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5.06.14 02:25

NGC7635 Bubble

(*.191.202.202) 조회 수 1425 추천 수 98 댓글 10




올해 첫 버블인것 같습니다... ^^;
CCD만  있으면 다 될 줄 알았는데...
새 장비가 손에 익을때 까지 정말  많은 시행 착오가  있는 것 같습니다.
밤11시경 맞주어 놓은 초점이 새벽에 찍은 대상에선 완전히 나가 있더군요...

주로 L->R->G->B->Ha순으로 찍는데 G,B,Ha 이미지에선 스파이더 회절상이 2개로 보일 정도로 초점이 나가 있었습니다.
(FWHM 1.6수준에서 2.7로 변동)
G,B에선 가이드도 엉망이고....
하나 하나 습득해 간다는 것이 재미는 있지만 시간과 돈이 너무 많이 소비 되는 것 같아 아까운 생각이....

2005.06.05 덕처현 중앙 천문대
12" F4, FL1200mm + Coma Corrector + LPSP2
NJP Temma PC, ST-10XE, CFW8a
Astrodn LRGB 필터, Ha필터+IDAS LPS 필터
L= L : 5min X 5 + Ha :5min X 4
R= Ha 5min X 4 +  R :3min X 3
G,B =  3min X 3
1X1 Binned
맥심 합성 후 포샵/스텔라 이미지 처리....  
  • 이건호 2005.06.14 08:45 (*.101.107.100)
    벌써 버블이 올라오는군요 항상 신비한 모습입니다.
    FWHM이 1.6 까지 떨어지는군요. 놀랍습니다.
  • 최승용 2005.06.14 09:22 (*.255.216.142)
    저는 언제나 네블라들을 찍어 볼련지...
    안산에서는 꿈도 못 꿉니다.
    작정하고 덕초현에 한번 가야겠습니다.^^
    근사한 이미지네요...
  • 신범영 2005.06.14 12:46 (*.178.133.21)
    빨간 풍선이 멋집니다.
    바람이 불면 터질 것 같습니다.^^
  • 박영식 2005.06.14 22:59 (*.85.209.31)
    이쁘고 적당한 넓은 화각의 버블이네요... 멋집니다.. ^^
  • 박성준 2005.06.15 09:57 (*.248.183.29)
    정말 환상적입니다. ^^
  • 이경화 2005.06.15 15:06 (*.11.109.249)
    FWHM이 뭐래요?
    멋지기만한데 뭔 욕심이 그리 많으신지 궁시렁궁시렁하십니까?^^




  • 감금화 2005.06.15 15:17 (*.51.34.185)
    풍선두께가 두꺼워지고 빨갛게 익었습니다...
    그 주변으로 확 번져버린 붉은색...
  • 조창우 2005.06.15 22:27 (*.191.202.202)
    맥심에서 초점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입니다. 낮을 수록 좋은데... 보통 날씨 좋은 경운 1.4~1.6 사이에서 맞추지만, 접안부 고정 나사를 돌리면 1.55~1.65 사이에 형성 되던데요...주로 MAX 3000~8000 사이의 별로 초점을 잡습니다...
  • 이건호 2005.06.16 12:52 (*.101.107.100)
    FWHM -> target=_blank>http://astrophoto.co.kr/zeroboard/zboard.php?id=information&no=17

    1.6이면 창우님 망원경으로 1.7초각 정도 되겠군요. 시상과 광학계가 참 좋은거 같습니다.
  • 박정용 2005.06.19 12:19 (*.255.160.160)
    부풀어 터질듯한 방울을 터트리고 싶군요.^^
    멋집니다.

  1. M16

    독수리성운으로 지난 4월 초에 촬영한 사진입니다. 맘에 안드는 시상 때문에 역시 재촬영을 기다렸으나 기회를 주지 않는군요. GSO 12inch, EQ1200GTO, ST10xme RRGB: 30m, 15m, 15m
    Date2005.07.12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565
    Read More
  2. M45

    지난 겨울에 촬영한 사진인데, 민속자료 만드는 곳에서 쓴다고 해서 다시 처리해 보았습니다. 2004 11 07 덕초현천문인마을 AP130 EDF x 0.75 리듀서, EM200, 20D 2min x 10, NR On, not touch giude
    Date2005.07.12 CategoryStar Cluster By이건호 Views1576
    Read More
  3. M20

    목록번호: M20 별자리: 궁수자리 종류: 산광성운 이름: 삼렬성운 촬영일: 2005년 4월 15일, 16일 촬영지: 덕초현천문인마을 RO 망원경: GS Optic 12inch 뉴튼 (305mm F5) + TeleVue Paracorr 적도의: AP EQ1200GTO 카메라: SBIG ST-10Xme ccd 노출정보: L: 5m...
    Date2005.06.30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524
    Read More
  4. Vega

    FD 400mm 1:2.8L (F5.6) SBIG ST-2000XM (-10도) EM-200 Temmar 2 LRGB = 24m, 4m, 4m, 4m -10도용 캘리브레이션 파일이 없어 -15도로 할랬는데... 맥심 4.0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이 달라서 잘 못하겠더군요. 그냥 스텔라 이미지에서 핫픽셀 제거를 했습니당. ...
    Date2005.06.27 CategoryDouble/Variable Star By김승남 Views2375
    Read More
  5. M88

    목록번호: M88 별자리: 머리털자리 종류: 나선은하 촬영일: 2005년 4월 16일 촬영지: 덕초현천문인마을 RO 망원경: GS Optic 12inch 뉴튼 (305mm F5) + TeleVue Paracorr 적도의: AP EQ1200GTO 카메라: SBIG ST-10Xme ccd 노출정보: L: 5min x 8장 (1x1), RGB...
    Date2005.06.23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566
    Read More
  6. M13

    지금까지 몇번 찍은 적이 있는 대상이지만 제대로 찍고 싶은 욕심에 또 그 시간대에 투명도가 좋지 않아 달리 찍을 대상이 없었기에 한번 찍어 보았습니다. 노출을 좀 더 주면 좀더 많은 별들을 잡아낼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위성 하나가 지나갔...
    Date2005.06.21 CategoryStar Cluster By황인준 Views1956
    Read More
  7. VDB142 in IC 1396

    오랜만의 2박3일 출사였습니다만.. 첫날은 날씨가 흐리고 둘째날은 날이 좋았습니다만 역시 밤 늦게 부터는 투명도가 좋지 못했습니다. 많은 시간을 투자했지만 후반부로 가면서 초점이 틀려지고 또한 투명도가 급격히 나빠져 충분한 노출을 줄수는 없었습니...
    Date2005.06.20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90
    Read More
  8. NGC 6726,27,29

    궁수좌 아래에 있는 Corona Australis에 있는 성운들 입니다 90mm 구경으로는 역시 어두운 대상이군요. SKY 90 with Flattner / 2000xm / 5min x3 each / 이상하게 이날은 고도가 낮은 부위가 Green이 매우 강하고 Blue가 매우 적게 찍혔습니다.) 삐리리하지...
    Date2005.06.19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079
    Read More
  9. ABELL 2199

    헤라클레스 자리에 있는 은하단으로 중앙의 조금 밝은 대상이 ngc6166입니다. 저 멀리 떨어진 은하들 끼리 서로 연관이 있다니 우주는 참으로 거대하고도 신비롭습니다. 시상은 좋았지만 투명도가 떨어지는 날이었습니다. 2005년 6월 8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R...
    Date2005.06.18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081
    Read More
  10. M101

    20D로 찍어 볼때마다 좌절을 느끼게 했던 대상 인데... 역시나 어두운 대상 인것 같습니다. 냉각 CCD도 힘이 듭니다. 찍던 도중에 구름이 있었는지 G 채널이 엉망이 되어 R,B채널을 약간(15%)씩 Mix하였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붉은색 성운기가 하얗게 되어 버...
    Date2005.06.18 CategoryGalaxy By조창우 Views1098
    Read More
  11. M 16 Ha image

    역쉬~~ Ha test shot입니다. 붉은 성운은 RGB를 만들어 합성하는것 보다 H alpha image를 찐~~ 하게 찍어보고 싶습니다.. SKY 90 with 2000xm 5min 않흐른것 1장 조금 흐른것 2장 많이 흐른것 3장을 적당히 합성하였씁니다. 모두 원본 사이즈입니다.
    Date2005.06.15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258
    Read More
  12. NGC7635 Bubble

    올해 첫 버블인것 같습니다... ^^; CCD만 있으면 다 될 줄 알았는데... 새 장비가 손에 익을때 까지 정말 많은 시행 착오가 있는 것 같습니다. 밤11시경 맞주어 놓은 초점이 새벽에 찍은 대상에선 완전히 나가 있더군요... 주로 L->R->G->B->Ha순으로 찍는데 ...
    Date2005.06.14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142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