 싶었는데도 하지 못하는 심정....
    고심한 흔적이 여기저기 보입니다.
  • 조창우 2005.11.03 00:26 (*.248.26.195)
    이 망원경에서 유일하게 마음에 드는 부분이 주경 측면 고정 방식 입니다... ^^;

천문 장비 / 이벤트

자작장비 및 천문장비 세팅사진 및 천문행사/번개관측 등의 모습을 담아봅니다.

  1. 15인치 뉴튼 자작 - 3 : 완성

    가공이 끝난 상태에서도 사진을 찍을 수 있을 정도로 까지 만들기에는 아주 일이 많다. 새 망원경을 사도 곧 작품이 나오지 않는데는 여러가지 예기치 못한 곳에서 트러블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일단 정리해 보면 1. 호마이카를 원형으로 말아 뒷셀 쪽에 붙이...
    Date2005.11.02 By황인준 Views3126
    Read More
  2. 15인치 뉴튼 자작 - 2 : 앞셀

    파이프 앞 쪽을 지지해 주는 앞쪽 셀의 모습이다. 이 부분은 기초 설계에서 바뀌어서 많은 부분이 조창우씨 오리지날로 가공 되었다. 아마도 가장 고심스러웠던 부분은 주변 감광이야 감안하더라도 35미리 이상의 이미지 서클이 나오도록 설계하며 접안부에 ...
    Date2005.11.02 By황인준 Views2151
    Read More
  3. 15인치 뉴튼 자작 - 1 : 뒷셀

    지금까지 써 왔던 12인치 망원경이 10XE에는 너무 궁합이 좋았기에 좀더 대구경의 뉴튼식 반사망원경 자작을 결심하게 되었다. 하늘의 상태가 오래 균등하게 유지되기 힘든 한국의 하늘이고 보면 빠른 F수는 그만큼 장점이기에 역시 같은 방식으로 가기로 하...
    Date2005.11.02 By황인준 Views2343
    Read More
  4. 15인치 뉴톤

    나다관측소에 설치된 15인치 망원경입니다. 무지 튼튼하고 잘 만드셨더군요. 앞으로 나올 이미지가 기대됩니다. 윗 사진이 선숙래님의 망원경이고... 아래 사진의 황인준님 망원경은 오늘 첫 촬영이 있다고 합니다. 기대하세요... 두둥~
    Date2005.10.31 By이건호 Views2519
    Read More
  5. 151031 판교태양번개

    오늘 판교태양번개 사진입니다. 김영렬교수님,어진선님 저까지 3인이 11시부터 5시가지 함꼐 했습니다.^^ 일단 쿼크와 코로나도 에탈론의 더블필터 테스트는 시상이 좋은날 다시 시도해 보기로 하였습니다. 코로나도 60에서는 잘되는대...비슷한 초점거리 샾...
    Date2015.10.31 By도영재 Views795
    Read More
  6. 14.3.23일 판교 태양번개 관측회

    오늘 재미있엇습니다~^^ 옥상에서 먹은 공짜 짜장면도 맛났구요~^^ 담엔 제가 쏠께요..본의 아니게 공짜점심을 얻어먹었네요.. 오랜만에 뵙는 이건호님..처음뵙는 임상균님.도영재님.김영렬님.공석환님 모두 반가웠습니다~^^ 종종 낮에 보면 좋겠네요..^^ 120m...
    Date2014.03.23 By김종호 Views1211
    Read More
  7. 13일 천문인마을

    금요일 밤엔 날씨가 좋아서인지 많은 분들이 오셨습니다.영하 4도까지 내려갔는데,작년 영하 20도 보다 더 춥게 느껴지는 밤이어서 소주 네다섯잔을 마셔도 겨우 추위를 이길 정도였습니다. NADA 회원으론 천문인 마을 마당에 저(선숙래)와 이준화 교수님,김...
    Date2004.11.15 By선숙래 Views2953
    Read More
  8. 12inch LX200 + Atlux

    8인치로는 더이상 토성을 크게? 찍을 수 없기에... Meade LX200 12inch 경통을 포크에서 떼어냈습니다. 역시 혼자하니까 넘 힘드네요... ㅡㅡ; . 경통밴드가 없어서... 아트럭스위에 올릴수가 없었고... 임시로 2미리 철판 잘라서 잘 말아서? 두겹씩 겹쳐서 ...
    Date2006.02.24 By박영식 Views2604
    Read More
  9. 1200GTO가 역사속으로 사라졌네요..^^

    오래간만에 뵙습니다..다들 잘 계시는지요..^^ 모처럼 AP GTO 유저갤러리에 들어가보니 롤란도옹께서 1200은 더이상 생산안되고 한층 업그래이드된 1600을 생산한다고 글을 올려놓셧네요..본인의 비유데로 토요타 캠리의 렉서스 버전이라고 설명을 하십니다. ...
    Date2012.04.25 By김영재 Views1418
    Read More
  10. 10인치 설치후...

    조창우씨의 도움으로 플레이트에 구멍내서 10인치 반사를 SX260적도의에 탑재했습니다. 사진 좌축의 적도의는 이번에 구입한 EM200Temma... ^^; 문제는.... 경통은 밴드포함 17kg인데 거게에 달만한 적당한 추가 없었습니다. 이래저래 구상끝에.... 무게추 껍...
    Date2004.06.20 By박진홍 Views2349
    Read More
  11. 10인치 사진용 경통...

    올 봄에 사용해볼 요량으로... 2월 초부터 근 한달여간 10인치 경통을 손보고 있습니다. 전 사용자분께 히스토리?들 들었더니... 나다분들 손길을 많이 거쳐간 망원경이더군요... 제손에 오래남아있을지는 미지수이지만... 일단 똘똘한 상을 얻을때까지 계속 ...
    Date2011.03.03 By박영식 Views3004
    Read More
  12. 10" F4 ADT

    이번에 ADT에서 제작한 10" F4의 모습입니다. 별을 촬영했던 장소가 별로 안좋아 다음에 좋은 곳에서 촬영해서 전체모습을 올리겠습니다. 전체 모습은 어린아이처럼 머리가 커보이는 가분수인데 귀엽습니다.^^
    Date2007.04.21 By김영혜 Views297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Next
/ 3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