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Other
2004.11.16 20:46

소행성

(*.249.97.69) 조회 수 1342 추천 수 80 댓글 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천문인 마을에서 M1의 L 이미지를 찍는동안 소행성이 찍혔습니다. 이미 알려진 소행성일 가능성이 많지만 한번 알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알아봐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두번째 그림은 소행성의 이동 동영상입니다.

  • 선숙래 2004.11.16 21:05 (*.251.148.175)
    만약에 새로운 소행성이라면 NADA에서는 처음 발견한 셈이네요.결과가 궁금해집니다.
  • 박정용 2004.11.16 21:38 (*.255.167.129)
    그러게요..
    숙래님도 한번 살펴보세요.^^
    처음 발견된 소행성이었으면 좋겠습니다.
    두번째 그림에서 움직이고 있는 소행성을 보니 신비롭기만 합니다.
    결과가 무척이나 궁금합니다.
  • 김시태 2004.11.16 23:31 (*.51.35.2)
    이동하는 모습이 아주 희미한데 이것을 찾아내시다니..
    새롭게 발견된 소행성이면 정말 좋겠습니다.
    점점더 궁금해지네요..
  • 박병우 2004.11.17 08:21 (*.79.196.153)
    참말로 이동하는군요. 참 용합니다. 이걸 어떻게 찾아냈습니까. 이 소행성이 새로운 소행성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준화 소행성!
  • 박병우 2004.11.17 08:22 (*.79.196.153)
    그리고 번호를 기재하신 1, 16, 17, 27의 번호의 의미는 무엇인지요?
  • 이준화 2004.11.17 08:55 (*.121.198.214)
    모두 27장의 사진을 찍었습니다. 사진의 번호에 대응하는 소행성 위치 입니다.
  • 이건호 2004.11.17 08:57 (*.101.107.100)
    아쉽게도 기발견 소행성입니다.

    1997 WU3
    Distance from Earth: 1.319039 astronomical units.
    Distance from Sun: 2.211987 astronomical units.
    Heliocentric: l:69.8908 b:-0.6879 r:2.2120
    Magnitude: 17.3
    Rates ra: -0.0065 dec: -0.0023 (arc-secs/sec)
    Magnitude: 17.3
    RA: 05h 35m 23.0s Dec: +22°09'50"
    RA: 05h 35m 05.4s Dec: +22°09'39" (Epoch 2000)
  • 황인준 2004.11.17 09:03 (*.53.138.190)
    앞으로는 태양계 계시판이 다양해 지겠군요..
  • 이건호 2004.11.17 09:06 (*.101.107.100)
    소행성 획인의 가장 처음은 The sky 등에서 하시면 됩니다.
    메인메뉴- data - extended minor planet 에 가시면..
    궤도요소 파일을 41528.mpl 로 넣고 확인하시면 되고
    여기서도 없으면 국제 소행성 센터 http://cfa-www.harvard.edu/iau/mpc.html 에 가서 자세히 확인하시면 됩니다.
  • 이준화 2004.11.17 09:16 (*.121.198.214)
    이건호님 덕분에 수고를 덜었군요. 감사합니다. 저도 기발견 천체와 비교해보려고 했으나, 방법을 잘 모르겠더군요. MPC 에가서 기발견천체와 비교하려고 했는데 데이터 입력 형식이 생소하더군요. 궤도요소라는 용어도 생소하고 .... 다음에 만나면 소행성 확인 방법을 한수 배워야 할 것 같습니다.
  • 최승용 2004.11.17 09:39 (*.255.216.142)
    이런!!!!
    아주 좋은 기회였을텐데요....
    이제는 소행성 추적 프로젝트를 하나 가동 할 만하도 하겠습니다.
    나다에서 시도해 볼만도 하구요....
    CCD로 찍으면 될 것 같은데.......
  • 김일순 2004.11.17 10:10 (*.104.39.99)
    촬영된 이미지를 예사롭게 보아 넘기지 않으시고 아주 작은 차이점 까지 찾아내시네요. gif 파일을 보니 신기하기만 합니다.
  • 박현권 2004.11.17 11:41 (*.126.9.12)
    앞으로는 모든 이미지들을 꼼꼼히 살펴봐야겠네요.
    저라면 길쭉한게 있으면 그냥 유성이 지나갔으려니 하고 넘어갔을텐데...

    물론 그전에 잘찍어야 하겠지만요.

  1. 040808_venus

    토요일 분당 번개의 마지막 사진 입니다. 일요일 새벽 모튼 분들이 철수하고 난 후 제가 철수하기 직전까지 남아 있던 황인준씨와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면서 찍었습니다. 찍을 당시 이미 하늘은 박며이 밝아서 배경 하늘도 아주 밝았습니다만 그냥 찍었습니다...
    Date2004.08.09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938
    Read More
  2. 050211_jupiter_saturn

    2005년 2월 11일 안산 일대학에서 촬영된 목성과 토성 입니다. 이날의 시상은 극에서 극을 왔다갔다 하더군요. 밤이 깊어지면서 구름까지 겹치며 시상은 더욱 악화가 되었습니다. 구름과 싱으로 인하여 토성은 청바지 토성이 되어 버렸고.... 목성은 구름 속...
    Date2005.02.12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955
    Read More
  3. 040325_5_ planets

    040325_5_ planets 어제는 서울에 일이 있어서 하루 종일 컴을 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급하게 오늘 이미지들을 처리하여 이렇게 급조를 했습니다. .............................................................................................. 다음 ...
    Date2004.03.27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964
    Read More
  4. 040231 Venus

    역시 성거산 성지에서 찍은 저의 첫 금성입니다. 고도가 아주 낮았습니다. 앞으로 점점 고도가 높아지며 시직경도 커질 것입니다. TSC225 EM200Temma2Jr. F30 TouCam Pro Seeing : 4/10 Trans : 3/5 1월 31일 6시 50분 52초 ( 촬영시간의 중간값) 천안 성거산...
    Date2004.02.04 CategoryOther By황인준 Views971
    Read More
  5. 041231_4_planets

    새해에 복 많이 받으셨습니까? 2004년도 마지막날 안산 일대학에서 조촐한 번개가 있었습니다. 2004년과 2005년을 안산 일대학에서 맞이하게 되었지요.^^ 싱과 투명도 모두 만족스럽지 못한 관계로 역시나 허접한 이미지인데요..... 1월 1일 새벽에 수성과 금...
    Date2005.01.03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971
    Read More
  6. 031229_2_planets

    어제 안산에서 관측을 했습니다. 일기예보 상으로는 그리 좋을 것 같지 않더군요. 라디오에서는 계속 맑다고 하지만 기상도에서는 구름이 몰려 오고 있었습니다. 배철균님이 같이 관측 하자고 해서 관측은 했지만...... 하늘은 다행이 맑아 보였지만 상층부의...
    Date2003.12.30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998
    Read More
  7. 050108_io_ganymede

    2005년 1월 9일 새벽에 찍은 목성 위성 중 이오와 가니메데 입니다. 토요일 밤부터 바람이 심하게 불고 해서 관측을 포기 하고 있었는데 자정을 넘기면서부터 바람이 잔잔해지더군요. 그래서 나갔습니다. 장비 설치하고 토성을 보니 싱이 그럭저럭.... 이오와...
    Date2005.01.10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042
    Read More
  8. 안타레스성식

    2005년 3월 31일 1시 24분 15초 원격관측으로 촬영을 하였습니다. 달에 들어갈때는 열심히 찍어도 나무만 찍히더군요. 1시간을 기다리다 잠이 들어서 깬 시각이 1시 20분이 넘어서 였습니다. 나올 곳을 미리 알고 준비를 해야 하는데, 늦을거 같아 있는 화각 ...
    Date2005.04.11 CategoryOther By이건호 Views1062
    Read More
  9. Object: comet C/2001Q4(NEAT)-5월 21일

    Object: comet C/2001Q4(NEAT)-5월 21일 Exposure: L: 60sec x 10, R: 60sec x 6. GB: 60sec x 5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Tak. epsilon200, f:80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none Locatio...
    Date2004.05.23 CategoryOther By박병우 Views1071
    Read More
  10. 040322_ganymede

    040322_ganymede 목성의 4대 위성 중 가장 큰 가니메데 입니다. 목성의 위성을 촬영 하기에는 싱이 좋지 않았습니다. 모니터 상에서도 가니메데가 길죽하게 보이더군요. 이번이 첫 시도인지라 아직 경험 부족이라고 생각 합니다.^^ 다음에 싱이 좋을 때 다시 ...
    Date2004.03.23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090
    Read More
  11. 031220_2_planets

    토요일 아침에 갑자기 조카와의 스케줄이 없어지는 바람에 천문인 마을에 갈 수 있었습니다. 가족들과 함께 하는 여행은 이렇듯 급작스럽게 이루어집니다.^^ 천문인 마을에는 많은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투명도는 아주 좋았습니다. 싱은 좋지 않아서 새벽 3시...
    Date2003.12.22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091
    Read More
  12. 031214_4_planets

    (사진의 이미지들은 시각적으로 보이는 비율로 보이도록 만들었습니다.) 2003년 12월 14일 새벽부터 초저녁까지 보았던 하루동안의 행성 사진 입니다. 아쉽게도 금성이 빠졌지만 금성은 아직 시간적 여유가 있으니 나중에 찍기로 하구요..... 하루에 새벽부터...
    Date2003.12.15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103
    Read More
  13. 050107_2_planets

    2005년 1월 7일 금요일 밤 안산 일대학에서 올 첫 천문 이벤트인 멕홀츠 혜성과 플라이아데스 성단의 만남을 보려고 나갔었습니다. 그런데 역시 안산이라는 지역 특성상 그리고 하늘에 낀 박무와 안산 일대학의 주차장에 켜진 가로등으로 인하여 투명도가 무...
    Date2005.01.08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106
    Read More
  14. 수성 2011_0322

    아래 염범석님의 수성 목성 접근 사진을 보고, 혹시나 하여 수성을 찾아 보았습니다. 집안에서 창틀 사이로 수성이 보이네요. 맞은편 아파트 너머로 간신히 잡히는 수성을 촬영해 보았습니다.(20mm 초점거리 ) 첫번째 사진에서 찾기가 어려울 듯 하여, 두번째...
    Date2011.03.23 CategoryOther By김영렬 Views1110
    Read More
  15. 040731_Venus

    7월 31일 새벽 3시 49분에 찍은 금성입니다. 아주 오랜만에 좋은 날씨에서 관측을 하게 되었는데 새벽이 되자 동쪽 하늘에 아주 밝은 별이 하나 올라 옵니다. 바로 금성이었습니다. 항상 서쪽에서 지는 금성만 찍다가 이제는 동쪽에서 올라오는 금성도 찍게 ...
    Date2004.08.02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152
    Read More
  16. 050217_saturn_jupiter

    2005년 2월 17일 목요일 밤 안산 일대학에서 촬영된 목성과 토성 입니다. 안산 일대학이 금요일날 졸업식이라서 출입을 통제 하더군요. 하지만 저와 박정용씨는 무사 통과 되었습니다. 별 보는 사람들이라구 알고 있더군요. 호젓하게 관측할 수 있었습니다.^^...
    Date2005.02.19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180
    Read More
  17. 050129_saturn_jupiter

    2005년 1월 29일 토요일 밤 안산 일대학에서 촬영된 토성과 일요일 새벽에 촬영된 목성 입니다. 토성을 찍을 당시의 시상이 워낙 좋지 않아서 흐리멍텅한 이미지가 되었습니다. 목성은 토성 보다는 좀 더 조건이 좋아지기는 했지만 그것도 그만그만 합니다. ...
    Date2005.02.01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185
    Read More
  18. 050317_io_ganymede

    2005년 3월 17일 밤부터 비가 오더니 결국에는 하늘이 개어가더군요. 그래서 11시경에 안산 일대학으로 갔습니다. 목성이 옅은 구름에 의하여 천연의 필터를 낀 것 같은 약간 블러가 들어간 듯한 모습으로 보이더군요. 그래도 웹켐을 달고 찍어 보았습니다. ...
    Date2005.03.18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206
    Read More
  19. 031214_mercury

    제 인생 처음으로 수성을 관측 했습니다. 이 수성을 촬영하고자 얼마전부터 계획을 하고 있었지요. 지난 12월 9일이 수성의 동방 최대 이각(21도)였는데 화요일인 관계로 퇴근 후 촬영을 시작한다고 하더라도 이미 수성은 지평선 아래로 내려간 후가 됩니다. ...
    Date2003.12.15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225
    Read More
  20. 040307_venus

    040307_venus 일요일 초저녁의 금성 입니다. 지금까지 찍어 보았던 금성 이미지 중 최고 입니다. 한점의 흐트려짐도 없게 이미지 처리를 할 수 있을 정도 입니다만 이정도에서 그쳤습니다. 너무 쨍 하면 정말 그림 같이 생겨서.... 레지스텍스에서 합성 하고 ...
    Date2004.03.08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236
    Read More
  21. 050123_saturn_jupiter

    2005년 1월 23일 밤에 찍은 토성과 목성 입니다. 일요일이라서 느긋하게 하늘을 바라보고 있는데(초저녁까지는 하늘이 좋아 보였습니다.).... 갈수록 하늘에 구름이 생기더군요. 노을은 이뻤지만...^^ 8시에 집을 나왔습니다. 장비를 설치하는데 하늘에 구름...
    Date2005.01.24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256
    Read More
  22. 040823_uranus

    어제 밤 하늘이 조금씩 열리는 기미가 보이길레 안산 일대학으로 향했습니다. 많은 구름 사이로 보이는 하늘은 정말 까맸습니다.^^ 구름 사이로 보였다 말았다 하는 천왕성을 촬영해 보았습니다. 싱과 투명도가 만족스럽지 않아서 좋은 이미지는 아니지만 그...
    Date2004.08.24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331
    Read More
  23. 제 12회 천체사진공모전 출품작

    예상치 못했던 수상이었습니다. 내심 딮스카이가 선택되지 않을까 했으나 이 사진이 선택 되었더군요.. 암튼 감사한 일입니다. 두번째는 같이 보낸 또 하나의 행성사진입니다... 8월 25일 찍은 것인데... 홈에 한번 놀러오세요.. 재 이미지 처리해서 출...
    Date2004.03.23 CategoryOther By황인준 Views1333
    Read More
  24. 소행성

    천문인 마을에서 M1의 L 이미지를 찍는동안 소행성이 찍혔습니다. 이미 알려진 소행성일 가능성이 많지만 한번 알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알아봐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두번째 그림은 소행성의 이동 동영상입니다.
    Date2004.11.16 CategoryOther By이준화 Views1342
    Read More
  25. 남산 3종 세트

    남산에 올라가서 한번 찍어 봤습니다. 예쁘게 봐주세요~ SUN / VENUS / MOON Nikon D70s + SUN : Sigma 18-200mm VENUS : Nikkor 28mm(f/2.8) MOON : FS-60C
    Date2005.12.25 CategoryOther By임상균 Views1343
    Read More
  26. 031215_7_planets

    (수성, 금성, 화성, 토성의 이미지를 약간 손보았습니다. 토성의 본체에 있는 백반을 볼 수 있습니다.) 하루밤의 7행성 프로젝트 하루 밤사이에 볼 수 있는 7행성을 모두 찍어 보았습니다. 휴~~~~ 일요일 새벽의 2번의 관측과 저녁의 수성 사냥으로 몸이 피곤...
    Date2003.12.16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345
    Read More
  27. 2005 FY9

    Takahashi SKY-90 SBIG ST-2000XM (-30도 냉각) Takahashi EM-200 Temmar 2 LRGB = 20m 9m 9m 9m 20060120-0121 in Sang-ju 카이퍼 벨트에 속한 천체 중 가장 큰 녀석 중의 하나입니다^^ 달빛 때문에 이미지 처리하기가 힘드네요... 겨우 존재가 확인되는 정...
    Date2006.01.21 CategoryOther By김승남 Views1377
    Read More
  28. 051211_venus

    2005년 12월 11일 금성 입니다. 올해는 금성의 위치상의 이유로 좋은 이미지를 얻지를 못했습니다. 아니 찍을 시간적 여유가 없었습니다. 작년보다 훨씬 남쪽으로 치우쳐서 지기때문에 고도상의 문제로 시상의 영향을 절대적으로 받습니다. 또한 고도도 낮으...
    Date2005.12.12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419
    Read More
  29. 040307_3_planets

    040307_3_planets 3월 7일 찍은 금성, 목성, 토성 이미지를 한장에 담았습니다. 상대적인 크기도 실제로 보이는 크기 입니다. 날도 좋지 않고 기분도 꿀꿀하고 해서 기분 전환용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그래도 즐거운 마음으로 남은 하루를 잘 보내시기 바랍...
    Date2004.03.10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434
    Read More
  30. (2924)-Mitake-mura

    Camera : SBIG ST-2000XM (-30 degree cooled) Lens : Takahashi MT-160 (1000mm F6.25) Guide : EM-200 Temmar 2 L = 5 minutes 20060125 in Sang-ju, Korea it's very difficult to survey manualy to find a new minor planets and comets the necessiris ...
    Date2006.01.26 CategoryOther By김승남 Views1450
    Read More
  31. 040823_neptune

    천왕성과 함께 찍었던 해왕성 입니다. avi 동영상으로 2개를 찍었는데 그나마 이놈이 좀 낳은 편 입니다. (확대하고 크롭한 것 입니다.) 구름속에 숨어 있어서 밝기도 어두웠고 또한 고도가 원낙 낮아서 찍는 자체가 좀 그랬지만 행성이라고는 이 두놈 밖에는...
    Date2004.08.27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459
    Read More
  32. 해가 지면 달이 뜨고...

    허접한 뽀샵 실력이라... 파노라마는 아직 멀었네요. 그냥 재미로 보세요.
    Date2005.12.26 CategoryOther By임상균 Views146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