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7.12.11 23:18

NGC2264 - Cone Nebula

(*.160.109.88) 조회 수 1656 추천 수 190 댓글 13




||1-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8A(-40)
-Hα : 1200초X2장(1X1)
-L : 300초X10장(1X1)
-RGB : 각 300초X3장씩(2X2)
-2007. 12. 04

외뿔소자리의 크리스마스트리 성단의 끝에 자리잡고 있는 원추성운(Cone Nebula) 입니다. 이 성운의 바로 위쪽에 여우털(Fox Fur Nebula) 성운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넓은 CCD라면 한방에 넉넉하게 두대상을 멋지게 담을 수 있는데... 하는 아쉬움이 많이 남습니다.
  • 최훈옥 2007.12.12 03:19 (*.253.159.19)
    아.........................숨이 턱..........
  • 권기식 2007.12.12 09:12 (*.254.209.146)
    얼릉 넓은 ccd 구하세요~
    온통 뻘겋네요... @.@
  • 유종선 2007.12.12 09:26 (*.155.187.4)
    OTL... 진짜 환상샷이네요 ㅠ.ㅠ
  • 선숙래 2007.12.12 12:06 (*.156.134.25)
    또 명예의 전당이 생각납니다.^^^^
  • 전영준 2007.12.12 12:33 (*.138.203.2)
    여우가 없어도 심심하지 않은데요?..
    세밀한 구조를 살려내시는 기법이 대단하십니다.
  • 이건호 2007.12.12 12:44 (*.101.107.100)
    헐~ 대단하세요.
    지난 사진과 모자익하면 되겠네요.
    ㅎㅎ 넓은 CCD가 자꾸 눈에 밟히나봐요~
    곧 지르실듯... ㅋㅋ
  • 박대영 2007.12.12 20:58 (*.107.223.38)
    부드러움과 세밀함을 모두 갖춘 사진이네요..넓은 CCD 원하시면 하나 추천해 드릴까요? ㅎㅎ
  • 김삼진 2007.12.12 21:17 (*.78.141.85)
    환상입니다.16803 GOGO.
  • 박정용 2007.12.13 09:06 (*.117.115.146)
    정말 대단한 이미지 입니다.
    여우목도리와 주변사진들 모자익 하면 끝내줄것 같습니다.
  • 강문기 2007.12.13 09:50 (*.132.58.21)
    대단한 클로즈업입니다. 속속들이 들여다보이는군요.
  • 신범영 2007.12.13 10:22 (*.241.50.130)
    대구경 고감도 ccd의 조합답게 세밀한 부분을 완벽하게 표현하였네요.
    빨리 넓은 CCD 지르세요.^^
  • 김형석 2007.12.13 10:48 (*.138.213.2)
    이 화각으로도 멋지고 또 멋집니다.
    성운기둥에 힘이 느껴진다는 표현이 적절한 거 같습니다.^^
  • 서길원 2007.12.13 14:33 (*.78.73.202)
    별색도 좋고 참 사진 좋습니다~~

  1. M74 흑백사진

    ||1ST-10을 구입한후로 사진촬영에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호주에서는 오리온10인치에 연결해서 찍었는데 필터휠을 사용하면 R-200ss 콤마코렉터로 콤마수차가 보정이 되지않아서 어렵게 사진들을 찍었고, MT-200 에 연결해서도 콤마가 보정이 안되었습니다. ...
    Date2007.12.12 CategoryGalaxy By이준화 Views1566
    Read More
  2. 메리크리스마스 NGC2264

    ||1--------------------------- 20071208 횡성 온누리펜션 오리온 10" F4.8 EM200 TPC EOS350D without cooler ISO 1600 총노출 134분 50 리사이즈 주변부 크롭 --------------------------- 에고... 앞에 김일순님의 사진에 비해 너무 디테일도 없구 초라합...
    Date2007.12.12 CategoryNebula By유종선 Views1627
    Read More
  3. 초신성 잔해 Sh2-240

    황소자리에 있는 초신성잔해 Sh2-240입니다. 작년 겨울 고창균선생님이 찍어서 천체사진전 대상을 받았던 멋진 대상입니다. 크기가 200'X180'로 거대하여 11k+FSQ106조합에서 약간 잘려나가네요. Ha필터로 10분이상 노출해야 겨우 형체가 드러나는 아주 어두...
    Date2007.12.12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754
    Read More
  4. NGC2264 - Cone Nebula

    ||1-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8A(-40) -Hα : 1200초X2장(1X1) -L : 300초X10장(1X1) -RGB : 각 300초X3장씩(2X2) -2007. 12. 04 외뿔소자리의 크리스마스트리 성단의 끝에 자리...
    Date2007.12.11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656
    Read More
  5. M78

    요즘 찍기 편한 단초점으로 놀고 있습니다. 근데 구경이 작아서 인지 당체 표현이 어렵습니다. 어서 블루밍 처리도 배워야하고...^^ 2007-12-08일 별마실관측소 FSQ-106ED + ST-10XME L:300s*16장 R:300s*4장 GB:300s5장
    Date2007.12.11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511
    Read More
  6. M33

    ||1역시 같은날(지난주말) 횡성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해지고 머리꼭대기에 있는 M33을 찍어보았습니다. 단초점으로는 은하의 디테일을 살리는것이 한계가 있습니다. 1m 훌쩍넘는 촛점거리에 넉넉한 구경이 부러워지는 대상입니다. 2007년 12월 8일 횡성 FSQ1...
    Date2007.12.11 CategoryGalaxy By강문기 Views1605
    Read More
  7. IC1805

    지난 10월 우즈베키스탄 관측당시 찍었던 IC1805의 중심부입니다. Johnson & Cousins BV 필터와 투과폭 10nm의 Ha 필터를 사용해 칼러합성을 했습니다. 망원경은 구소련에서 만든 60인치 F/7.75 리치크레티앙, CCD는 Fairchild 490 4K 입니다. 이 CCD의 칩크...
    Date2007.12.11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503
    Read More
  8. IC405

    지난 토요일 전영준 선생과 함께 촬영한 사진입니다. FD300 2.8L 렌즈를 사용하였는데 이 정도도 가이딩을 잘 못하는 NJP 였습니다..^^ 게다가 2인치 슬리브용으로 제작한 어댑터의 길이가 짧아 주변별의 회전현상도 일어났고 여러가지로 마음에 들지가 않네...
    Date2007.12.11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416
    Read More
  9. M42

    ||1지난 주말은 하늘이 참 좋았던것 같습니다. 밤하늘이 좋다싶으면 사진들이 쏟아져나오는것을 보니 참 다들 열심히시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서울천문동호회 정기관측회를 횡성에서 가졌습니다. 이것저것 구경하다... 오리온대성운을 다시 찍어보았습니다...
    Date2007.12.11 CategoryNebula By강문기 Views1713
    Read More
  10. Thor's Helmet NGC2359

    ||1------------------------- 20071208 횡성 온누리팬션 Orion 10" F4.8 EM200TPC EOS 350D 1600 x 6min x 15매 50% 리사이즈후 중심부 크롭 ------------------------- 역시 가이드 문제로 지난 사진보다 별이 더 길~쭉하지요? 리사이즈를 좀더 해야 할텐데...
    Date2007.12.11 CategoryNebula By유종선 Views1651
    Read More
  11. [재처리X2]우리별천문대의 오리온 M42

    맘처럼 잘 안됩니다. 스텔라이미지로 16비트 이미지를 DDP처리하고 나서 저장하면 이상하게 포샵에서 파일이 깨지고 푸른색 정보를 많이 잃어버립니다. 왜그럴까요? 맥심 DDP는 나중에 남명도님께 전수받기로 하고 DDP없이 포샵만으로 중심부를 살려봤습니다....
    Date2007.12.11 CategoryNebula By김형석 Views1875
    Read More
  12. 갈매기성운

    지난 4일 저녁 점프를 하여 촬영하였습니다. 겨울철 은하수가 훤히 보이던 그런 밤...혼자서 찍으니 심심했던 것 같습니다. 처음 촬영한 대상이고, 플랫과 다크를 처음으로 처리해 봤습니다만, 잘 안 된 듯 합니다.^^;; em10b, fd300@f4, astro350d, iso1600,...
    Date2007.12.10 CategoryNebula By임재식 Views138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