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Planetary Nebula
2003.10.25 11:07

NGC2392 에스키모

(*.117.17.189) 조회 수 2015 추천 수 178 댓글 11




역시 분당 번개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시직경이 워낙 작아서(42초 정도) 장촛점이 아니면 디테일을 잡아내기 힘든 대상인데 워낙 밝아서 CCD라면 재미있는 대상일듯 싶습니다.

중앙 부분만 약간 크롭하였습니다.

- TSC225 (Fl :2700, F12)
- Em200Tm2Jr.
- SBIG ST-2000XM + CFW8
- L=30초X 5장(1X1)  
  R=30초X 20장, G=30초X 20장, B=30초X 20장 (2X2)
  노터치 가이드
- CCDSoft, Stella Image4, Photoshop
- 분당 인근 전원 주택지
- 2003년 10월 24일 새벽

뽀샵에서는 꽤 부드러워 보이는데 웹에 올리니 부드러움이 많이 떨어지는군요..
  • 이준화 2003.10.25 11:22 (*.249.97.68)
    42초 크기의 대상이 이렇게 크고 자세히 찍히다니... . 전 감히 시도조차 해보지 못한 대상인데 부럽습니다.
  • 김상욱 2003.10.25 11:36 (*.222.22.7)
    F12인 망원경을 가지고도 정말 잘 찍어내시는군요.
    이런 사진을 보면 마음이 왔다갔다 합니다.^^
  • 이준화 2003.10.25 11:40 (*.249.97.68)
    상욱님도 하나 구입하세요. CCD 라면 F12 도 충분합니다.^^
  • 이건호 2003.10.25 11:42 (*.74.137.113)
    히야~~에스키모 아저씨가 방긋 웃고 있군요.
  • 김영렬 2003.10.25 11:48 (*.58.19.102)
    분당에서 이렇게 찍힌다구요? 멀리 가면 어떨지 상상이 안되네요. 그리고 어지간하면 멀리 갈 필요도 없어 보이는 군요.
  • 이경화 2003.10.25 12:52 (*.105.75.5)
    에스키모를 이렇듯 세세히 본적이 없었는데, 신기하고 멋지네.
  • 황형태 2003.10.25 15:30 (*.215.104.140)
    42초면 목성크기밖에 안되는데... 음...역시 대단한 사진입니다.
  • 육호준 2003.10.25 18:03 (*.117.3.50)
    ㅎㅎㅎ 이쁘군요
  • 지승용 2003.10.26 03:15 (*.50.86.80)
    망원경 이름을 바꾸시죠.. HOTE 가 좋겠네요.
    Hubble On The Earth..*^^*
  • 김영혜 2003.10.26 22:29 (*.125.37.103)
    세상에 우주에 이런 대상이 있었네요. 신비스럽습니다.
  • 최승용 2003.10.27 09:30 (*.187.167.204)
    멋집니다.^^

  1. Merope region of Pleiades(M45)

    역시 덕초현 관측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 FS152 +Em200Tm2Jr. - SBIG ST-2000XM + CFW8 (-15도) - L=50초 X 30장(1X1) R=50초X 15장, G=50초X 15장, B=50초X 15장 (2X2) 노터치 가이드 - CCDSoft, Stella Image4, Photoshop - 천문인 마을 - 2003년 10월 26...
    Date2003.10.27 CategoryStar Cluster By황인준 Views1460
    Read More
  2. NGC7293

    전주 주말에 덕초현에서 찍은 첫 사진입니다. 고도도 워낙 낮은데다가 결국 오토가이더 케이블이 문제가 있는 덕분에 노터치로 찍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서 아쉬움이 많이 남는 사진입니다. 어두운 대상은 결국 10분짜리 두장이 1분짜리 30장 보다 좋다는 ...
    Date2003.10.27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1857
    Read More
  3. Trapezium in M42

    역시 분당 전원주택지에서 찍은 마지막 사진입니다. 구성 별들이 대부분 찍힌 것 같습니다.. - TSC225 (Fl :2700, F12) - Em200Tm2Jr. - SBIG ST-2000XM + CFW8 ( -15도) - L=20초X 50장(1X1) R=20초X 20장, G=20초X 20장, B=20초X 20장 (2X2) 노터치 가이드 ...
    Date2003.10.2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942
    Read More
  4. IC1318 & NGC7000

    IC1318 & NGC7000 입니다. 캐논10D, ISO 800, 3분 * 6장 합성 다크프레임 촬영후 노이즈 제거 EM200 USD2 + 자작 오토 가이더 사용 렌즈 : Canon 28-105 에서 105mm 사용 F 5.0
    Date2003.10.26 CategoryNebula By박성래 Views1605
    Read More
  5. NGC2392 에스키모

    역시 분당 번개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시직경이 워낙 작아서(42초 정도) 장촛점이 아니면 디테일을 잡아내기 힘든 대상인데 워낙 밝아서 CCD라면 재미있는 대상일듯 싶습니다. 중앙 부분만 약간 크롭하였습니다. - TSC225 (Fl :2700, F12) - Em200Tm2Jr. - SB...
    Date2003.10.25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2015
    Read More
  6. M82

    븐당 번개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처음에는 TSC에 리듀서를 쓰고 또 오토가이드를 함으로서 그동안 ㅅ도전하기 힘들었던 어두운 대상과 적도 부근의 대상들을 찍고자 했으나 이것 저것 다 문제라서 결국 2700의 직초 노터치로 도전해 볼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
    Date2003.10.24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622
    Read More
  7. 안드로메다^^

    숨은그림 찾기 입니다. 안드로메다은하를 찾으시면 10점 페르세우스 이중성단을 찾으시면 20점을 드립니다.^^ 10D사서 (어안렌즈로) 처음으로 촬영해 봤습니다. 각이 넓긴 넓더군요. 페르세우스걸치고 백조걸쳐진곳까지 시직경이 얼마나 될까요. 저는 더 큰 ...
    Date2003.10.24 CategoryGalaxy By김영혜 Views1691
    Read More
  8. NGC2403

    10월23일 어제 저녁도 날이 무척 좋았습니다. 달도 없고, 많은 분들이 분당에 가셨지만 전 집에서 사진을 찍었습니다. RGB 를 먼저 찍었는데, 고도가 낮을때 찍은 R 이미지에 광해가 많이 찍혀서 R 이미지가 좋지 않았습니다. RGB 는 고도가 높을때 찍는 것이...
    Date2003.10.24 CategoryGalaxy By이준화 Views1501
    Read More
  9. M33 바람개비 은하 - 컬러

    http://astrophoto.co.kr/zeroboard/view.php?id=pic_galaxy&no=10 지난번에 찍은 M33의 RGB를 지지난번에 찍은 L이미지와 합쳐보았습니다.
    Date2003.10.24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714
    Read More
  10. NGC7000 North America Nubula (북아메리카성운)의 멕시코만-재처리

    합성을 다시 해 보았습니다. 초점길이가 틀려져서 매칭이 힘드네요. http://astrophoto.co.kr/zeroboard/view.php?id=pic_nebula&no=10 . Ha 프레임이 노멀프레임과 사뭇달라 헤매는 관계로... 아직 제대로 된 처리를 못했습니다. Ha필터 퍼스트라잇입니다. ....
    Date2003.10.22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983
    Read More
  11. NGC 7331

    역시 덕초현에서 찍은 이미지 입니다. 날이 밤새도록 좋다는 것이 사진 찍는데 얼마나 유리한가가 입증된 하루였습니다. 밤새도록 조각구름하나 없었습니다.. 같은날 밤새며 찍은 딮스카이 사진의 마지막입니다. Ha를 이용 처음 촬영을 한 이건호님의 ...
    Date2003.10.22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608
    Read More
  12. M57

    떠나보내기가 아쉬워서 촛점거리가 짧은데도 불구하고 담아 봤습니다. 역시 찍은 곳은 덕초현 천문인 마을입니다. - FS152 +Em200Tm2Jr. - SBIG ST-2000XM + CFW8 - L=30초 X 50장(1X1) R=30초X 20장, G=30초X 20장, B=30초X 20장 (2X2) 노터치 가이드 - CCDS...
    Date2003.10.22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172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