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26.3.231) 조회 수 2160 추천 수 79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SKY-90 과 ST-237 을 사용한 CCD 촬영 시스템입니다.  여기에 나온 ST-237 은 제 것이 아니고 잠시 빌려 쓰고 있는 것이긴 하지만...

사진에는 파워메이트 2.5X 를 연결했는데 이 사진 찍기 전에 잠시 테스트한다고 끼운 것이고 보통 때는 바로우 없이 원래 초점거리 (500mm F5.6) 로 찍습니다.  

초점거리가 짧지만 ST-237 의 CCD 면적이 워낙 작아 (3.6mmx4.7mm)  화각은 겨우  24분각x32분각 정도입니다.  메시에 대상 중에서 중간 크기의 것들을 찍기에 적합하고, 좀 큰 성운이나 작은 은하를 찍는 데는 영 아니올시다입니다.

현재는 가이더 없이 노터치로 찍고 있습니다.  500mm 초점거리와 ST-237 CCD 의 픽셀 사이즈 7.4 마이크론으로 계산하면 픽셀당 3초각이 나옵니다.   EM-200 의 주기오차가 +/-5 초이고 한 주기가 8분이므로 산술적으로 계산하면 노터치 가이드 가능한 시간은 2분 25초가 됩니다.  적도 부근에선 얼추 이 값이 맞는 것 같고, 적위가 높아지면 이보다 더 많이 주어도 거의 흐르지 않습니다. 물론 극축을 잘 맞추고 밸런스를 잘 잡았을 때 이야기지요.

노트북은 IBM ThinkPad X20 을 씁니다. Pentium 3 600MHz 의 구형이지만 촬영하고 이미지 처리하는 데는 큰 무리가 없습니다. ST-237 이 640x480 해상도라 사이즈가 작은 편이거든요. ST-237 의 인터페이스가 패럴랠 방식이라 한 프레임을 전송하는 데 10초 가량 걸립니다.  노출을 짧게 주어 여러장 촬영하는 지금 형편에서는 전송 시간도 무시 못하는 요소입니다.

CCD 제어 프로그램은 MaxIm 을 쓰고 있습니다. 아직 이미지 처리가 미숙하여 좋은 이미지를 만들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칼라 필터 휠이 있어 칼라 이미지도 몇번 찍어 보았으나 오리온 성운 같이 아주 밝은 대상 외에는 대부분 실패했습니다. 주로 찍는 관측지인 분당 전원주택지가 광해가 많아 RGB 영상이 노이즈가 너무 심하게 나옵니다. 2x2 비닝을 해도 개선되지 않더군요.

제가 쓰는 시스템은 철저히 "쉽게 찍는 것" 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오토 가이더도 없고, 초점거리도 짧고, F 수도 비교적 작고...  처음 CCD 촬영을 시작할 때는 이렇게 쉽게 찍는 방법으로 먼저 연습을 한 다음 차차 장초점이나 오토 가이더로 장시간 노출을 해 보는 것이 시행 착오를 줄이는 방법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 황인준 2004.02.28 08:57 (*.207.102.149)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그래도 ST237을 가장 잘 활용하는 분 중 한분임에는 확실합니다.
  • 지승용 2004.02.29 08:22 (*.204.50.104)
    잘 봤습니다. 조만간 통달(?) 하시는 날이 오겟지요. 눈감고도 척척..
    그런데 적도의와 경통밴드 사이의 연결부위 녹색(?) 물체는 뭐죠? 궁금합니다.

천문 장비 / 이벤트

자작장비 및 천문장비 세팅사진 및 천문행사/번개관측 등의 모습을 담아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5 쌍안장치 1 file 추현석 2004.04.04 1642
114 astrodreamtech 일본천문잡지 천문가이드에 .... file 변성식 2012.03.16 1640
113 성거산 성지 주차장 관측전 2 file 황인준 2004.02.03 1636
112 2004년 4월 18일 아침 덕초현에서... 4 file 김상욱 2004.04.20 1629
111 미동운대 Dish-2 file 이재림 2013.02.06 1628
110 8-3 분당번개 4 file 박현권 2004.08.03 1622
109 Pentax SDUF II 3 file 황인준 2004.03.27 1621
108 오리온 250개조. 5 file 정민경 2004.01.16 1621
107 접안 타렛을 이용한 촛점 조절 1 file 황인준 2003.04.14 1598
106 4월 21일 벙개사진 3 file 김영재 2003.04.22 1596
105 5월 4일 천안 성거산 번개 혜성 촬영 후.... 7 file 조창우 2004.05.06 1595
104 내 사진... 3 file 최승용 2003.12.16 1591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38 Next
/ 3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