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alaxy
2004.01.14 09:25

NGC891

(*.101.108.100) 조회 수 1792 추천 수 176 댓글 4




가을별자리 안드로메다 자리에 있는 측면나선은하 NGC891의 모습입니다.


2003년 12월 27일 덕초현천문인마을
뮤론300 @F9, EQ1200GTO, ST10XME
L: 5min x 5
RGB: 3min x 3
1/2리사이즈


NGC 891
출처: 밤하늘의 보석 이준석저
희미한 나선은하로 가늘고 긴 모습을 하고 있는데 머리털자리의 NGC 4565와 거의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이중성인 Gamma성과 페르세우스자리의 M34의 중간에 위치하는데 밝기는 10.0등급이고 크기는 12분×1분이다. 상당히 낮은 표면밝기 때문에 3~4인치 망원경으로는 포착하기 힘들며 우수한 6인치급이 되어야 10분 정도 되는 바늘 모양의 형태를 분별할 수 있다.

NGC 891에는 중앙을 가로 지르는 가는 먼지대가 위치하는데, 42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은하단인 NGC 1023(페르세우스자리)과 NGC 925(삼각형자리)의 일원으로 약 2000만 광년 떨어져 있다고 한다. (혹자는 4300만 광년 떨어져 있다고도 하지만 아직까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NGC 891에는 8000억 개의 별들이 운집해 있는데 크기는 12만 광년이고 밝기는 태양의 15억 배나 된다.

1850년 로드로스경은 아일랜드 팔슨스 타운에 있는 1.8m 반사망원경으로 NGC 891을 관측했는데, 중심부를 가로 지르는 암흑대를 발견했으며 존 허셀도 이에 대해서 “가늘고 평편한 고리가 굉장히 크게 보이는데 매우 모호하다.”라고 언급했다. 그 후 1891년 아이작 로버츠가 20인치 반사망원경으로 NGC 891을 사진 촬영하여 선명한 암흑대를 여실히 보여 주게 되었다.

C.K.Seyfert는 이 암흑대에 대해서 이것은 실제로 암흑대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주위의 밝은 부위보다 0.6~0.9등급 낮은 지역이라고 발표 하였는데 이와 같은 지역은 우리 은하 안에도 위치하는 것으로 백조자리에서 궁수자리에 이르는 은하수의 일부를 장시간 노출을 준 사진을 보면 일렬로 늘어진 NGC 891에서와 같은 직선상의 암흑대와 유사한 모습을 느낄 수 있다.


  • 최승용 2004.01.14 10:53 (*.187.168.202)
    측면 암흑대가 정말 멋지게 나왔네요.
    딥스카이는 잘 모르지만 이쁘다는 것은 압니다.^^
  • 황인준 2004.01.14 11:29 (*.53.138.63)
    정말 디테일 하게 나왔군요. 시상이 좋아 좋은 사진 건졌다고 해서 내심 무착 기대 했는데.. 정말 대단합니다.
  • 선숙래 2004.01.14 12:14 (*.80.29.221)
    사진도 멋있고 설명도 재미있습니다.암흑대가 은하속으로 파고 들어가는게 인상적이네요.
  • 김형석 2004.01.15 15:51 (*.187.113.82)
    멋진 은하가 자연스러운 배경과 조화를 이루었네요..
    사진 감상 잘했습니다~

  1. M3

    Imaging Date: March 14th, 2008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Telescope: SK15 with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Mount: AP EQ1200GTO Guiding: No-touch 30sec Imaging Camera: SBIG ST-10XME w/CFW-8A (-35) Imaging Software: MaxIm4 Exposure: ...
    Date2008.03.21 CategoryStar Cluster By선숙래 Views1797
    Read More
  2. M42

    이런저런 이유로 테스트 해볼 환경이 아직은 완성이 되지 않았습니다. 구형 적도의(MS-4 MS-5)에 ADT의 Goto장치를 장착하길 기다리고 있답니다. 하지만 MS-4와 MS-5의 추적정밀도가 좋아 노터치로 찍어 보았습니다. 절대적인 노출시간 부족으로 아쉬운 사진...
    Date2008.02.11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97
    Read More
  3. m78 & ic434

    촬영지:수피령 20100915 02:00-04:30 마운트:eq6-pro 광학계:canon ef300f4 카메라:astro40d 가이드:borg50ed dsi 노출:iso1000 10분12장 보정:nebulosity photo shop 기온: +9.2 새벽 기온이 한자리숫자로 떨어졌습니다 지난밤 3달만에 깨끗한 하늘을 볼수있...
    Date2010.09.15 CategoryNebula By이광호 Views1796
    Read More
  4. M63 sunflower galaxy

    3월 18일 밤 수피령에서 앞에 올린 M41 찍은 다음 3월19일 새벽에 찍은 M63 해바라기 은하입니다. 바람의 영향을 줄일려고 후드를 제거하고 찍었더니 이미지 프레임의 한쪽이 밝게 나와서 처리하기가 어려웠습니다. 후드를 제거한 별도의 플랫을 나중에 찍어...
    Date2007.04.01 CategoryGalaxy By신범영 Views1795
    Read More
  5. 펠리칸 성운

    http://astrophoto.co.kr/zeroboard/view.php?id=pic_nebula&no=12 지난 10월 18일 덕초현에서 찍어본 성운으로 이제야 처리를 해서 올립니다. 어미 펠리칸과 밥달라고 조르는 아기 펠리칸이 있는거 같습니다만... ^^ 1번 사진은 HaGB 이고 두번째 사진은 Ha ...
    Date2003.10.31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795
    Read More
  6. M42 - Ha

    http://astrophoto.co.kr/zeroboard/view.php?id=pic_nebula&no=15 Ha 5분짜리 5장 합성 10월 25일 덕초현. 130edf x0.75 노터치가이드
    Date2003.11.13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794
    Read More
  7. NGC891

    가을별자리 안드로메다 자리에 있는 측면나선은하 NGC891의 모습입니다. 2003년 12월 27일 덕초현천문인마을 뮤론300 @F9, EQ1200GTO, ST10XME L: 5min x 5 RGB: 3min x 3 1/2리사이즈 NGC 891 출처: 밤하늘의 보석 이준석저 희미한 나선은하로 가늘고 긴 모...
    Date2004.01.14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792
    Read More
  8. 080806_ngc7635

    2008년 8월 6일 밤... 안산 하늘은 안개 때문에 천정의 하늘만 그럭저럭 보이고 고도가 낮은 하늘은 완전히 구름 같은 안개.... 요즘 해수의 냉수대가 발달해서 해무가 많이 발생 한다고 합니다. 별을 보는 우리들로써는 아주 좋지 않은 징조지요. 더구나 저...
    Date2008.08.07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791
    Read More
  9. 달빛과의 숨박꼭질(반달속의 초승달)

    4월13일 밤 관측소 지붕을 여니 하늘은 구름 한점 없이 유리알처럼 맑은데 월령8일을 지난 반달이 하늘가득 달빛을 쏟아내어 그 많던 별들은 달빛을 피해 모두 숨어버렸네요. 달력을 보니 월몰은 새벽 2시45분, 요즘 4시30시면 박명이 시작되니 사진을 찍기는...
    Date2008.04.22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791
    Read More
  10. Polaris

    takahashi mt-160 sbig st-2000xm (-30) takahashi em-200 temmar2 LRGB = 15m 3m 3m 3m 20060323 in Sang-ju, Korea
    Date2006.03.28 CategoryDouble/Variable Star By김승남 Views1791
    Read More
  11. IC1805(Heart, Valentine Nebula)

    흔히 하트성운으로 불리는 ic1805의 또 다른 별칭은 발렌타인 성운(Valentine Nebula)입니다. 의도한 것은 아니었는데 이미지처리를 하고 보니 우연히 오늘이 발렌타인데이네요. (제 딸의 생일이기도 합니다.) 쵸코렛 많이 주고 받으세요... 망원경: Takahash...
    Date2009.02.14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790
    Read More
  12. VDB142 in IC 1396

    오랜만의 2박3일 출사였습니다만.. 첫날은 날씨가 흐리고 둘째날은 날이 좋았습니다만 역시 밤 늦게 부터는 투명도가 좋지 못했습니다. 많은 시간을 투자했지만 후반부로 가면서 초점이 틀려지고 또한 투명도가 급격히 나빠져 충분한 노출을 줄수는 없었습니...
    Date2005.06.20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9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