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Planetary Nebula
2003.05.20 23:51

M27 아령성운

(*.155.239.231) 조회 수 1983 추천 수 229 댓글 10




130EDF, ST-10XME, EQ1200
2003/05/05

L: 5min x 4  (1x1)
RGB: 100sec x 3 (2x2)

지난 덕초현 관측때 찍은 아령성운입니다. 이제야 처리를 해보았는데...
이미지처리에 시간이 많이 소비했지만, 결과는 썩 맘에 들지 않습니다.
요즘 이미지처리를 주욱~ 하다보니 찍을 때 좀 보완을 해야 할 부분이 눈에 들어옵니다. 아무래도 촬영시간을 더 늘려야 할 듯하네요.
  • 최훈옥 2003.05.21 00:28 (*.212.180.88)
    끝내줍니다.!!! 그런데 노출을 좀 오래 주면 할레이션이 생기지 않을까요? 몇초정도가 한계일지....
  • 황인준 2003.05.21 01:40 (*.215.120.194)
    와우~ 죽이는군요. 하여간 적극적으로 카메라의 업글을 검토해 보지 않을 수 없군요..
  • 이준화 2003.05.21 10:54 (*.249.97.68)
    계속 좋은 사진 보여주시니 감사합니다. ^^ 제가 요즘 궁금한것은 이건호님과 거의 비슷한 장비로 찍은 사진들의 성상이 굉장히 작게 나온다는 것입니다. 이 차이가 초점조절의 차이인지, 시상의 차이인지, 촬영시간의 차이인지, 영상처리의 차이인지 궁금합니다. 어느 하나의 이유만은 아니겠지만, 어느것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인지 궁금해하고 있는 중입니다.
  • 이건호 2003.05.21 11:57 (*.101.108.100)
    거의 비슷한 장비라면 어떤 것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제 사진과 동일장비로(망원경,ccd) 외국에서 찍은 사진을 보면 훨씬 뛰어난 성상이 많은데요...
    원인을 추정해보면
    DECONVOLUTION 60%
    Auti FOCUSING : 20%
    SEEING: 20%
    정도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DECONVOLUTION 소프트웨어로는 뭐가 좋을까요?
  • 이건호 2003.05.21 12:01 (*.101.108.100)
    훈옥님께.
    노출은.. 최대 10분정도로 (1x binning에 노필터) 하고,
    컬러영상이 지금은 60초~100초 정도로 하는데, 이것을 5분정도까지 (2x binning) 늘려 볼 예정입니다.
  • 이준화 2003.05.21 13:02 (*.249.97.68)
    6인치 INTES 막스토프 MK69+ST-10 으로 찍은 사진과 TOA130+ST-10으로 찍은 NGC4631 을 비교해보면 성상의 차이가 많았습니다. 이 경우 이건호님의 경우 가대가 EM-10 이었고 고정관측지가 아니었기때문에 객관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어쨋든 MK69로 찍은 사진을 보면, 예상밖으로 훌륭한 사진을 얻고 있습니다. 중앙차폐율도 상당히 크기 때문에 어둡고, 상이 좋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다른 사진을 보면서
  • 이준화 2003.05.21 13:09 (*.249.97.68)
    좋은 사진을 얻기 위한 망원경의 선택기준이 다소 바뀌고 있습니다. 대신 MK69 로 찍는 경우 노출시간을 보면 한대상에 대해 L,R,G,B 모두 합쳐서 3시간 내지 5시간을 사용하더군요. 망원경이 어두운 만큼 노출시간을 많이 주는 것 같습니다.
  • 이건호 2003.05.21 14:23 (*.101.108.100)
    성상의 크기는 제가 위에서 60%라고 말씀드린 Deconvolution 루틴을 적용한 차이라고 보입니다. 제 이미지에도 맥심에 있는 deconvolution을 적용해보면 작은별들(어두운별들, 주로 2x2픽셀 안에 보이는...) 크기는 안줄지만 큰별들은 그 크기가 1/4정도로 축소됩니다. 대신 이미지가 좀 부자연스워져서(처리미숙이겠죠) 아직은 쓰질 않았구요.
  • 이건호 2003.05.21 14:29 (*.101.108.100)
    안시관측등을 배제하고 ccd관측만을 위한 망원경이라면 선택의 폭은 훨씬 넓을 것으로 보입니다. MAK이나 SCT나 VISAC류(손님갤러리 일본친구)도 좋은 선택이 될수 있겠죠. 덤으로 훨씬 컴팩트 하구요.^^
  • 박병우 2003.05.21 16:44 (*.100.197.215)
    색상이 이쁘군요. 저 빨간색이 우주의 진짜 색상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가을 석류같이 잘 나왔습니다. 나도 과거 한번 찍어봤는데 색상이 별로였습니다. 그리고 이준화님의 얘기대로 별을 조금 더 작게하면 더 보기 좋을 것같습니다. 경통도 a급이고 카메라, 가대도 a급이므로 하드웨어적인 문제는 없는 것같고. 아마도 이미지 처리에서 핵심이 있는 것같군요. 역시 ccd는 이미지처리와 한판 승부인 것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85 Nebula M42 13 file 2008.02.25 2330 황인준 sanfran 황인준
84 Star Cluster 030601 M13 6 file 2003.06.01 2333 김상욱 quark 김상욱
83 Galaxy NGC3718 & NGC3729 17 file 2008.02.27 2338 김일순 arame 김일순
82 Galaxy M81 12 file 2009.06.08 2344 황인준 sanfran 황인준
81 Star Cluster M45, 2002년 11월, 청태산 file 2003.04.08 2348 김영렬 pjhkyr 김영렬
80 Nebula M17 오메가성운 9 file 2003.08.17 2350 이건호 skymate 이건호
79 Star Cluster M15 구상성단 file 2003.07.08 2356 이건호 skymate 이건호
78 Galaxy M51 두번째 사진 3 file 2003.04.07 2362 박병우 qkrquddn 박병우
77 Galaxy NGC7331 17 file 2007.09.13 2368 황인준 sanfran 황인준
76 Galaxy NGC891 - 측면나선은하 16 file 2007.10.25 2370 김일순 arame 김일순
75 Galaxy M31 안드로메다 대성운 3 file 2003.08.21 2372 이건호 skymate 이건호
74 Double/Variable Star Vega 8 file 2005.06.27 2375 김승남 byulter 김승남
Board Pagination Prev 1 ...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