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ebula
2003.09.25 16:39

말머리 성운

(*.101.108.100) 조회 수 2468 추천 수 229 댓글 18


http://astrophoto.co.kr/zeroboard/view.php?id=pic_nebula&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4


TEC 160미리 플루오라이트 굴절망원경 F8
EQ1200 GTO 적도의
ST10XME CCD 카메라 (-20도 냉각)
L:5분짜리 12장합성
RGB: 2분짜리 5장씩 합성
2003년 9월 21일 덕초현 스타파티에서...


김일순님과 저는 이 말**리를 300배에서 안시로 확인했습니다. 정확히 말머리 가운데를 보았고 암흑성운 답게 암흑 그 자체였습니다. ^^


찍고 나서 몇가지 후회가 있었습니다. 10분으로 할 걸....
밝은 별 피해 다니느라 구도도 마음에 안 듭니다.
1/2로 리사이즈한 상태고 미약한 노이즈가 남이 있는 것이 흠입니다.

옆에 달도 있었고 그랬는데... 그래도 꽤 봐줄만한 사진이 나온거 같습니다. 즐겁게 봐주시고 언제나 처럼 코멘트 환영입니다. 이건호.


*위 링크는 새로 만들고 있는 홈피주소입니다. 가끔 놀러오세요.
  • 김일순 2003.09.25 16:46 (*.114.170.173)
    사진이 안시만 못한 것 같습니다. ^^ 그날 안시로 본 말머리성운은 가히 압권이었습니다. 사진에서는 안시에서는 보이지 않던 붉은 색이 엄청나군요. 대단합니다
  • 황인준 2003.09.25 17:31 (*.215.121.78)
    거의 갈데까지 갔구먼..지금까지의 아마츄어의 디지탈 사진 중에서 사진중에서 아니면 통틀어서 최고의 결과물이군요,..
    예상은 했지만.. 모든 구성요소가 완벽할때 나올 수 있는 사진입니다..^^
  • 이윤 2003.09.25 17:34 (*.176.147.209)
    와~~~아
    거의 주금입니다.
  • 황인준 2003.09.25 18:15 (*.215.123.75)
    WaGDFN Image!!!!!!!!!!!!!
    IHNSLT
    해석하시는 분께는 제가 거하게 한끼 식사 대접하겠습니다.
  • 박병우 2003.09.25 18:47 (*.79.196.139)
    우와~ 멋있습니다. 말대가리가 학실하게 보입니다.
  • 황형태 2003.09.25 20:12 (*.237.229.226)
    와~~놀랍습니다!!!
  • 이준화 2003.09.25 21:33 (*.121.198.206)
    이건호님 새로운 홈페이지에서 먼저보았는데, 감짝 놀랐습니다. 어찌 이런사진을 찍을 수 있을까요. 세계최고의 사진이 아닐까요?
  • 이건호 2003.09.25 21:57 (*.74.37.142)
    다들 고맙구요.. 과분한 칭찬이십니다. 항상 100%만족할 순 없지만 설명처럼 눈에 거슬리는게 남아 있습니다. 그래도 지금까지의 사진중에선 가장 마음에 들긴 합니다. ^^
  • 황형태 2003.09.25 22:25 (*.211.139.182)
    다시 봐도 매우 놀라운 사진입니다. 최고급굴절의 효용가치를 다시한번 일깨워주는 사진이라고 하겠습니다. 최대로 확대해봐도 성상 하나하나가 무색의 심오한 우주로 표현될뿐인 말그대로의 역작입니다. 전 이런 류의 사진은 Tony & Daphne Hallas부부만의 것이라고 믿고 있었는데 대한민국 나다의 이건호가 해냈군요. 정말 대단합니다. 그리고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 최훈옥 2003.09.26 01:42 (*.238.164.93)
    경이로워요..건호님 만세! 건호님을 국회로(?? )
  • 최승용 2003.09.26 09:02 (*.109.101.119)
    정말 멋진 사진 입니다.^^
    이런 사진을 찍으려고 그동안 고생했을 것을 생각하면....
    이 사진이 더욱 멋져 보입니다.
  • 김상욱 2003.09.26 09:47 (*.148.152.199)
    보고 또 보고...
    그저 감탄만 하고 있습니다.
  • 김영렬 2003.09.26 09:54 (*.58.19.122)
    정말 멋있습니다.
    다음 사진이 기다려 지는 군요.
  • 이경화 2003.09.26 10:27 (*.187.72.226)
    와! 허블이 울고 가겠네.
    축하하구요, 멋진사진 계속 되겠지요?
  • 남명도 2003.09.26 13:53 (*.215.122.107)
    와! 저도 울고 갑니다.(감동받아서)
  • 황인준 2003.09.26 15:14 (*.117.16.36)
    보고 또 봐도 너무 멋진 사진입니다. 말을 세워 보니까 더 멋있던데.. 한번 세워 보세요..
  • 김영혜 2003.09.28 08:49 (*.125.73.6)
    대단합니다. "The Photo of the Year"입니다.
  • 이건호 2003.09.29 00:07 (*.231.73.255)
    약간 처리를 달리해보았습니다. 좀더 붉게.. NGC2023이 잘보이게...

  1. M3

    M3 C8ex, EM10, ST-10XME L : 100sec x 7장 (1x1 binning) 2003년 3월 22일 경기도 분당 부근
    Date2003.04.07 CategoryStar Cluster By이건호 Views2499
    Read More
  2. M82

    M82 AP 130EDF, EQ1200, ST-10XME L : 5min x 4장 (1x1 binning) RGB : 각채널 5min x 3장 (2x2 binning) 총 65분 2003년 2월 9일 덕초현천문인마을
    Date2003.04.07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2481
    Read More
  3. M16 - Eagle Nebula

    ||1-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Paracorr -AP EQ1200 GTO -ST-10XME w/CFW-8A(-25) -Hα : 1200초X5장(1X1) -RGB : 각 300초X6장씩(1X1) -2008. 05. 31. 여름철 대상들은 짧은 밤과 궂은 날씨 그리고 장마 때문에 특히 저처럼 게으른 사람에게는 좀...
    Date2008.06.04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2477
    Read More
  4. Beta Cygni (Albireo)

    3월 5일 새벽녁에 망원경 정리하다가... 한장찍어봤는데... 잘 보이네요.. ^^ 2005년 3월 5일 05시 51분 AP1200DA, Tak. FS128, Canon 20D(@iso1600) 32s 한장 중앙부분만 크롭한 것입니다. 알비레오는 PA 54도 Sep. 34arcsec 입니다.
    Date2005.03.09 CategoryDouble/Variable Star By박영식 Views2471
    Read More
  5. 말머리 성운

    http://astrophoto.co.kr/zeroboard/view.php?id=pic_nebula&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4 TEC 160미리 플루오라이트 굴절망원경 F8 EQ1200 GTO 적도의 ST10XME CCD 카메라 (-20도 냉각) L:5분짜리 12장합...
    Date2003.09.25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2468
    Read More
  6. 030601 M57

    TEC 6, XL14, EM-200 T2PC Jr. CP5000 3분 노출을 준 1장짜리 이미지입니다. 중앙 부분만 잘라내서 레벨 조정만 하였습니다.
    Date2003.06.01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상욱 Views2461
    Read More
  7. 080227-M81

    촬영일: 2008년 02월 27일 새벽 촬영지: 대부도 대남초교 망원경: SMC 12"(300mm Newtonian, f4) 적도의: EQ 1200 GTO 카메라:SBIG 2000XM(-35도) L : 145m(1x1) R : 30m(2x2) G : 30m(2x2) B : 30m(2X2) 주변부 크롭 망원경을 돌려 칼라를 마저 찍느라 주변...
    Date2008.03.10 CategoryGalaxy By박정용 Views2437
    Read More
  8. M51 (Whirlpool Galaxy)

    큰곰자리에 있는 10'X5' 크기의 은하로 크기가 큰 NGC5194와 이보다 작은 NGC5195 두 은하로 이루어져 있어 보통 부자은하로 불리우며 중심부의 발달된 나선 모양때문에 ‘소용돌이은하(whirlpool galaxy)라고도 합니다. 이전에 서너번 찍었을때 주변부 어두운...
    Date2008.04.13 CategoryGalaxy By신범영 Views2433
    Read More
  9. 백조자리의 두 산개성단 (M29 & M39)

    백조자리 가슴의 sadr 옆에 있는 산개성단 M29와 네데브 윗쪽에 자리잡은 M39입니다. 여름은하수의 화려한 성운틈에서 소박하게 자리를 지키고 있어 주목하기 어려운데 가끔 구름이 지나는 날씨여서 구름이 없는 짧은 시간을 이용하여 찍어 보았습니다. 짧은 ...
    Date2007.07.01 CategoryStar Cluster By신범영 Views2429
    Read More
  10. M31 Andromeda Galaxy

    지금까지 제가 찍은 천체사진중에 가장 장 노출의 사진입니다. 투명도가 좋지 못한 시즌의 사진이고 해서 100% 만족할만하지는 않지만 역시 장노출에 의한 정보량의 증가가 어느정도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컬러정보는 충분한 듯 하고 ...
    Date2008.10.13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2425
    Read More
  11. 080709_m27

    근래에 보기 드문 날이 이틀 연짱 계속 되는 8일과 9일 밤 때문에 잠이 부족 하군요.^^ 달이 있어서 느즈막히 안산 일대학으로 출동 하여 아주 느긋하게 장비를 설치하고 냉각을 시킵니다. 불어 오는 바람은 반팔의 옷차림에 아주 좋았습니다. 집에 있었으면 ...
    Date2008.07.10 CategoryPlanetary Nebula By최승용 Views2421
    Read More
  12. M3 - cp995

    030406 00:50:40 분당 강남 300 주차장 C11 EM200 TEMMA XL21 CP995 FL : 14.3mm f : 3.3 ex : 60sec ISO : 400 WB : fluorescent 13 Images stacked photoshop 5.5 Registax 밑의 M13 보다 먼저 도전 했던 대상인데 초점확인하고 시양중앙에 넣으려고 많은 ...
    Date2003.04.09 CategoryStar Cluster By최승용 Views239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