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49.97.69) 조회 수 381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http://space-odyssey.moo.jp/
  • 박현권 2004.10.26 20:16 (*.72.183.139)
    일본에도 젠들러가 한명 있었네요.

    성운기 표현이 장난아닙니다.
    이미지도 부드러우면서, 그렇다고 디테일이 없는것도 아닌것이...

    무엇보다도 이런 사진을 얻은데는 장비도 한못한거 같습니다.
    단순한 사양이나 성능이 아닌, 아주 세심한 곳까지 연구해서 다듬은 열정이 엿보입니다.

    해당 홈페이지에서 아이템으로 소개하고 있는 부분을 간략히 요약해 보았습니다.
    ---------------------------------------------------------------------


    1. 땅에서 올라오는 열기를 차단하기 위한 바닥 시트
    - 캠핑용 돗자리를 이용

    2. 슬라이드식 필터 사용시 노출된 부분에 서리가 곧 잘 끼기 때문에 만든 LRGB 필터 커버
    - 문방구에서 파는 클리어 보드를 이용

    3. CCD 냉각 팬
    - 구조가 엽기적이네요...

    4. 2점 지지 슬리브.

    5. 경통 밴드 가공
    - 경통을 더 꽉 조여주기 위해서 경통 내부 펠트를 3mm 두께의 아크릴 판으로 대체

    6. 건조제 고정 그물
    - 렌즈 곰팡이 대첵으로 후드 캡 안쪽에 양면 테이프를 이용해서 건조제를 고정시켰는데..
    혹시 불안해서 머리에 쓰는 그물로 한번 더 씌웠답니다. (소심하기는... 저도 그냥 테입만 사용중...)

    7. 확대 루뻬.
    ST-5C이나 ST-237A로 가이드시에 노트북의 작은 숫자를 2m 떨어진 곳에서도 읽기위한 것이랍니다.

    8. 오프 액시스용 눈금 테이프.
    가이드 성을 찾기 힘들때 경통을 돌려주면, 가이드용 CCD도 같은 각도 움직여 줘야 하는데 그때문에 만들었답니다.
    (저번에 이건호씨께서, 가이더가 학습을 통해 스스로 터득한다고 했던거 같은데요????)

    9. 저열가 플래그
    전원 대책으로 우리처럼 자동차용 배터리를 사용하는게 아니라, 발전기를 가지고 댕깁답니다.
    근데 원래 있는 스파크 플래그가 고열로 인해 곧잘 나갑니다.
    그래서 이걸로 대체 했답니다.

    10. 자외선 살균등.
    원래는 의료용 살균등인데, 장마철 곰팡이 대책으로 사용한답니다.
    도큐핸즈에서 구입가능하답니다.
  • 이건호 2004.10.27 08:28 (*.101.108.100)
    정말 고민한 흔적이 많이 보이는 군요.
    8번: Calibration을 통해 스스로 터득을 합니다. 미리 움직였다면 Calibration 없이 바로 가이드가 가능하겠군요.
    그리고 망원경의 RA-DEC를 CCD의 X-Y와 일치시키면 가이드를 좀 더 잘 합니다. 특히 ST4에선 중요한 변수입니다.

천문 사이트 Links

외부 사이트들의 좋은 정보 등을 같이 읽어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0 ST-11000XM 으로 찍은 사진들 2 이준화 2004.06.19 3939
89 sct 갖고 계신분들 한번 뽐뿌해보시죠,,, 5 김종호 2005.03.21 3939
88 바이삭 쓰시는분 보세요. 1 남명도 2006.03.17 3940
87 유럽아마추어 남명도 2007.12.22 3942
86 Star Instruments 의 RC 미러 셋트 2 이준희 2007.01.03 3955
85 여러가지 재미나는 소프트웨어가 있는 곳 박성래 2008.03.07 3968
84 화성 2003년 7월 3일 이건호 2003.07.04 3984
83 Zeiss Abbe Ortho II 이준희 2008.06.08 3993
82 독일 아마추어가 찍은 홈즈 혜성 2 이준희 2007.11.08 4000
81 캐논 20Da 테스트 사진-2 1 이건호 2005.08.10 4001
80 LSST (Large Synoptic Survey Telescope) 3 file 이준희 2008.06.16 4016
79 노트북 후드 file 이준희 2009.10.19 4034
78 Mare Crisium 7 file 김영재 2006.03.29 4038
77 c8 XLT로 촬영한 목성 1 남명도 2004.01.14 4057
76 캐논에서 제시한 천체 사진 촬영법 입니다. 2 박성래 2003.12.24 4061
75 지승용씨에게... 6 황인준 2006.02.16 4064
74 Registax V1.1beta Download +사용 관련 팁과 이미지 프로세싱 테크닉 2 황인준 2003.04.20 4074
73 LEO Trio(TEC 8"FL+STL11000) 8 file 김영재 2006.03.07 4108
72 PlaneWave CDK 아스트로그래프 1 file 이준희 2008.06.18 4137
71 말머리 주위 5 최승용 2005.12.29 4148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