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기정보

정밀도 관련 참고 예제 그림

by 이건호 posted May 07, 200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박병우님의 아래 글은 잘 읽어 보았습니다.

제가 보여드리는 그림은 참고용이며 틀릴 수 있습니다만, 그렇게 심하게 틀리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

그림A는 목표물이라고 가정합니다. (망원경으로 어디를 보든, 찍든 단순하며 복잡한 대상들이 나누어져 있다고 생각합니다. )

그림 B는 이상적인 광학계를 통과한 영상입니다. (포토샵에서 가우시안 불루어를 했습니다. 실제 광학계를 통과한 영상과 다를 수 있으나 비슷하리라 짐작합니다.)

그림 C는 현실적인, 오차가 있는, 우리가 보는 망원경을 통해 보았을때 입니다. (포토샵에서 가우시안불루어를 B번보다 많이 했습니다.)

박병우님의 포인트는 그림 B와 그림 C의 맨아랫부분(거의 흐랏한 고해상도? 영역)에만 관심을 두고 있는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CTF곡선에서도 두 광학계는 한계점(수학적 해상도겠죠)에 모이기 때문이고 보시는 바와 같이 그 차이가 거의 없는 영역입니다.

망원경으로 보고 영상을 얻고 거기에서 물체를 인식하고 쓸모있는 데이터를 얻는 대부분은 그 흐려진 고해상도? 영역이 아니라 각 이미지의 최상부와 중간부분입니다. 그 부분에서도 미세하지만 분명한 차이가 존재하며, C이미지를 B이미지로 완벽히 복원은 어려울 것입니다. (감도가 좋은 CCD라도 이미 회절효과와 광학오차로 나빠진 C상을 완벽히 B상으로 복원할 수는 없습니다. )

밑의  D, E 그림은 노파심에서 그려 보았습니다.
A의 영상이 B,C로 맺는 것은 불루어 처리(흐려짐?)한 것이고 (실제 광학계영상이라고 봄)
D,E그림은 포토샵에서 콘트라스트만 감소시킨 결과입니다.
단순히 콘트라스트만 감소시키면 말씀하신대로 감도가 좋은 CCD로 E 영상을 검출하여 D와 같이 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광학계는 단순 콘트라스트만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 특유한 회절효과와 광학계의 오차로 인하여 B,C 처럼 흐려지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이유(생각)로 실제 광학계에서 우리가 보는 영역, 관심있는 영역을 놓고 볼때... 지금까지 안 내용과 이야기 하고자 했던 것은
"정밀도는 최종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며, p-v wavefront error 1/4람다가 절대 기준점이 아니다." 입니다.
(오해를 막기 위해 분해능 해상력이란 말 대신 이미지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이 이후에나 일상생활에서는 계속 분해능 해상력이라 하는게 더 이해하기 쉬울거 같아 계속 사용하려고 합니다.^^)

미래의 고감도 CCD로 C영상을 B영상으로 복원?하는 문제는 추후에 다른 계시판 (전자 암실 등)에서 다루어  볼 좋은 소재라고 생각합니다.

이건호

Articles

9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