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입실론-160 + AP900GT 와 SXV-H9 이라는 CCD 카메라에 ToUCam  으로 가이드해서 찍은 장미성운 입니다.
>
>사진 링크 : http://www.ricksastro.com/Gallery/htm/SXV_rose_mos_e160.htm
>


심심해서 릭사트로의 이미지에 색상을 입혀보았습니다.
스텔라이미지 연습겸, LRGB합성 연습으로 해보았습니다.
첨으로 해본 LRGB합성이었습니다.

왜 LRGB합성을 하는지 몸소 느낌니다.

어제 어디 홈피에서 본건데, 사람이 이미지의 선명함을 느끼는건 L영상이여서, L 영상만 훌륭하면, RGB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는 내용이었던거 같습니다. 그리고 촬영시간도 많이 줄일 수 있다고 했던거 같은데 맞나여???
  • 박현권 2004.01.17 00:19 (*.41.211.135)
    岡野邦彦(오카노 쿠니히코)의 홈페이지 였습니다.
    핵물리학 박사이며, 아스트로아츠 스텔라이미지에도 많이 관여한 수재인가 봅니다.

    왜 LRGB합성을 해야하는지를 수식은 전부빼고 요약하면...

    The human's eye is very insensitive to the resolution in coloring data. The resolution of color image is determined by the resolution of the L-image only. This is true either for nebulae and planets.
    LRGB quadcolor composit method is a new technique to make drastic reduction of exposure time possible, as well as high S/N and high resolution.

    1) Galaxies, Nebulae
    Exposure time ; about 1/4 or more
    2) Planets
    One good monochrome + poor RGB = Best color image

    인간이 감지하는 영상의 해상도는 L영상에 지배받고, LRGB 기법을 사용하면 S/N비가 좋아져, 성운의 경우는 노출시간을 1/4 혹은 이상으로 줄일수 있다.....
  • 박현권 2004.01.27 16:27 (*.126.9.12)
    이미지프로세싱 게시판에 이준화님의 5번글에 이미 적혀있었네요. 게다가 단점까지도요.

    괜한 뒷북이였습니다.

천문 사이트 Links

외부 사이트들의 좋은 정보 등을 같이 읽어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0 TMB 92mm f/5.5 트리플렛 APO 굴절 file 이준희 2008.02.14 5946
69 Ceravolo 12인치 Astrograph file 이준희 2008.02.21 4439
68 영국 오리온 옵틱스 DK 및 뉴턴 아스트로그래프 출시 1 이준희 2008.02.27 34443
67 무게추 안달아도 되는 독일식 적도의 file 김상욱 2008.03.05 4603
66 여러가지 재미나는 소프트웨어가 있는 곳 박성래 2008.03.07 3968
65 TaKaHaShi FSQ-85ED 3 file 남명도 2008.04.19 4251
64 아마추어용 48인치 돕소니안 1 file 이준희 2008.04.25 7157
63 Riccardi-Honders 아스트로그래프 1 file 이준희 2008.05.08 5281
62 Zeiss Abbe Ortho II 이준희 2008.06.08 3993
61 LSST (Large Synoptic Survey Telescope) 3 file 이준희 2008.06.16 4016
60 엄청 저렴한 미러 제작업체 이준희 2008.06.18 4149
59 PlaneWave CDK 아스트로그래프 1 file 이준희 2008.06.18 4137
58 Centaurus A Ultra Deep Field 이준희 2008.06.24 4256
57 저렴한 돔 Skyshed POD 3 file 김상욱 2008.06.30 4149
56 NGC5907 이준희 2008.07.07 4154
55 Roland Christen 의 M57 1 file 이준희 2008.07.07 4508
54 합성일까요? 2 이준희 2008.07.28 4954
53 영국의 행성 고수 2 선숙래 2008.08.20 4758
52 M45 1 남명도 2009.01.15 3596
51 촛점을 정확히 맞추자! Bahtinov mask 2 file 김상욱 2009.01.20 4656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