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tar Cluster
2003.06.02 14:47

M10 030531

(*.117.18.176) 조회 수 3801 추천 수 264 댓글 8


땅꾼 몽통의 방광 근처에 있는 M10입니다.
노목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하늘이 좋아 보여서 그리고 처음으로 자동도입을 했기에 초 저녁에는 안시를 좀 했습니다.
그리고는 처음으로 TSC225를 이용해서 사진 촬영을 했지요..


TSC225
EM200Temma2 PC Jr.
XL40
SHUTTER      : 61.37sec
APERTURE     : F3.9
EXP +/-      : +1.3
FOCAL LENGTH : f14.2mm(X1.0)
IMG ADJUST   : CONT+
SENSITIVITY  : ISO800
SHARPNESS    : AUTO
DATE         : 2003.05.31 23:13
QUALITY      : 2272x1704 FINE

8장을 포토샵에서 합성후 처리했습니다.

노이즈가 합성을 하고 이미지 처리를 하다 보니 어두운 별들처럼 나왔는데.. 누가 이것 없애는 방법 모르세요..
이미지는 내키는 대로 가져다가 처리해 보고 암실에 올려봐 주세요...
  • 최승용 2003.06.02 16:06 (*.254.175.125)
    절대적인 비교는 어렵겠지만 이 사진만으로 판단 하기는 225가 235보다는 좀더 점상으로 보이는것 같습니다. 다음에 필드에서 기대가 되는군요^^.
  • 이건호 2003.06.02 17:37 (*.101.108.100)
    사진 좋습니다. 고생하신 보람이 있네요.
    그런데, 방광부근인지 그 앞쪽인지는 어떻게 아는거죠?? ^^;
  • 이건호 2003.06.02 17:39 (*.101.108.100)
    노이즈(핫픽셀)는 다크프레임 연산을 해주는 방법이 제일 확실할 거 같네요.
    같은 온도에서(이게 어렵겠지만) 암화면도 하나 더 찍어서 빼줘 보세요.
  • 김영렬 2003.06.02 17:48 (*.232.128.122)
    4500으로 성운성단도 훌륭한 결과를 얻어냈군요. 행성(토성, 목성, 화성) 에 태양, 성운, 성단에 이르기까지 대단합니다.
  • 김영렬 2003.06.02 17:49 (*.232.128.122)
    그리고 그날 야외온도가 태기산의 경우 10도 전후였습니다. 냉장실 온도를 조금 올려주면 비슷한 온도를 만들 수 있을 겁니다.
  • 황인준 2003.06.02 18:28 (*.117.17.240)
    과찬의 말씀들입니다.. 4500의 한계는 분명히 있으나 일단 최대한 가지고 놀아보자는 것이구요 결국 냉각 CCD를 고려하게 될 겁니다. 저는 고려하는데 보통 1년 이상은 걸리니까 내년쯤 냉각 CCD를 사겠지요.. 그때까지는 불만이 있어도.. 방광인지 어떻게 아냐구요?? 그 코멘트가 안나오면 딴지 대 마왕이 아니지..^^ 그냥 썼슈.. 이유는 재미있으니까.. 김교수님 우리 냉각 소자를 카메라 뒤에 붙이는 건 고려 해 보면 어떨까요?? 추진해 볼까요? 그것으로 약 한 5도 정도면 떨어뜨려 줘도.... D-100이야 어떨지 모르지만 4500은 기온이 높아지면서 점점 노이즈와의 전쟁이 격렬해 지고 있습니다.. 그에 비해 김 상욱님의 5000은 화소수가 많아서인지 노이즈가 고르고 잘게 찍혀서 보기에 덜해 보이더라구요..
  • 김영렬 2003.06.02 19:05 (*.232.128.122)
    표면 냉각도 4500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됩니다. 4500은 금속인데다가, 적당히 평평한 면이 있더군요. D100은 합성수지인데다가, 표면에 적당한 면이 없습니다. 그래서 냉각소자는 포기하고, 정 아쉬우면 얼음주머니(드라이 아이스나) 로 온도를 낮춰볼 생각입니다. 이마저도 귀찮으면 그냥 찍을 생각이구요. 아마 이럴 가능성이 가장 많아 보입니다.
  • 황인준 2003.06.03 12:09 (*.117.17.220)
    저는 함 해 보렵니다..

  1. M10 030531

    땅꾼 몽통의 방광 근처에 있는 M10입니다. 노목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하늘이 좋아 보여서 그리고 처음으로 자동도입을 했기에 초 저녁에는 안시를 좀 했습니다. 그리고는 처음으로 TSC225를 이용해서 사진 촬영을 했지요.. TSC225 EM200Temma2 PC Jr. XL40 S...
    Date2003.06.02 CategoryStar Cluster By황인준 Views3801
    Read More
  2. M81+M82

    저의 주관심사는 은하를 커다랗게 찍어보는 것입니다. M81 과 M82 는 밝은 은하이기때문에 집에서도 잘찍힙니다. 그러나, 개조한 pc 카메라로서는 무리가 있었습니다. 이사진은 135mm 망원렌즈로 촬영한 것입니다. 개조한 DVC325 로 2001 년 12 월 10일에 2분...
    Date2003.04.06 CategoryGalaxy By이준화 Views3769
    Read More
  3. m57

    Object: m57 Date: 2010.04.25 Telescope: TMB130SS/WO RF4/F5.6/FL=약728mm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 HaRGB=1200초x3장:RGB=300초x3장 Guiding: 66mm ED/DSI(main relay) Location: 화성시 궁평항 부근 오랜만에 날이 좋을 듯 해서 ...
    Date2010.04.26 CategoryPlanetary Nebula By전영준 Views3715
    Read More
  4. 030925 M1

    어제는 번개 공지를 천천히 올려서 그런지 조촐한 번개가 되었습니다. 옵져버로 참여하신 선숙래님과 김영렬님 제가 참여한 번개 출사였습니다. 어제도 역시 시상은 좋지 않아서 좋은 화성사진 건지기는 힘이 들었지만 어렵사리 찾아온 CCD 사용 기회를 빨리 ...
    Date2003.09.25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3706
    Read More
  5. M51

    자작CCD 카메라로 2002년12월30일 새벽에찍은 M51 입니다. 장소:북쪽베란다 300mm 니콘렌즈 F5.6 GPD 노터치가이드 1분x53장 영상처리: 53장더하기->곡선->언샵마스크 아직까지는 가이드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그래서 주로 북극에 가까운 대상들만 ...
    Date2003.04.06 CategoryGalaxy By이준화 Views3702
    Read More
  6. M81

    웹캠으로의 촬영에는 몇가지 한계가 있었습니다. 첫째 8비트 이상의 영상을 얻을 수가 없다는 것하고 둘째 웹캠내부에서 영상처리되어서 변형된 데이터가 출력된다는 것 세째 CCD 의 감도조절이 내맘대로 되지않는다는 것등등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있었습니다...
    Date2003.04.06 CategoryGalaxy By이준화 Views3590
    Read More
  7. M33

    대상 : M33 장소 : 덕초현 천문인 마을 날짜 : 2002년1월1일 21시~ 렌즈 : 300mm 망원렌즈 F5.6 카메라 : 자작 CCD 카메라(영하15도) 가대 : GPD 노터치 가이드 노출 : 1분 x 16장 영상처리 : 16장 평균후 곡선 및 언샵마스크 1년전 50mm 렌즈로 찍은 사진에 ...
    Date2003.04.06 CategoryGalaxy By이준화 Views3539
    Read More
  8. 030501은하수

    오늘 새벽 은하수가 넘 맑아 찍어보았습니다. 오리온은 지난달 찍은 것이고요... 아직 실력은 없지만 열심히 찍고 있습니다.^^! 쩝... 다카하시 152mm + S2pro 입니다.
    Date2003.05.01 CategoryNebula By김영혜 Views3447
    Read More
  9. 031015 M81

    - FS152 - EM200 Tm2 Jr. - ST2000XM + CFW8 - L=120초 X 30장(1X1) R=120초X 10장, G=120초X 10장, B=120초X 10장 (2X2) 노터치 가이드 - CCDSoft, Stella Image4, Photoshop - 천문인 마을 - 2003년 10월 15일 3시경 M81은 안시 등급이 7.9등급, 사진 등급...
    Date2003.10.17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3429
    Read More
  10. NGC1579

    이번에는 대상을 무엇을 찍을까 준비를 해 갔는데 문제는 급히 망원경을 만들어 가느라 가이드 시스템에 신경을 많이 못 쓴 것이 결국은 현지에서 여러가지 문제를 일으켰습니다. 많은 날 3일 중 결국 하루만 촬영에 성공했습니다. 그나마 초점도 좀 부실하고...
    Date2011.11.03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3317
    Read More
  11. M81

    만만한게 M81 입니다. 대상을 찾기도 쉽고, 망원경의 성능을 비교하기도 좋습니다. MT-130을 중고로 구입하고, 행성등을 안시관측해보았는데 생각보다 잘 보였습니다. 욕심 같아선 MT-160을 구입하고 싶었지만 가대도 그렇고, 돈도 그렇고... 어쨋든 만족스럽...
    Date2003.04.06 CategoryGalaxy By이준화 Views3243
    Read More
  12. M82 LRGB

    EM-100 을 중고로 구입하고 한동안 날이 흐려서 테스트를 못하고 있었습니다. 오랜만에 날이 개었지만 하늘엔 달이 훤하게 떠있고, 사진을 찍기에는 적절하지 못햇지만 밝은대상인 M82 를 찍어보았습니다. 몇달전 구입한 RGB 필터의 테스트도 같이 했습니다. ...
    Date2003.04.06 CategoryGalaxy By이준화 Views324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