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8.01.31 16:02

M42, 50초 사진 - QHY8의 진실은?

(*.147.216.39) 조회 수 2242 추천 수 475 댓글 6


위 사진 어때 보이나요?  

어제 아산 황인준님의 HOBYM 천문대를 방문하였습니다.  몇몇 별지기님들과 함께 였었지요.  전 장비가 전부 양평에 있는지라 카메라만 가지고 갔었는데 황인준님이 마운트와 FD300 2.8L렌즈를 빌려주셔서 잠깐 찍어보았습니다.  마운트는 Vixen SXD였는데 이런 종류의 마운트가 익숙치 않아 어려움을 좀 겪었습니다.  그래서 결국은 고투없이 수동으로 M42를 CCD에 넣어 사진을 찍었습니다.

가이딩 시스템없이 노터치로 사진을 찍을 계획이었는데 문제는 극축정렬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처음 사진을 찍을 때는 가이딩 한계노출시간이 15초!  파인더나 눈으로 볼 수 없는 상태에서 구도까지 맞춰놓은 상태라 방위각만 표류이탈로 어느 정도 손을 봤더니 약 50초까지는 흐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50초로 사진을 찍기 시작했습니다.  계획은 100장 정도 찍어 S/N비를 올려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알아보기로 했었으나 마운트 사용이 익숙치 않아 12장밖에는 못찍었습니다.  M42가 밝은 대상이라서 그런지 50초 노출에도 보여줄 것은 다 보여준다 였습니다.  좋은 하늘조건에 접해보니 QHY8의 감도가 떨어진다는 생각은 전혀 들지 않았습니다.  황인준님 의견대로 모노 CCD 정도의 노출시간을 준다면 그다지 감도차이는 없어 보였습니다.

다른 분들은 여전히 관측을 하고 있었지만 저는 천문대 라운지(?)에서 차도 마시고 음악도 들으며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다 문득 생각이나 SXD의 극축을 맞추었고 그 이후 2분 정도 노터치 가이드를 해보았는데 별은 하나도 흐르지 않았습니다.  이런 류의 마운트는, 장단점이 있겠지만 활용가치가 충분히 있어보입니다.  잠깐 활용해본 고투기능은 매우 막강해 보였으니까요.  스타북은 저한테는 오히려 불편했지만 이런 게 편한 사람들도 분명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단초점 망원경과 디카나 CCD를 이용한 노터치 가이드에서 충분한 효력을 발휘 할 만한 성능을 갖춘 마운트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Optics: Canon FD 300 2.8L @F/4
Mount: Vixen SXD No touch guide
Camera: QHY8
Exposure: 50sec x 12
  • 전영준 2008.01.31 17:01 (*.238.80.182)
    김형석님과 저의 촬영에 좌절모드를 드리웠던....ㅎㅎ
    단노출의 한계는 있겠지만 이렇게 적당히 밝은 대상들은 이런 새로운 시도도 의미있어 보입니다.
  • 유종선 2008.02.01 09:13 (*.155.237.172)
    50초 노출이라니 무척 놀랍습니다.
    DSLR의 ISO1600만을 쓰던 저로서는 QHY의 감도가 무척이나 아쉽더군요. 게인과 옵셋을 더 조절해 봐야겠지만 말이죠..
    혹시 옵셋과 게인은 얼마정도를 놓고 찍으시나요?
  • 박대영 2008.02.01 13:58 (*.129.121.45)
    이 사진의 게인값은 '63', 옵셋값은 '140'이었습니다. 보통은 게인 '50', 옵셋 '110'에 놓고 찍는데 아직 실험을 해보지 않았으므로 이들 수치의 차이가 뭔지는 모르겠습니다. 다만 직감적으로 큰 수치가 조금 더 높은 감도를 보이지 않을까 해서 위의 인수값을 적용했습니다.
  • 권기식 2008.02.01 14:28 (*.254.209.177)
    50초 노출에도 멋진 오리온이군요..
    부산 기장에서 3분 짜리랑 별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게인은 DSLR에서 말하는 ISO값인 것 같구요...
    오프셋은 왜 쓰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 약한 빛에도 반응하도록 하기 위해서 약간의 바이어스를 추가해서 가해주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 황인준 2008.02.02 10:29 (*.207.103.248)
    제가 오늘 300을 쓰려합니다. 노터치로다가...^^
  • 김형석 2008.02.02 11:25 (*.253.198.2)
    이 사진을 보면 장시간 노출주는게 삽질하는 것 같다는 느낌이 ^^

  1. M27

    모처럼 시간도 되고, 날씨도 좋아서 양천 별사랑 모임 김준호씨와 함께 음성 대소마을 성당에 근무하는 김정호선생에게 갔습니다. 맑은 하늘에 작년의 옷을 벗어내고 새 옷을 갈아 입는 산들을 보면 마음까지 시원해지고 상쾌해집니다.-역시 차들이 많아 많이...
    Date2007.04.29 CategoryNebula By육호준 Views2279
    Read More
  2. 북아메리카성운

    딮스카이필터를 끼우고 캐논 10D에 감도800 200mm 1.8L렌즈(개방조리개)로 120초x7매 합성했습니다. 포토샵에서Level조정했습니다. 필터가 기대이상으로 효과적이었습니다.
    Date2003.07.31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2277
    Read More
  3. SH2-240 재도전

    [촬영정보] - Pentax 125SDP (+reduser F4.9) - NJP Temma pc - STL11000M/C2 (+ Astrodon Tru-Balance H-a, LRGB Filters) - STV autoguider - 2007-2-15, 2-19 / 강원도 수피령 - Ha:R:G:B = 180(min):60:60:60 (-40도) Ha 15min*12(1*1), RGB 각각 10min*6...
    Date2007.02.23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2276
    Read More
  4. SH2-240(Simeis147)

    ||1-NADA 제1천문대 -PENTAX 67 SMC 165mm F2.8 -> F4 -AP EQ1200 GTO -ST-10XME w/CFW-8A(-40) -Hα : 2400초X24장(1X1) -RB : 각 300초X23장씩(1X1) -G : 300초X24장(1X1) -Hα:R:G:B=960:115:120:115 → 총노출 : 21시간 50분 -five frame mosaic -2008. 12/0...
    Date2009.01.10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2265
    Read More
  5. M13 revision

    중앙부분이 분해 되면서... 주변부의 별까지 나오도록 처리를 해보았습니다. 방법은 "사이트링크"에 올린 방법대로 했습니다. 130edf, st-10xme -15c 5min1장
    Date2003.05.12 CategoryStar Cluster By이건호 Views2251
    Read More
  6. IC434 - HorseHead Nebula

    -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8A(-30, -40) -two frame mosaic [각 프레임] -Hα : 1200초X5장(1X1) -L : 300초X4장(1X1) -RGB : 각 400초X4장씩(1X1) -2007. 10. 17, 2007. 12. 15 ...
    Date2007.12.23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2249
    Read More
  7. NGC6946 - 세페우스자리 나선은하

    -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Paracorr -AP EQ1200 GTO -ST-10XME w/CFW-8A(-15) -L : 5분X13장(1X1) -RGB : 각 5분X4장씩(2X2) -2008. 08. 29. 세페우스자리의 나선은하인데 그다지 멋진모습은 아닌 그냥 평범한 은하네요. 모처럼 하늘이 좋았던 ...
    Date2008.09.23 CategoryGalaxy By김일순 Views2246
    Read More
  8. M42, 50초 사진 - QHY8의 진실은?

    위 사진 어때 보이나요? 어제 아산 황인준님의 HOBYM 천문대를 방문하였습니다. 몇몇 별지기님들과 함께 였었지요. 전 장비가 전부 양평에 있는지라 카메라만 가지고 갔었는데 황인준님이 마운트와 FD300 2.8L렌즈를 빌려주셔서 잠깐 찍어보았습니다. 마운트...
    Date2008.01.31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2242
    Read More
  9. M3, 2003년 3월, 설매재

    2003년 3월, 양평 설매재 SCT 9 1/4 EX (D 235mm, f 2350mm, F 10, Reducer F 6.3) EM200, Nikon D100 ISO 1600 에서 310 초 1/2로 resize 후 1/2 crop 한 것입니다.(길이) 참조: http://astrogallery.pe.kr
    Date2003.04.08 CategoryStar Cluster By김영렬 Views2242
    Read More
  10. 장미성운

    니콘300 ED f4, ST10XME, EM200 CS 4.5nm Ha filter L: Ha 20min x 6 RGB: 3min x 3 2003년 12월 3일 분당번개에서 오리온자리 왼쪽으로.... 있는 장미성운입니다. ^^ 심용택님께서 잠시 빌려주신 니콘 300미리 ED렌즈로 장미를 찍어 보았습니다. 아직도 Ha ...
    Date2003.12.08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2240
    Read More
  11. M20

    지난 5일 덕초현에서 쵤영한 M20입니다. 별통 6" NJP S2PR0 4분입니다 레벨만 조정해본 상태 입니다(1장만!!). 이번에 300M(F4)로 테스트 해보았는데 카메라가 아직 차에 있습니다~
    Date2003.06.02 CategoryNebula By심용택 Views2236
    Read More
  12. M27

    Object: M27 The Dumbell Nebula -planetary nebula- in Vulpecula Exposure: Composite of one 315seconds and one 188seconds, ISO1600 Exposure Processing: Enhanced in Adobe Photoshop 7.0 Telescope system: Tak. FS152 152mm F/8 APO refractor and F...
    Date2003.04.08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병우 Views223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