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Planetary Nebula
2008.07.10 18:03

080709_m27

(*.78.47.6) 조회 수 2422 추천 수 240 댓글 13




근래에 보기 드문 날이 이틀 연짱 계속 되는 8일과 9일 밤 때문에 잠이 부족 하군요.^^

달이 있어서 느즈막히 안산 일대학으로 출동 하여 아주 느긋하게 장비를 설치하고 냉각을 시킵니다.
불어 오는 바람은 반팔의 옷차림에 아주 좋았습니다.
집에 있었으면 조금 덥다 느꼈을 때겠지요..

출동 목적은 날씨도 날씨였지만 코마코렉터 테스트였습니다.
지금까지 써 오던 MPCC와 파라코어의 비교를 해 보고자 였는데
결과적으로는 비슷하지만 파라코어가 조금 더 성능이 좋은 듯 합니다.
어쩌면 적정 거리를 가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좀 더 좋은 성능을 보여 주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결정적으로 광축이 정확하지 않아서 쪼물딱 거리다가 새벽 2시가 넘어가고 있어서 출동 증거 사진이나
하나 찍어 보고자 해서 찍은 M27 입니다.

광축이 맞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FWHM은 1.4까지도 떨어지더군요.
그런데 장노출을 주면 별이 길죽하게 찍혀 버립니다.
날씨를 받쳐 주지 않는 광축이 야속하기도 하고...^^

안산의 도시속에서 찍을 수 있는 대상은 거의 한정적 입니다.
비교적 밝고 큰 대상은 이것 밖에 없어서 저의 주 대상 입니다.^^

촬영시간 : 2008년 7월 10일 새벽
촬영장소 : 안산 일대학
망원경 : ADT 10inch F4 카본
적도의 : 다카하시  NJP TEMMA 2
카메라 : SBIG 2000XM(-10c) + STL용 파라코어
가이드 망원경 : 펜탁스 75SDHF
가이드 카메라 : QHY5

L : 5min x 5ea(1x1)
R : 5min x 5ea(1x1)
RB : 5min x 3ea(1x1)
Ha : 10min x 3ea(1x1)

No flat.

(이미지는 원본 크롭 입니다.)
  • 고창균 2008.07.10 18:15 (*.7.236.216)
    오랜만에 아주 쨍한 작품들고 나오셨습니다. 언제 보아도 도심에서 찍은 이미지라곤 믿질 못하겠습니다.
  • 김일순 2008.07.10 20:38 (*.125.233.212)
    사진에 폭빠져서 감상하다가.... 안산 이라는 거 알고 깜딱 놀랬습니다.
  • 최훈옥 2008.07.10 22:09 (*.171.185.146)
    아아 밑에사진 올린게 쪽팔리네요 ㅎ
    저도 반사망원경 쓰는데, 가이드망경으로 가이드하면 가이드 에러가 안남에도 별이 길어지거든요.
    같은 문제인것 같은데, 아마 미러 쉬프트 때문이겟지요?
    밑에 C-14로찍은건 RMS가 2가 넘음에도 불구하고 별이 점상인데...역시 셀프가이드겠어요 ^^
  • 전영준 2008.07.10 22:53 (*.232.25.61)
    흐걱...
    이건 먹다버린 사과가 아니라 쪼글쪼글 껍질채 말라버린 사과네요..내부 성운의 주름모습이 인상적입니다.
  • 김호섭 2008.07.11 04:06 (*.53.169.82)
    Dumbbell 성운이 며칠사이에 세개나 올라왔네요. 대구경으로 속살을 분해해 버린 환상적인 사진입니다.
    언젠가 S&T지에서 읽은 기억이 나는데 이 성운안에 14등급짜리 변광성이 하나있다는데 세개의
    사진을 비교해보니 훈옥이 찍은 사진에 빨간별하나가 보이네요. 나머지 두사진은 노란색...이름이
    Goldilocks Variable이라고 하던데...훈옥과 승용님 사진엔 10시반방향, 영준샘사진엔 4시반 방향에 있네요.
  • 신범영 2008.07.11 17:42 (*.241.50.130)
    오랜만에 멋진 사과사진을 들고 오셨네요.^^
    훈옥군 얘기대로 반사망원경을 가이드경으로 가이드할 때, 가이드가 잘되는데 별상이 길어지면 미러쉬프트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비축가이더를 쓰거나 셀프가이드를 하는 것이 대안인데 그 경우에도 또 다른 고민거리는 생기는 것 같습니다.
    반사경통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 권기식 2008.07.11 23:08 (*.254.205.190)
    입체적인 사과네요~
    출동 증거 사진이 아주 멋지네요~
  • 김삼진 2008.07.12 08:52 (*.131.71.38)
    큼지막하니 먹음직 스럽습니다.안산 일대학에서 대단합니다.^^
  • 김형석 2008.07.12 18:12 (*.120.76.25)
    건강하시죠? ^^ 정말 보기 좋은 안산표 사과네요.
  • 선숙래 2008.07.12 21:01 (*.127.240.17)
    성운의 색감도 좋고 주변의 성운기도 아주 잘 보이네요.
    미러쉬프트 골차 아프지요.미러를 본드로 꽝 붙여버렸으면 좋겠어요.
    실리콘으로 붙인 것을 테스트하고 있다고 하니 기대해 보고 있습니다.
  • 박영식 2008.07.13 21:55 (*.26.42.56)
    저는 언제 이렇게 크게 찍어보나요... ^^
    멋집니다.
  • 박정용 2008.07.14 12:31 (*.134.62.49)
    내부 주름이 압권이군요.
    누가 안산에서 찍었다고 하겠습니까?
    대단합니다.
  • 이건호 2008.07.14 23:40 (*.111.240.33)
    멋들어진 사과 끝내주게 좋은데요!!!
    이제 광축을 어느정도 잡으셨나봐요!

  1. 080502-M13

    촬영일: 2008년 05월 02일 촬영지: 대부도 대남초교 망원경: SMC 12"(300mm Newtonian, f4) 적도의: EQ 1200 GTO 카메라:SBIG 2000XM(-20도) L : 95m(1x1) R : 30m(1x1) G : 30m(1x1) B : 30m(1X1) 찍어본 M13중에 별이 가장 많이 찍혔습니다. 하늘이 좋고 시...
    Date2008.05.13 CategoryStar Cluster By박정용 Views1847
    Read More
  2. 080531_ngc6992

    2008년 5월 31일 토요일 밤 안산 일대학에서의 관측 결과 입니다. 봄 날씨 같지 않은 요즘 하늘에 많은 기대를 하는 날이었지만 멀리 가지 못한 이유로 안산 일대학에서 조촐한 테스트가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굴절 입니다. Pentax 75SDHF... 소구경에 넓은 ...
    Date2008.06.03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656
    Read More
  3. 080608_polaris

    2008년 6월 8일 일요일 밤.... 방의 창문을 열고 망원경을 책상에 거치하고 밑받침으로는 아이의 의자를 놓고 책 몇권을 놓으면 북극성이 바로 망원경의 시야에 잡힙니다. 이렇게 해서 가끔씩 광축을 확인 하는 작업을 하는데 이용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외...
    Date2008.06.09 CategoryDouble/Variable Star By최승용 Views2734
    Read More
  4. 080709_m27

    근래에 보기 드문 날이 이틀 연짱 계속 되는 8일과 9일 밤 때문에 잠이 부족 하군요.^^ 달이 있어서 느즈막히 안산 일대학으로 출동 하여 아주 느긋하게 장비를 설치하고 냉각을 시킵니다. 불어 오는 바람은 반팔의 옷차림에 아주 좋았습니다. 집에 있었으면 ...
    Date2008.07.10 CategoryPlanetary Nebula By최승용 Views2422
    Read More
  5. 080806_ngc7635

    2008년 8월 6일 밤... 안산 하늘은 안개 때문에 천정의 하늘만 그럭저럭 보이고 고도가 낮은 하늘은 완전히 구름 같은 안개.... 요즘 해수의 냉수대가 발달해서 해무가 많이 발생 한다고 합니다. 별을 보는 우리들로써는 아주 좋지 않은 징조지요. 더구나 저...
    Date2008.08.07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791
    Read More
  6. 080807_m33

    2008년 8월 7일 퇴근 무렵의 하늘이 워낙 좋아 보여서 피곤하지만 출동을 했습니다. 아직도 해무가 걱정이 되기는 했지만 과감히 대부도로 향했습니다. 하늘은 맑아 보이는데 많은 별들이 보이는 것 같지는 않고 어제 정도의 하늘이었으면 은하수도 어느정도 ...
    Date2008.08.08 CategoryGalaxy By최승용 Views1953
    Read More
  7. 080823_ic5146_cocoon

    2008년 8월 23일 토요일... 하늘이 좋을 것이라는 예보와는 다르게 저녁까지 하늘이 좋지 않아서 낮잠을 자기도 하면서 빈둥빈둥 놀고 있었는데 하늘이 열리는 감이 보여서 대부도로 출동 했습니다. 많은 기대도 없었고 또한 달이 10시 정도에 뜨는 날이라서 ...
    Date2008.08.25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689
    Read More
  8. 080823_m16_eagle

    2008년 8월 23일 토요일 밤 대부도 대남초교에서 서쪽으로 이미 많이 기울어 버린 독수리 자리의 M16을 테스트 삼아 찍어 보았습니다. 관측 장소의 여건 상 남쪽 은하수 부근의 대상은 좀처럼 기회가 없습니다. 장마다 머다 해서 출동해도 장비 설치하면 이미...
    Date2008.08.26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899
    Read More
  9. 080903_ngc281_packman

    2008년 8월 27일 토요일 밤부터 일요일 아침까지 날밤을 세면서 찍은 Ha 이미지와 9월 3일 새벽에 촬영한 rgb를 이용하여 Hargb 합성한 팩맨 입니다. 공을 들인 시간은 많은데 가이드 에러가 나든지 초점이 정확하지 않던지 하는 여러가지 에러가 발생해서 합...
    Date2008.09.03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800
    Read More
  10. 080906_ngc6888_Crescent nebula

    2008년 9월 6일 밤 대남초교에서 촬영한 초승달 성운 입니다. 토요일 아침에는 하늘이 좋았는데 오후가 되면서 하늘이 나빠져 9시가 다 되어 대남초교에 도착 했습니다. 하늘은 박무가 있어서 그런지 시상도 좋지 못했나 봅니다. 별들이 부어 보이더군요. 그...
    Date2008.09.08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804
    Read More
  11. 081002_VDB142 in IC1396

    2008년 10월 1일 관측 시작해서 2일 새벽에 촬영한 코끼리 입니다. 10월 1일 아침은 날씨가 아주 좋았는데 갑자기 구름이 생기기 시작 하더니 오후 들어서는 완전히 망가져 버리더군요. 그래도 기상도 잘 보고 하늘 보고 손가락에 침 뭍혀서 바람의 방향도 보...
    Date2008.10.02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619
    Read More
  12. 081016-M1

    촬영일: 2008년 01월 16일 촬영지: 대부도 대남초교 망원경: SMC 12"(300mm Newtonian, f4) 적도의: EQ 1200 GTO 카메라:SBIG 2000XM(-35도) L : 40m(1x1) R : 60m(1x1) G : 30m(1x1) B : 30m(1X1) 달이 있다 하여도 갈증때문에 대부도로 향하였습니다. 금년...
    Date2008.01.21 CategoryNebula By박정용 Views183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