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tar Cluster
2003.06.02 14:47

M10 030531

(*.117.18.176) 조회 수 3801 추천 수 264 댓글 8


땅꾼 몽통의 방광 근처에 있는 M10입니다.
노목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하늘이 좋아 보여서 그리고 처음으로 자동도입을 했기에 초 저녁에는 안시를 좀 했습니다.
그리고는 처음으로 TSC225를 이용해서 사진 촬영을 했지요..


TSC225
EM200Temma2 PC Jr.
XL40
SHUTTER      : 61.37sec
APERTURE     : F3.9
EXP +/-      : +1.3
FOCAL LENGTH : f14.2mm(X1.0)
IMG ADJUST   : CONT+
SENSITIVITY  : ISO800
SHARPNESS    : AUTO
DATE         : 2003.05.31 23:13
QUALITY      : 2272x1704 FINE

8장을 포토샵에서 합성후 처리했습니다.

노이즈가 합성을 하고 이미지 처리를 하다 보니 어두운 별들처럼 나왔는데.. 누가 이것 없애는 방법 모르세요..
이미지는 내키는 대로 가져다가 처리해 보고 암실에 올려봐 주세요...
  • 최승용 2003.06.02 16:06 (*.254.175.125)
    절대적인 비교는 어렵겠지만 이 사진만으로 판단 하기는 225가 235보다는 좀더 점상으로 보이는것 같습니다. 다음에 필드에서 기대가 되는군요^^.
  • 이건호 2003.06.02 17:37 (*.101.108.100)
    사진 좋습니다. 고생하신 보람이 있네요.
    그런데, 방광부근인지 그 앞쪽인지는 어떻게 아는거죠?? ^^;
  • 이건호 2003.06.02 17:39 (*.101.108.100)
    노이즈(핫픽셀)는 다크프레임 연산을 해주는 방법이 제일 확실할 거 같네요.
    같은 온도에서(이게 어렵겠지만) 암화면도 하나 더 찍어서 빼줘 보세요.
  • 김영렬 2003.06.02 17:48 (*.232.128.122)
    4500으로 성운성단도 훌륭한 결과를 얻어냈군요. 행성(토성, 목성, 화성) 에 태양, 성운, 성단에 이르기까지 대단합니다.
  • 김영렬 2003.06.02 17:49 (*.232.128.122)
    그리고 그날 야외온도가 태기산의 경우 10도 전후였습니다. 냉장실 온도를 조금 올려주면 비슷한 온도를 만들 수 있을 겁니다.
  • 황인준 2003.06.02 18:28 (*.117.17.240)
    과찬의 말씀들입니다.. 4500의 한계는 분명히 있으나 일단 최대한 가지고 놀아보자는 것이구요 결국 냉각 CCD를 고려하게 될 겁니다. 저는 고려하는데 보통 1년 이상은 걸리니까 내년쯤 냉각 CCD를 사겠지요.. 그때까지는 불만이 있어도.. 방광인지 어떻게 아냐구요?? 그 코멘트가 안나오면 딴지 대 마왕이 아니지..^^ 그냥 썼슈.. 이유는 재미있으니까.. 김교수님 우리 냉각 소자를 카메라 뒤에 붙이는 건 고려 해 보면 어떨까요?? 추진해 볼까요? 그것으로 약 한 5도 정도면 떨어뜨려 줘도.... D-100이야 어떨지 모르지만 4500은 기온이 높아지면서 점점 노이즈와의 전쟁이 격렬해 지고 있습니다.. 그에 비해 김 상욱님의 5000은 화소수가 많아서인지 노이즈가 고르고 잘게 찍혀서 보기에 덜해 보이더라구요..
  • 김영렬 2003.06.02 19:05 (*.232.128.122)
    표면 냉각도 4500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됩니다. 4500은 금속인데다가, 적당히 평평한 면이 있더군요. D100은 합성수지인데다가, 표면에 적당한 면이 없습니다. 그래서 냉각소자는 포기하고, 정 아쉬우면 얼음주머니(드라이 아이스나) 로 온도를 낮춰볼 생각입니다. 이마저도 귀찮으면 그냥 찍을 생각이구요. 아마 이럴 가능성이 가장 많아 보입니다.
  • 황인준 2003.06.03 12:09 (*.117.17.220)
    저는 함 해 보렵니다..

  1. 궁수자리 은하수(030601)

    지난주말 적상산에서... 감도800에 2분노출 7매합성, 적도의 EM-1s 노터치가이드 캐논 10D카메라 + 28-70줌렌즈 70mm fl, 조리개F5.6 포토샵에서 level조정했습니다.
    Date2003.06.02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3187
    Read More
  2. 북아메리카성운

    모델 Canon EOS 10D 날짜시간 2003:06:01 01:18:15 노출 시간 244 s F 넘버 5.6 ISO 속도 등급 800 초점 길이 70 mm(28-70줌) White balance Auto white balance 적도의 EM-1s 노터치가이드 **토요일 밤 적상산에서 NGC번개 관측가서 찍었습니다. 적색감도가 ...
    Date2003.06.02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2211
    Read More
  3. The North America Nebula - NGC7000, 2003년 6월 1일

    Object: The North America Nebula - NGC7000 in Cygnus Exposure: F4, 181 secondS, ISO800 Processing: Enhanced in Adobe Photoshop 7.0 Telescope system: Nikon 300mm lense + s2pro Mount: Tak. NJP Guiding: None Location: KOREA Date: 06/01/2003 KS...
    Date2003.06.02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2514
    Read More
  4. M10 030531

    땅꾼 몽통의 방광 근처에 있는 M10입니다. 노목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하늘이 좋아 보여서 그리고 처음으로 자동도입을 했기에 초 저녁에는 안시를 좀 했습니다. 그리고는 처음으로 TSC225를 이용해서 사진 촬영을 했지요.. TSC225 EM200Temma2 PC Jr. XL40 S...
    Date2003.06.02 CategoryStar Cluster By황인준 Views3801
    Read More
  5. M20

    지난 5일 덕초현에서 쵤영한 M20입니다. 별통 6" NJP S2PR0 4분입니다 레벨만 조정해본 상태 입니다(1장만!!). 이번에 300M(F4)로 테스트 해보았는데 카메라가 아직 차에 있습니다~
    Date2003.06.02 CategoryNebula By심용택 Views2237
    Read More
  6. M57

    Object: M57 Exposure: L: 2min X 5 Processing: Enhanced in Adobe Photoshop 6.0 and Maxim/DL Telescope system: Tak. MT-160(FL:776mm), CCD Camera(-9) Mount: Tak. EM-100 Guiding: None Location: NoMok Date: 06/01/2003, 02:00~ KST 아래사진은 이건...
    Date2003.06.02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준화 Views1761
    Read More
  7. M101

    Object: M101 Exposure: L: 72min(3minx24), R,G,B : 12min (3minx4) Processing: Enhanced in Adobe Photoshop 6.0 and Maxim/DL Telescope system: Tak. MT-160(FL:776mm), CCD Camera(-9) Mount: Tak. EM-100 Guiding: None Location: NoMok Date: 05/31/2...
    Date2003.06.02 CategoryGalaxy By이준화 Views1857
    Read More
  8. 030601 M57

    TEC 6, XL14, EM-200 T2PC Jr. CP5000 3분 노출을 준 1장짜리 이미지입니다. 중앙 부분만 잘라내서 레벨 조정만 하였습니다.
    Date2003.06.01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상욱 Views2462
    Read More
  9. 030601 M13

    TEC 6, XL14, EM-200 T2PC Jr. CP5000 ISO 800에서 2분간 노출 준 사진 4장을 Registax에서 합성하여 포토샾에서 레벨만 조정하였습니다. 처음 해보는데 상당히 힘이 드는군요. 본격적인 사진 작업을 하려면 장난이 아닐 것 같다는 느낌이 팍팍 듭니다....
    Date2003.06.01 CategoryStar Cluster By김상욱 Views2333
    Read More
  10. 부자은하 ^^!

    CCD 두번째 작품입니다. 멋지져?
    Date2003.05.28 CategoryGalaxy By김영혜 Views1837
    Read More
  11. NGC6217

    Object: NGC6217 Exposure: L: 5min X 13 Processing: Enhanced in Adobe Photoshop 6.0 and Maxim/DL Telescope system: Tak. MT-160(FL:776mm), CCD Camera(-5.5) Mount: Tak. EM-100 Guiding: None Location: ChungHakRee Date: 05/27/2003, 02:00~ KST 아...
    Date2003.05.28 CategoryGalaxy By이준화 Views1779
    Read More
  12. 030526 목동좌 입실론과 백조자리 알비레오

    26일 월요일 번개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두번째 사진은 고 배율로 찍었더니 이중성 같지가 않군요. SC235L EM200Temma2 PC Jr. CP4500 1. Pentax Or 9 DSCN0170.JPG SHUTTER : 1/4sec APERTURE : F5.1 FOCAL LENGTH : f44.8mm(X1.4) IMG ADJUST : CONT- SENSI...
    Date2003.05.28 CategoryDouble/Variable Star By황인준 Views624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 411 Next
/ 411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