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위의 사진 보조 설명드립니다. 이 사진은 오늘 새벽에 급히 찍은 것입니다. 어제 봄날씨가 맑았습니다. 그래서 천문인마을로 튀었습니다. 가니까 역시 하늘이 맑았습니다. 천문인마을에 가니 군입대를 앞둔 건국대학 학생(이 학생 이름을 또 잊었습니다)이 휴지기간에 천문인마을에서 별을 보러 와 있었습니다. 이 학생의 말에 의하면 어제의 시상은 맑은 날에 비해서 그렇게 좋지 않다고 했습니다. 이 학생은 살아있는 별자리였습니다. 메시에면 메시에, NGC이면 NGC 책을 보지 않고 즉석 위치 확인이 가능했습니다. 이 학생과 둘이서 옥상에서 같이 있었는데 12인치 돕소니안 망원경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낙동강은 과거부터 극단적으로 허접한 미러가 아니면 안시관망이나 사진촬영에서 별로 차이가 없다고 주장해 왔는데, 이 보급형 돕소니안도 광축만 잘 맞추면 화질에서 하등의 저하가 없는 망원경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초저녁에 이 돕소니안하고 제 카세그레인으로 목성을 보았습니다. 두개를 동시에 보니 이 돕소니안이 화질은 좋은데 광축이 좀 맞지 않다는 것을 알겠더군요. 반면에 제 카세는 시상은 안좋다하더라도 광축은 맞다는 느낌이 왔습니다. 목성이 어르치는 것이 없었습니다. 황교수님께서 광축을 정확히 맞추셨다는 이야기입니다.
새벽에 달이 뜨면 바로 와야했으므로 더 안시관망의 시간이 없었습니다. 바로 카세그레인에 CCD를 달아서 사진을 찍었습니다. 찍을 대상은 M63이었습니다. 위치가 동쪽 중천에 있어 찍기가 좋아서입니다.
이번의 확인 내용은 카세.에 CCD를 얹어 찍을 때
1. 요위의 현상처럼 부채꼴의 빛 층리 무늬가 나타나는데 이 원인은 무엇인가?(건조제는 건조했으므로 문제가 없다고보고)
2. RGB에서 어느 정도 밝기의 가이드별이면 RGB 화상을 찍을 때, 별을 잃어버리지 않고 가이드할 수 있는가?
3.합성수를 줄이는 대신 한 장 촬영의 시간을 대폭 늘이면 어떻게 될까?
-.이건 과거부터 생각해온 것인데 합성수를 많이 한다고 S/N비가 올라가는 것은 아니다. 같은 시간이면 한 장 이미지가 제일 S/N비가 높을 것이다. 한 장에 올인하자!
이렇게 하여 또 양산을 위한 검토 작업에 들어갔습니다(낙동강 양산만 되면 재미가 없어서 사진 안찍고 놀겠지요).
확인결과
1.건조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카세.에서는 부채꼴의 층리가 있는 광선들이 보였습니다. 건조제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원인은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2. 카세.에서는 가이드 칩에 웬만한 밝기 별이 잡혀도 RGB 모두 가이드가 힘들었습니다. 이번에도 B를 가이드시 별이 죽어버렸습니다. 이 원인은 리듀스(카메라용 켄코 필터)의 성능 문제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것은 초점거리 250mm로 일본의 마쯔모토씨가 사용하는 것보다 더 짧습니다. 축소율을 올리기 위해서이지요. 아무래도 필터의 특성에 약간 차이가 있던지, 필터에 의해서 초점면이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겠습니다.
카세.는 몇 번 찍어 보았지만 차라리 천체용 리듀스를 하나 구입하던가, 리듀스없이 원초점거리 3900mm에 도전해보던가(이럴려면 AO-7은 필수) 양단 택일 같습니다. 이렇게 해서 카세.를 내리고 6인치 굴절을 올립니다.
3.합성수를 줄이는 대신 한 장 촬영의 시간을 대폭 늘이면 어떻게 될까?
이번에는 최대 가이드 시간을 주고 S/N비를 확인하는 실험입니다. 6인치는 카세에 비해서 찍기가 장난입니다. 노출 시간을 얼마를 줄까? 약간의 봄바람 기운도 있어 가이드를 실패하면 헛수고 이고, 달 뜰 시간을 생각하여 L이미지 1000초(17분), RGB이미지 600초(10분)을 주었습니다. 장수는 L 3장, RGB 한 장입니다(이 시간을 늘이는 것은 다크프레임 촬영 시간도 그만큼 늘어나서 완전 1장은 안되겠더군요). 이제까지 기껏해야 5분이 최고치였는데 과감하게 늘여 보았습니다. 확인결과 어두운 은하는 날만 좋고 구름만 흘러가지 않는다면 한 장 이미지의 시간을 늘이는게 S/N 비가 좋을 것이다라는 느낌이 왔습니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시간을 팍팍 늘여 찍어볼 계획입니다.
PS)이미지 처리는 시간도 없고 그냥 대충 했습니다. 앞으로도 그렇게 할 수 밖에 없군요. 아무리해도 소질이나 적성에 안맞아서요. 김교수님 올인컬러판 CCD 구입은 정말 잘 하신거예요. 그리고 저의 ‘오랜 연구(?)’ 결과 밝기 레벨이 낮은 어두운 천체에서의 ‘트루컬러’는 어떤 색상이다라는 기준은 없을 것이라 주장합니다. 즉 이 그림이 맞니 저 그림이 맞니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이쁘게 보일려고 여러 색상이 나오도록 이미지 처리한다면 이해가 되지만, 이쁜 사진이 더 많은 정보량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새벽에 달이 뜨면 바로 와야했으므로 더 안시관망의 시간이 없었습니다. 바로 카세그레인에 CCD를 달아서 사진을 찍었습니다. 찍을 대상은 M63이었습니다. 위치가 동쪽 중천에 있어 찍기가 좋아서입니다.
이번의 확인 내용은 카세.에 CCD를 얹어 찍을 때
1. 요위의 현상처럼 부채꼴의 빛 층리 무늬가 나타나는데 이 원인은 무엇인가?(건조제는 건조했으므로 문제가 없다고보고)
2. RGB에서 어느 정도 밝기의 가이드별이면 RGB 화상을 찍을 때, 별을 잃어버리지 않고 가이드할 수 있는가?
3.합성수를 줄이는 대신 한 장 촬영의 시간을 대폭 늘이면 어떻게 될까?
-.이건 과거부터 생각해온 것인데 합성수를 많이 한다고 S/N비가 올라가는 것은 아니다. 같은 시간이면 한 장 이미지가 제일 S/N비가 높을 것이다. 한 장에 올인하자!
이렇게 하여 또 양산을 위한 검토 작업에 들어갔습니다(낙동강 양산만 되면 재미가 없어서 사진 안찍고 놀겠지요).
확인결과
1.건조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카세.에서는 부채꼴의 층리가 있는 광선들이 보였습니다. 건조제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원인은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2. 카세.에서는 가이드 칩에 웬만한 밝기 별이 잡혀도 RGB 모두 가이드가 힘들었습니다. 이번에도 B를 가이드시 별이 죽어버렸습니다. 이 원인은 리듀스(카메라용 켄코 필터)의 성능 문제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것은 초점거리 250mm로 일본의 마쯔모토씨가 사용하는 것보다 더 짧습니다. 축소율을 올리기 위해서이지요. 아무래도 필터의 특성에 약간 차이가 있던지, 필터에 의해서 초점면이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겠습니다.
카세.는 몇 번 찍어 보았지만 차라리 천체용 리듀스를 하나 구입하던가, 리듀스없이 원초점거리 3900mm에 도전해보던가(이럴려면 AO-7은 필수) 양단 택일 같습니다. 이렇게 해서 카세.를 내리고 6인치 굴절을 올립니다.
3.합성수를 줄이는 대신 한 장 촬영의 시간을 대폭 늘이면 어떻게 될까?
이번에는 최대 가이드 시간을 주고 S/N비를 확인하는 실험입니다. 6인치는 카세에 비해서 찍기가 장난입니다. 노출 시간을 얼마를 줄까? 약간의 봄바람 기운도 있어 가이드를 실패하면 헛수고 이고, 달 뜰 시간을 생각하여 L이미지 1000초(17분), RGB이미지 600초(10분)을 주었습니다. 장수는 L 3장, RGB 한 장입니다(이 시간을 늘이는 것은 다크프레임 촬영 시간도 그만큼 늘어나서 완전 1장은 안되겠더군요). 이제까지 기껏해야 5분이 최고치였는데 과감하게 늘여 보았습니다. 확인결과 어두운 은하는 날만 좋고 구름만 흘러가지 않는다면 한 장 이미지의 시간을 늘이는게 S/N 비가 좋을 것이다라는 느낌이 왔습니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시간을 팍팍 늘여 찍어볼 계획입니다.
PS)이미지 처리는 시간도 없고 그냥 대충 했습니다. 앞으로도 그렇게 할 수 밖에 없군요. 아무리해도 소질이나 적성에 안맞아서요. 김교수님 올인컬러판 CCD 구입은 정말 잘 하신거예요. 그리고 저의 ‘오랜 연구(?)’ 결과 밝기 레벨이 낮은 어두운 천체에서의 ‘트루컬러’는 어떤 색상이다라는 기준은 없을 것이라 주장합니다. 즉 이 그림이 맞니 저 그림이 맞니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이쁘게 보일려고 여러 색상이 나오도록 이미지 처리한다면 이해가 되지만, 이쁜 사진이 더 많은 정보량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