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Other
2004.11.16 20:46

소행성

(*.249.97.69) 조회 수 1342 추천 수 80 댓글 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천문인 마을에서 M1의 L 이미지를 찍는동안 소행성이 찍혔습니다. 이미 알려진 소행성일 가능성이 많지만 한번 알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알아봐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두번째 그림은 소행성의 이동 동영상입니다.

  • 선숙래 2004.11.16 21:05 (*.251.148.175)
    만약에 새로운 소행성이라면 NADA에서는 처음 발견한 셈이네요.결과가 궁금해집니다.
  • 박정용 2004.11.16 21:38 (*.255.167.129)
    그러게요..
    숙래님도 한번 살펴보세요.^^
    처음 발견된 소행성이었으면 좋겠습니다.
    두번째 그림에서 움직이고 있는 소행성을 보니 신비롭기만 합니다.
    결과가 무척이나 궁금합니다.
  • 김시태 2004.11.16 23:31 (*.51.35.2)
    이동하는 모습이 아주 희미한데 이것을 찾아내시다니..
    새롭게 발견된 소행성이면 정말 좋겠습니다.
    점점더 궁금해지네요..
  • 박병우 2004.11.17 08:21 (*.79.196.153)
    참말로 이동하는군요. 참 용합니다. 이걸 어떻게 찾아냈습니까. 이 소행성이 새로운 소행성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준화 소행성!
  • 박병우 2004.11.17 08:22 (*.79.196.153)
    그리고 번호를 기재하신 1, 16, 17, 27의 번호의 의미는 무엇인지요?
  • 이준화 2004.11.17 08:55 (*.121.198.214)
    모두 27장의 사진을 찍었습니다. 사진의 번호에 대응하는 소행성 위치 입니다.
  • 이건호 2004.11.17 08:57 (*.101.107.100)
    아쉽게도 기발견 소행성입니다.

    1997 WU3
    Distance from Earth: 1.319039 astronomical units.
    Distance from Sun: 2.211987 astronomical units.
    Heliocentric: l:69.8908 b:-0.6879 r:2.2120
    Magnitude: 17.3
    Rates ra: -0.0065 dec: -0.0023 (arc-secs/sec)
    Magnitude: 17.3
    RA: 05h 35m 23.0s Dec: +22°09'50"
    RA: 05h 35m 05.4s Dec: +22°09'39" (Epoch 2000)
  • 황인준 2004.11.17 09:03 (*.53.138.190)
    앞으로는 태양계 계시판이 다양해 지겠군요..
  • 이건호 2004.11.17 09:06 (*.101.107.100)
    소행성 획인의 가장 처음은 The sky 등에서 하시면 됩니다.
    메인메뉴- data - extended minor planet 에 가시면..
    궤도요소 파일을 41528.mpl 로 넣고 확인하시면 되고
    여기서도 없으면 국제 소행성 센터 http://cfa-www.harvard.edu/iau/mpc.html 에 가서 자세히 확인하시면 됩니다.
  • 이준화 2004.11.17 09:16 (*.121.198.214)
    이건호님 덕분에 수고를 덜었군요. 감사합니다. 저도 기발견 천체와 비교해보려고 했으나, 방법을 잘 모르겠더군요. MPC 에가서 기발견천체와 비교하려고 했는데 데이터 입력 형식이 생소하더군요. 궤도요소라는 용어도 생소하고 .... 다음에 만나면 소행성 확인 방법을 한수 배워야 할 것 같습니다.
  • 최승용 2004.11.17 09:39 (*.255.216.142)
    이런!!!!
    아주 좋은 기회였을텐데요....
    이제는 소행성 추적 프로젝트를 하나 가동 할 만하도 하겠습니다.
    나다에서 시도해 볼만도 하구요....
    CCD로 찍으면 될 것 같은데.......
  • 김일순 2004.11.17 10:10 (*.104.39.99)
    촬영된 이미지를 예사롭게 보아 넘기지 않으시고 아주 작은 차이점 까지 찾아내시네요. gif 파일을 보니 신기하기만 합니다.
  • 박현권 2004.11.17 11:41 (*.126.9.12)
    앞으로는 모든 이미지들을 꼼꼼히 살펴봐야겠네요.
    저라면 길쭉한게 있으면 그냥 유성이 지나갔으려니 하고 넘어갔을텐데...

    물론 그전에 잘찍어야 하겠지만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21 Other 달과 토성의 근접 2 file 2007.04.26 2518 신범영
20 Other 명왕성의 움직임 1 file 2015.07.23 270 염범석
19 Other 부분일식_전북 무주 5 file 2009.07.22 1697 박대영
» Other 소행성 13 file 2004.11.16 1342 이준화
17 Other 소행성 2012 DA14의 NGC3718영역 통과! 2 file 2013.02.16 823 공준호
16 Other 수성 2011_0322 5 file 2011.03.23 1110 김영렬
15 Other 신년 우주쇼 2 file 2009.01.04 2017 이상희
14 Other 안타레스성식 4 file 2005.04.11 1062 이건호
13 Other 알데바란 성식 2017-01-10 2 file 2017.01.10 147 염범석
12 Other 제 12회 천체사진공모전 출품작 5 file 2004.03.23 1331 황인준
11 Other 지구 근접 소행성 (1998 QE2)의 접근 file 2013.06.01 920 염범석
10 Other 천왕성 (Uranus) file 2013.10.19 859 염범석
9 Other 천왕성 Uranus file 2018.09.07 289 염범석
8 Other 천왕성(Uranus) 2 file 2017.11.12 332 조현우
7 Other 카탈리나 혜성과 M101 은하 4 file 2016.01.22 202 이준화
6 Other 토성(2004년 10월 11일) 6 file 2004.10.12 905 박병우
5 Other 토성과 화성과 벌집성단 4 file 2006.06.21 2265 신범영
4 Other 트리플랑데뷰_081202 4 file 2008.12.02 2193 김호섭
3 Other 해가 지면 달이 뜨고... 9 file 2005.12.26 1465 임상균
2 Other 해왕성의 이동모습 3 file 2009.07.31 1996 신범영
1 Other 호수에 비친 금성 ~~ 3 file 2013.10.18 737 신병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