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04.07.23 10:04

7월 22일 양평 설매재

(*.112.77.5) 조회 수 6849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어제 야간비행팀을 따라 양평 설매재에 다녀왔습니다. 날도 더운데다 시간은 없고하여 쌍안경 하나만 달랑 들고 나갔습니다.
관측지에 도착하니 최형주, 김경식, 이민정씨 세분이 먼저 도착하셨는데 즐겨 사용하던 관측지에 웬 가건물이 하나 들어서 있고 못들어가게 줄도 걸어 놓았더군요. 이제 여기도 앞으로 못 써먹게 될 것 같은 불길한 예감이 들었습니다.
동원된 장비는 18", 12.5", 10" 돕에 16x70 쌍안경이었습니다. 저는 그나마 카메라 삼각대에 올려서라도 볼까 했는데 연결어댑터를 놓고 오는 바람에 2시간 내내 "들고보기"를 했습니다. 한 1분쯤 들고 있으면 "끙~"하고 저절로 신음소리가 나오더군요.-_-
이날 본 대상은, 저는 궁수, 전갈 자리쪽을 주로 복습하였습니다. 천정쪽을 보다가는 목 부러질 것 같아서 일부러 고도가 낮은 대상을 보았습니다.
대기는 무척 안정되어 있었지만 박무가 심해서 깔끔한 상을 보여주지는 못하더군요.
인상 깊었던 대상으로 백조자리 61번 별(61 Cygni)이 있습니다. 이놈은 쌍안경으로도 분해가 되는 이중성인데 고유운동 값이 매우 커서 Piazzi's flying star라고 발견자의 이름을 딴 별명까지 붙어 있는 놈입니다. 거리도 비교적 가까워서 지구에서 11번째로 가깝고 11.4광년 떨어져 있다 합니다. 한편 이 이중성계는 목성과 같은 행성을 거느리고 있을 것으로 알려져 있기도 합니다.
10인치로 보았을 때는 두 별이 거의 비슷한 광도로 오렌지색을 띠고 있는 이쁜 모습을 보여 주었습니다.
흔하디 흔한 이중성 중의 하나일 수도 있지만 "의미"를 갖고 보니 색다른 재미가 있었습니다.
저는 12시 갓넘겨서 철수를 했습니다. 집에 오면서 과속을 한 것 같은데 언제 과속딱지가 날라 올런지 모르겠네요.
  • 이경화 2004.07.23 13:42 (*.253.39.53)
    찬스를 안놓치는 분들.. 혼자도 못보면서 공지도 놓쳐가지고..
    마음이 이상하게 쓰이더라니..
  • 최승용 2004.07.23 14:25 (*.255.244.57)
    어제는 장마가 끝나고 나서 맞은 가장 맑은 날이었습니다.
    저도 안산 일대학에서 조촐한 관측을 했습니다.
    달과 목성을 잠시 보고...
    사진을 찍기는 했지만 워낙 박무가 심하여 결과가 엉망 입니다. 목성은 이제는 서쪽 낮은 곳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박무에 쌓여 있어 도저히 찍을 대상이 아니었습니다. 안시로도 볼품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저도 상욱씨와 같은 이중성을 보았지요.
    여기저기 둘러 보고 적도의와 망원경 테스트를 한 후 10시부터 철수를 시작했습니다.
    집에 오니 11시... 와이프가 왜 이렇게 빨리 들어 왔냐며서 놀라더군요.^^
    이제부터는 날이 좋아지겠지요?
  • 육호준 2004.07.23 21:04 (*.216.155.243)
    상욱씨 파인더는 추선생님 사무실에 두었습니다.
    시간나는데로 추선생님께 전화하고 찾아 뵈세요.
  • 김상욱 2004.07.24 10:43 (*.112.77.5)
    육선배님, 파인더는 오늘 우체국으로 찾으러 갑니다.
    인제 날이 맑아지면 조만간 목동 관측 공지가 나겠군요.
    그리고 누님! 언제 분당번개 한번 공지하시죠.
    이번 주는 월령이 보름을 향해 가니 달 구경도 재미있을 듯 합니다.

관측 / 촬영기

안시관측 및 사진촬영 후기, 경험담들을 모아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 030719 주말번개 후기 6 황인준 2003.07.21 6688
82 030828 분당 관측기... 7 최승용 2003.08.29 6676
81 030908 분당번개 잡담기 1 김상욱 2003.09.09 7568
80 031015분당번개 간단후기 3 황형태 2003.10.16 5896
79 031018 죽을뻔 했던 번개 살려내기 3 지승용 2003.10.19 8068
78 031023 분당 번개 관측기 10 file 최승용 2003.10.24 5896
77 03년9월16일~17일 분당 전원주택지 출사후기 2 황인준 2003.09.17 3990
76 04/02/23 청학리 번개 3 선숙래 2004.02.24 3625
75 04/02/23 분당 번개 4 이준희 2004.02.24 3333
74 040219_분당번개관측 3 file 박대영 2004.02.20 6370
73 040802_분당번개 관측기 6 file 최승용 2004.08.03 11173
72 050807_분당 번개 관측기 2 file 최승용 2004.08.09 10006
71 0812 페르세우스 유성우 관측. 2 박현권 2004.08.13 8286
70 1,448배 초 고배율 목성 관측과 폰 어포컬 6 file 김태환 2015.03.24 2350
69 11월 14일 모임 간단후기 2 file 이건호 2003.11.15 3560
68 12월 3일 분당 번개 사진 file 박현권 2003.12.05 3650
67 15회 스타파티 잠깐 참가기. 2 file 이건호 2003.08.25 3574
66 2003 04 16 분당율동공원 주차장 2 file 이건호 2003.04.17 4365
65 2003 05 02 용문사 부근 관측 1 이건호 2003.05.03 4411
64 2003.08.17관측기 5 남명도 2003.08.17 354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