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52.82.11) 조회 수 3796 댓글 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정말놀라지 않을수 없습니다.
  • 황형태 2003.11.20 22:23 (*.51.192.67)
    이게 뭡니까?
  • 한종진 2003.11.20 22:32 (*.161.173.152)
    국제우주정거장(ISS)인 것 같네요..
  • 황형태 2003.11.20 22:36 (*.51.192.67)
    믿기가 어렵군요.
  • 박병우 2003.11.21 00:28 (*.79.196.221)
    우주 정거장을 촬영한 사진은 가끔씩 천문가이드에도 보이더군요. 찍기가 그렇게 어렵지는 않는 모양입니다.
  • 윤창경 2003.11.21 04:34 (*.34.126.130)
    미드 12인치로 찍은것이라고 합니다...http://www.meade.com/catalog/lx/12_14_lx200gps.html
  • 황형태 2003.11.21 08:26 (*.235.174.140)
    그럼 나다에서도 누가 한번 찍어봤으면 좋겠네요.
  • 이건호 2003.11.21 09:04 (*.101.108.100)
    잡지나 인터넷에서 ISS찍은거 많이 보았지만 이렇게 잘 나온 것은 처음봅니다. 굉장히 잘 찍었군요.
    인공위성 추적되는 적도의라면 시도해 볼만 한데, 다카하시 템마류는 어렵다고 보구요, 스카이센서2000 류라면 가능합니다. 인공위성의 궤도요소를 집어놓고 고속으로 추적할 수 있어야 하거든요. 제 GTO에도 그 기능은 다행히? 빠져 있습니다. ^^
  • 박성래 2003.11.21 09:16 (*.194.26.4)
    우리나라에서는 힘들듯 합니다. ISS 홈페이지에서 살고 있는곳을 넣으면 몇시에 어디서 볼 수 있다는 정보가 나오는데..우리나라에서는 고도가 너무너무 낮아요~
  • 최승용 2003.11.21 11:26 (*.187.167.209)
    우주스테이션을 찍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적도의로는 불가능 합니다. 건호님말처럼...
    경위대처럼 생긴 적도의에 그 적도의를 돌려 줄 수 있는 장치가 달린 피어 같은 축위에 적도의가 올려져 있어야 합니다.
    이런 우주 스테이션만을 찍기 위해서 특별히 제작을 하더군요.
    아니면 스카이센서를 이용하던가.....
    아무튼 대단한 사진입니다.^^
  • 윤창경 2003.11.22 01:21 (*.34.126.130)
    우주정거장은 우리나라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target=_blank>http://science.nasa.gov/RealTime/JPass/20/

    이곳에서 서울을 선택하면 12월 8일에서 10일사이 초저녁에 볼 수 있네요...
    12월 8일날 19시37분경에 북서쪽에 떠서 남동쪽으로 지기까지 10여분이 걸리네요.
  • 윤창경 2003.11.22 01:30 (*.34.126.130)
    윗글의 링크를 클릭하면 페이지가 없는것으로 나오네요...링크를 클릭하시고 주소 입력줄 마지막의 <br을 지우시고 엔터하시면....

천문 사이트 Links

외부 사이트들의 좋은 정보 등을 같이 읽어봅니다.

  1. The Colors of the Moon

    Date2005.04.22 By김상욱 Views3856
    Read More
  2. 오리온자리 유성우

    Date2006.10.24 By이건호 Views3835
    Read More
  3. 난 한놈만 팬다~ (M57-고리성운)

    Date2003.06.21 By이건호 Views3816
    Read More
  4. 화성과 쌍가락지

    Date2003.09.08 By이건호 Views3814
    Read More
  5. 삼양의 신형 14mm 렌즈

    Date2010.04.21 By장승혁 Views3810
    Read More
  6. 좋은사진들이 많습니다.

    Date2004.10.25 By이준화 Views3810
    Read More
  7. [re] 화성 2003년 7월 3일

    Date2003.07.04 By황인준 Views3807
    Read More
  8. 아마추어가 만든 미러 연마기

    Date2007.09.17 By이준화 Views3796
    Read More
  9. 외국에선 이런것도 잡아내는군요

    Date2003.11.20 By남명도 Views3796
    Read More
  10. 32cm 뉴튼식 반사 자작기입니다.

    Date2005.01.26 By이준화 Views3794
    Read More
  11. 플레아데스, 장미, 말머리 - 10D

    Date2003.12.06 By이건호 Views3794
    Read More
  12. 그레이트 안드로메다

    Date2007.11.17 By이건호 Views3784
    Read More
  13. Spitzer 적외선 망원경으로 본 73P/SW 3

    Date2006.05.12 By박영식 Views3781
    Read More
  14. 멋진 태양..^^

    Date2006.01.12 By김종호 Views3778
    Read More
  15. Kodak CCD 센서

    Date2005.02.04 By이준화 Views3754
    Read More
  16. 만능선수

    Date2005.12.16 By황인준 Views3741
    Read More
  17. 오메가 센타우리

    Date2006.03.22 By이준희 Views3723
    Read More
  18. 화성 2003년 6월 28일

    Date2003.07.04 By이건호 Views3715
    Read More
  19. 꿈은 이루어진다.~

    Date2006.03.16 By이준화 Views3713
    Read More
  20. 달표면 지형 확인 프로그램

    Date2005.12.03 By남기현 Views371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