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Other
2005.03.18 11:34

050317_io_ganymede

(*.255.216.142) 조회 수 1206 추천 수 80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05년 3월 17일 밤부터 비가 오더니 결국에는 하늘이 개어가더군요.
그래서 11시경에 안산 일대학으로 갔습니다.
목성이 옅은 구름에 의하여 천연의 필터를 낀 것 같은 약간 블러가 들어간 듯한 모습으로 보이더군요.
그래도 웹켐을 달고 찍어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목성 보다는 위성 3개가 한꺼번에 붙어 있는 모습을 잡아 보려고 했는데 약간 시간을 지체한 것과 강한 바람의 영향으로 프레임 밖으로 나가는 현상이 생겨 결국은 이와와 가니메데만 다시 잡아 보았습니다.
합성 F는 약 38~40 정도 되리라 생각 합니다.
정확하게는 아직 계산해 보지 못했네요.
레지스텍스에서 100%와 50% 확대를 두번한 것을 포토샾에서 이미지 처리했습니다.
레지스텍스에서는 레이어가 전혀 먹지를 않더군요.
그냥 망가져 버립니다.
가니메데와 이오의 색깔은 완전히 다르다는 것을 이번에도 확인하네요.
유로파는 좀 더 멀리 떨어져 있어서 아쉽지만 어쩔 수 없었습니다.
목성은 시상의 영향과 냉각의 문제로 인하여 어정쩡한 상태로 찍혔습니다.
이미지 처리되는데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날이 무척 좋네요.
멋진 행성 사진들이 올라 오기를 기대 합니다.^^
  • 김영렬 2005.03.18 11:59 (*.58.19.223)
    위성 표면 나오겠는데요. 이중성 사진인 줄 착각했습니다.
  • 박정용 2005.03.18 12:42 (*.117.115.180)
    좀더 확대해서 찍는다면 표면무늬 나올것 같습니다.
    저도 씽이 아주 좋을때 한번쯤 도전해보고 싶은 대상입니다.
  • 박현권 2005.03.18 12:51 (*.126.9.12)
    그러게요. 제가 가장크게 찍었던 화성사진 만합니다.
  • 남명도 2005.03.18 12:54 (*.211.33.252)
    간이맞데 이오 ...이렇게 읽어지게 되는 이유는 .ㅡㅡ; 성현이가 즐겨먹는 요쿠르트...그분이 오셔서 이상한 소리만 합니다.
  • 남기현 2005.03.18 12:58 (*.103.9.242)
    저두 이중성인줄 알았습니다. 글고 이번에 천체사진전 입상하신거 축하드립니다. ^^
  • 최승용 2005.03.18 13:09 (*.255.216.142)
    기현씨! 감사 합니다.^^
    강한 바람으로 인하여 고배율 촬영이 힘들었습니다.
    저도 욕심을 내려고 했었는데.....
    시상이 좋아야 고배율 촬영을 시도해 볼텐데 요즘에는 시상이 따라 주질 않네요.
    명도씨는 이젠 어디로 갈라나~~~~
    김교수님, 현권씨, 정용님, 명도씨... 모두 행성을 찍으셨던 분들인데....
    다른분들도 동참 하시지요?????^^
  • 박현권 2005.03.18 17:20 (*.126.9.12)
    그러게요. 다시 찍어봐야 할텐데요...
  • 황인준 2005.03.20 09:42 (*.207.96.28)
    이러다 분명 위성의 디테일을 잡아내는 날이 오겠군요.
    대단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53 Other 050108_io_ganymede 9 file 2005.01.10 1042 최승용
52 Other 050123_saturn_jupiter 7 file 2005.01.24 1256 최승용
51 Other 050129_saturn_jupiter 2 file 2005.02.01 1185 최승용
50 Other 050211_jupiter_saturn 6 file 2005.02.12 955 최승용
49 Other 050217_saturn_jupiter 3 file 2005.02.19 1180 최승용
» Other 050317_io_ganymede 8 file 2005.03.18 1206 최승용
47 Other 안타레스성식 4 file 2005.04.11 1062 이건호
46 Other 050814_jupiter_venus 5 file 2005.08.18 1491 최승용
45 Other 051211_venus 8 file 2005.12.12 1419 최승용
44 Other 남산 3종 세트 5 file 2005.12.25 1343 임상균
43 Other 해가 지면 달이 뜨고... 9 file 2005.12.26 1465 임상균
42 Other 2005 FY9 2 file 2006.01.21 1377 김승남
41 Other (2924)-Mitake-mura 4 file 2006.01.26 1450 김승남
40 Other 060411_jupiter rotation 4 file 2006.04.13 1890 최승용
39 Other 토성과 화성과 벌집성단 4 file 2006.06.21 2266 신범영
38 Other 달과 토성의 근접 2 file 2007.04.26 2518 신범영
37 Other 071208-Mars & Saturn 15 file 2007.12.18 2870 박정용
36 Other Can you find Mercury in this photo? 2 file 2008.05.11 3158 염범석
35 Other Moon & Mars 1 file 2008.05.11 2373 염범석
34 Other Jupiter, Venus, and crescent Moon... 4 file 2008.12.02 1791 염범석
33 Other 트리플랑데뷰_081202 4 file 2008.12.02 2193 김호섭
32 Other 신년 우주쇼 2 file 2009.01.04 2017 이상희
31 Other Moon & Venus 4 file 2009.02.08 1593 신범영
30 Other 부분일식_전북 무주 5 file 2009.07.22 1697 박대영
29 Other 해왕성의 이동모습 3 file 2009.07.31 1996 신범영
28 Other 수성 2011_0322 5 file 2011.03.23 1110 김영렬
27 Other 소행성 2012 DA14의 NGC3718영역 통과! 2 file 2013.02.16 823 공준호
26 Other 6행성: 5행성+지구 1 file 2013.05.26 840 염범석
25 Other 지구 근접 소행성 (1998 QE2)의 접근 file 2013.06.01 920 염범석
24 Other 호수에 비친 금성 ~~ 3 file 2013.10.18 737 신병석
23 Other 천왕성 (Uranus) file 2013.10.19 860 염범석
22 Other 금성과 수성 랑데뷰. 1 file 2015.01.19 408 김광욱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