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37.26.185) 조회 수 4038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광덕산.  경기도 포천군 이동면과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강원도 철원군 사면의 경계지역에 위치한 해발 1,046미터의 산.  이곳을 들락거린지는 벌써 3년여 정도 된다.

이번에 이곳에 가게 된 것은 그곳 사람들에게 별을 보여주기 위함이 1차적인 목적이었다.  그리고 여건이 허락한다면 목성의 촬영이 두번째였다.  일찍 현장에 도착하여 망원경을 냉각시키고 여러가지 준비도 하려는 계획은 도로정체와 현지사정으로 물거품이 되었다.  결국 8시 30분이 되어야 망원경을 설치할 수 있었다.

망원경이 설치되자 제일 반기는 사람들은 역시 꼬마친구들이었다.  가족과 동반한 꼬마친구들에게 금성, 토성, 달, 목성을 차례로 보여주었다.  대부분의 가족 동반객들이 날씨가 추워(이곳은 전날 눈이 왔다고 한다!) 일찍 숙소로 들어 가버렸다.  불행중 다행이라고나 할까...

서둘러 망원경에 카메라를 연결하여 목성을 향했다.  간간이 부는 바람과 이로 인한 대기의 요동은 초점을 잡기에도 버거웠다.  어렵게 초점을 맞추고 첫촬영에 들어간 시간이 대략 9시 30분 경.  시잉이 좋지 않은데다 미러냉각이 덜 된 목성상은 거칠고 뿌옇게 부어오른 구상성단처럼 느껴졌다.

초점을 맞추는 사이, 간간이 바람이 잦아지면서 촬영할 수 있는 때가 생기기 시작했다.  이때의 시잉은 4/10.  첫 촬영을 시도했다.  촬영 후 레지스탁스에서 간단히 합성해보니 수준미달의 화질이다.  아직 더 시간이 필요해 보였다.

시잉이 좋지 않아 몇번씩이나 초점을 다시 맞추어야 했다.  이미지쉬프트가 있는 주경이동방식의 망원경을 사용할때는 여간 불편한게 아니다.  다행이 여러번 동일한 촬영환경을 경험했기에 이젠 견딜만 하기는 하다.

10시에 가까워지면서 시잉이 5/10정도로 올라갔다.  다만 여전히 미러냉각은 부족한 상태라 목성상이 많이 흔들렸다.  그러나 더이상 기다릴 수 없어 이때 집중적으로 촬영을 시도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목성표면에 있던 가니메데는 어느새 목성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고 있었고 이오는 간신히 카메라 화각에 잡혔다.  목성표면에 검게 드리워진 가니메데의 그림자와 대적반이 묘한 대조를 이루었다.

대략 10시 30분경까지 촬영을 하였다.  오늘 촬영목적이 가니메데의 영현상과 대적반이었으므로 대적반이 목성표면에서 점차빠져나갈때쯤 망원경을 접기 시작했다.  또한 다음날이 식목일이자 가족봉사의 날이라 더 이상 지체하기가 힘들기도 했다.

이날 날씨가 꽤나 추웠다.  관측할때의 기온은 영하 0.5도!  산아래의 4월은 화사한 봄꽃이 만개해 있었지만 산중의 4월은 아직 겨울의 여운이 남아 있었다.
  • 조창우 2004.04.08 07:39 (*.241.146.3)
    광덕산이라 하셔서 천안에서 관측회를 하신줄 알았습니다....천안 근교에도 광덕산이 있어서... 목성 사진이 점점 멋있어 가는것 같습니다....
  • 최승용 2004.04.08 09:17 (*.255.244.57)
    사진이 몰라 보게 좋아졌습니다.
    시상과 주변 조건이 좋지 않았다고는 하지만 역시 좋은 이미지임에는 분명 합니다.
    다만 대영씨 말처럼 냉각이 더 잘 되었다면 더 좋은 이미지를 뽑을 수 있었을 것 같습니다.^^
    색감도 부드럽고 보이는 것도 잘 보입니다.
    저도 좋은 관측지에서 한번 눈이 튀어 날올 정도의 목성 사진을 찍고 싶습니다.^^
  • 황인준 2004.04.08 16:06 (*.53.139.41)
    좋았겠습니다.
    사진도 정말 잘 찍으셨네요...
    휴~
    저는 오픈 두잘만에 오늘 내일 양일간 쉬기로 했습니다...

관측 / 촬영기

안시관측 및 사진촬영 후기, 경험담들을 모아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 030719 주말번개 후기 6 황인준 2003.07.21 6688
82 030828 분당 관측기... 7 최승용 2003.08.29 6676
81 030908 분당번개 잡담기 1 김상욱 2003.09.09 7568
80 031015분당번개 간단후기 3 황형태 2003.10.16 5896
79 031018 죽을뻔 했던 번개 살려내기 3 지승용 2003.10.19 8068
78 031023 분당 번개 관측기 10 file 최승용 2003.10.24 5896
77 03년9월16일~17일 분당 전원주택지 출사후기 2 황인준 2003.09.17 3990
76 04/02/23 청학리 번개 3 선숙래 2004.02.24 3625
75 04/02/23 분당 번개 4 이준희 2004.02.24 3333
74 040219_분당번개관측 3 file 박대영 2004.02.20 6370
73 040802_분당번개 관측기 6 file 최승용 2004.08.03 11173
72 050807_분당 번개 관측기 2 file 최승용 2004.08.09 10005
71 0812 페르세우스 유성우 관측. 2 박현권 2004.08.13 8286
70 1,448배 초 고배율 목성 관측과 폰 어포컬 6 file 김태환 2015.03.24 2350
69 11월 14일 모임 간단후기 2 file 이건호 2003.11.15 3560
68 12월 3일 분당 번개 사진 file 박현권 2003.12.05 3650
67 15회 스타파티 잠깐 참가기. 2 file 이건호 2003.08.25 3574
66 2003 04 16 분당율동공원 주차장 2 file 이건호 2003.04.17 4365
65 2003 05 02 용문사 부근 관측 1 이건호 2003.05.03 4411
64 2003.08.17관측기 5 남명도 2003.08.17 354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