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Other
2003.12.16 18:04

031215_7_planets

(*.187.167.209) 조회 수 1345 추천 수 73 댓글 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성, 금성, 화성, 토성의 이미지를 약간 손보았습니다.
토성의 본체에 있는 백반을 볼 수 있습니다.)


하루밤의 7행성 프로젝트

하루 밤사이에 볼 수 있는 7행성을 모두 찍어 보았습니다. 휴~~~~

일요일 새벽의 2번의 관측과 저녁의 수성 사냥으로 몸이 피곤했지만 월요일 아침부터 파란 하늘은 좋았습니다.
결국 원장님께 이실직고를 하고 먼저 퇴근 했습니다.
집에 가서 장비를 실고 일요일 저녁 수성을 찍었던 시화 방조제로 갔습니다.

현장에 도착하니 바람이 장난이 아니었습니다.
거의 5m/sec가 넘는 엄청난 바람이 불어 왔습니다.
차로 북쪽을 가리고(어림도 없겠지만....) 장비를 설치 했습니다.
태양이 지자마자 금성을 찾아 보았습니다. 어제 수성을 찍는다고 법석되다 금성을 찍지 못해서
우선 금성을 찍을 요량이었지요.
투명도는 9/10이라고 할 정도로 완벽했고....
싱은 3/10~4/10정도....
바람은 태풍같았고....

수성이나 금성은 그래도 밝고 크기가 커서 엉성하게나마 이미지가 잡혔는데
천왕성과 해왕성은 이미지가 작고 어두워서 그런지 원형으로 보이지 않고 이상한 형상으로 잡혔습니다.
(바람의 영향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지울 수 없습니다.)
혹시 다른 대상을 잡은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화성에는 요즘 거대한 구름이 하나 생겼는데 그것이 확이되었구요......

결국 이렇게 해서 초저녁에 5행성 사냥은 끝이 났습니다.
정말 허접한 5행성이지만 시도의 의미로 생각 합니다.

집에 다시 돌아온 시간이 9시 이시간까지 점심도 먹지 먹지 못하고 고생하고 있었지요.
저녁을 먹고 잠시 잠을 청하려고 했는데 잠이 오겠습니까?
어찌어찌 하다 결국 새벽 1시에 안산 일대학으로 향했습니다.
아무도 없는 교정의 주차장의 하늘은 정말 환상적이었습니다.
투명도 8/10
싱 3~4/10
결국 싱으로 인하여 원하던 토성과 목성의 디테일한 이미지를 얻는 것은 실패했지만 결국
오늘 하루만에 7행성을 모두 담아내는데는 성공(?)한 셈이 되었습니다.

토성의 본체에 거대한 백반이 잡혔는데 여기에 올린 이미지에서는 과도한 처리로 인하여 잘 보이지 않습니다.
다음에 시간을 갖고 천천히 다시 해보겠습니다.

목성은 디테일 완전히 죽어 있어서 애만 태우다가 그냥 찍어된 이미지 중에서 하나만 합성한 것 입니다.
목성의 위성(아마도 이오가 아닐까 합니다. )이 나오기 시작해서 본체에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습니다.
이미지에도 표현하기 위해서 목성의 위성도 함께 넣었습니다.
토성의 위성도 잡혀 있는데 밝게 하면 토성 본체가 오바가 되어서 잘 보이지 않습니다.

초점도 잡히지 않을정도로 싱이 좋지 않았습니다.
투명도만 엄청 좋아서 사람 들뜨게 만들었지요. 아침부터 새벽까지......


여기 올려진 이미지들은 심혈을 기울려서 이미지 작업을 한 것이 아닙니다.
그렇게 한다고 해서 좋아질 이미지들도 아닙니다.
그냥 이렇게 하루밤에 7행성을 볼 수도 있구나 하는 것을 보여 드리고자 작업을 했습니다.
다른분들이 더 좋은 조건에서 다시 시도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전 당분간 이렇게 관측할 수 있는 시간이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럼 즐거운 하루 밤 되세요^^.

하루밤의 7행성 프로젝트 완성....
(정말 24시간동안에 관측하고 사진찍고 이미지 처리해서 인터넷에 올리게 되네요.....)
  • 이준화 2003.12.16 18:12 (*.249.97.68)
    정말 대단한 작품입니다. 놀랍습니다. 세계에서 유일한 작품일 것 같습니다. 기네스북에 올라가야 하지 않을 까요?
  • 최승용 2003.12.16 18:21 (*.187.167.209)
    ㅎㅎㅎㅎ
    무슨 기네스북 입니까?
    남들도 다 할 수 있는 일인데 아직 하지 않았을뿐이겠지요.
    이제 다른분들도 이런 시도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듭니다.
    재미있었습니다.
    하지만 엄청 노가다 입니다.
    연 5일 관측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당분간 잠수 하려고 합니다.
    체력이 바닥이 나서리...^^
  • 박현권 2003.12.16 18:52 (*.126.9.12)
    키야~~~~

    메시에 마라톤은 들어봤는데, 행성마라톤이라
    위대한 혁명과업이십니다.
  • 황형태 2003.12.16 20:09 (*.207.182.39)
    정말 대단합니다!
  • 이건호 2003.12.16 21:47 (*.168.154.123)
    경의를 표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 축하드립니다.
  • 김일순 2003.12.16 22:10 (*.125.233.214)
    엄청납니다. 놀라움을 금치못하겠습니다. 음... 좋다. 하하.. 최승용님 덕택에 이렇게 7개의 행성 사진을 한눈에 보게되네요..
  • 김영렬 2003.12.16 23:10 (*.162.8.146)
    대단하다는 말밖에는 할말이 없군요.
  • 이경화 2003.12.16 23:14 (*.105.75.4)
    어휴, 살 내리는 소리.. 완전히 신바람 건강법이네.
    굉장한 작업, 축하해!
  • 박병우 2003.12.16 23:25 (*.79.196.171)
    히떡 디비집니다~
  • 육호준 2003.12.16 23:33 (*.178.102.209)
    드디어 일 저질렀군요.
    다시금 자랑습럽니다. 축하축하
  • 황인준 2003.12.17 00:52 (*.53.138.194)
    이럴때야 말로 대~한민국 짜자~악짝 짝짝..
  • 정민경 2003.12.17 01:20 (*.204.51.139)
    굉장한 작업을 하셨습니다. 축하합니다.
    아쉽다면 ..... 3번째 행성이 빠졌군요^^ 다음에 나가실땐 이것도..
  • 정민경 2003.12.17 01:22 (*.204.51.139)
    건강도 신경 쓰면서 하세요.
  • 최승용 2003.12.17 09:34 (*.187.167.209)
    밤새 리플이 많이 달렸군요.
    모두 감사 합니다. 이렇게 칭찬들을 해주셔서...^^
    정님경님 글처럼 지구가 빠지기는 했지요.
    계획에는 태양과 지구, 그리고 달의 모습을 모두 담으려고 했습니다.
    태양은 태양필터도 없고 이미 수평선 아래로 져버린 후였고....
    결국 태양은 포기를 했지요.
    달만 찍었습니다.
  • 김시태 2003.12.17 10:30 (*.51.39.7)
    대단한 열정에 다시 한번 경의를 표합니다.
  • 김영재 2003.12.17 10:57 (*.251.197.105)
    WOW! ..으악...헉...켁...흐미...허허..참나...헐헐..
    정말로 정말로 수고하셨습니다...대단하세요..ㅎㅎ
  • 조윤호 2003.12.17 12:37 (*.178.38.249)
    대단합니다.. 어떻게 하룻밤에 태양계를 전부...
  • 김상욱 2003.12.17 14:06 (*.222.21.132)
    요즘 잠수하고 있는 저로서는 그저 감탄만 할 뿐입니다.
    작은 체구에서 정말 엄청난 힘이 뿜어져 나오시는군요.^^
  • 김영혜 2003.12.17 21:11 (*.82.244.162)
    승용이성님을 국회로 보냅시다.
    요즘 국회의원들 일도 안하고 싸움만하는데,
    이런 분이야말로 나라에서 필요하지 않을까요?
    승용이형 나가면 저 한표 던집니다.
  • 김영혜 2003.12.17 21:16 (*.82.244.162)
    승용이형을 국회로 보내서 달에 커다란 반사경(평면경)을 설치하는겁니다.
    그리고 이형한테 1m짜리 망원경을 설치해주어야합니다.
    그러면 달의 반사경으로 지구를 찍을 것이고, 1m망원경으로는
    명왕성을 찍겠죠? 저는 옆에서 태양사진하나 촬영해드리죠뭐...
    그러면 태양계는 완성되겠져... 내가 너무 흥분했나?*^^*
  • 박병우 2003.12.17 23:06 (*.79.196.171)
    예 그렇습니다. 용이 행님 구케로 보내서 구케의사당 옥상 돔에다 뮤론 250설치해서 별사진 찍는겁니다.

    또 제 카세그레인 접안부 제작처에 압력을 넣어서 이번 주말까지 다 만들어지도록하는겁니다.
  • 황인준 2003.12.17 23:17 (*.207.102.129)
    뱅우행님 맞춤법 틀렸슈~~ 구케의사당 --> 구케으사당

    ㅋㅋ..
  • 최승용 2003.12.18 09:15 (*.187.167.209)
    ㅎㅎㅎ
    역시 나다는 멋진 곳 입니다.
    제가 양복을 입어야 하는 날이 올까요????
    어떤 의원처럼......
  • 최승용 2003.12.18 11:58 (*.187.167.209)
    수성, 금성, 화성과 토성의 본체에 있는 백반이 보이도록 이미지 처리를 다시 했습니다. 토성의 적도 아래부분에도 백반이 있는 것 같습니다. 아직 이에 대한 보고는 없지만 제 이미지에서는 확인이 되고 있습니다.
  • 문재곤 2003.12.19 08:55 (*.165.39.8)
    한달 연일 비에 눈에 바람에 하늘을 보지도 못하는 저에게는 거저 부러울 따름입니다. 정말 힘든일을 하셨습니다. 그리고 이미지가 좋지않다고 하시는데 저의 눈에는 저만큼이라도 찍어봤으면 하는 생각뿐입니다.

  1. 030815 Uranus(천왕성)

    시상이 형편 없었던 15일 목요일 분당 번개때 찍었던 사진입니다. 악조건 하에서의 ToUcam의 실력을 여지 없이 보여 주는 사진입니다. 나중에 구경이 큰 것으로 위성 촬영을 시도해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물론 더불어 내년의 목성 시즌을 대비하여 목성 위...
    Date2003.08.16 CategoryOther By황인준 Views3483
    Read More
  2. Can you find Mercury in this photo?

    오랜만에 사진 올려봅니다. ^^ 요즘 수성 관측 적기라 학교에서 한번 찍어 봤습니다. 원래는 화성과 달 촬영이 목적이었는데 이 사진은 그냥 덤으로... ^^ ---------------------------------------------------------------------------------- Date : 2008....
    Date2008.05.11 CategoryOther By염범석 Views3157
    Read More
  3. 071208-Mars & Saturn

    촬영일: 2007년 12월 09일 새벽 촬영지: 대부도 대남초교 망원경: FSQ-106 ED+2배파워메이트+2.5배파워메이트 적도의: EQ 1200 GTO 카메라: 필립스 투유켐 프로 노출정보: 15 f/s, 각 400매 합성 작아서 아쉬웠습니다. 동쪽이 훤해질 무렵 서쪽에 걸린 화성과...
    Date2007.12.18 CategoryOther By박정용 Views2870
    Read More
  4. 031113-five planets

    어제(13일) 갑자기 하늘이 맑아져서 몇몇이서 조촐한 관측을 했습니다. 전 다행이도 일찍 도착할 수 있어서 초반에 천왕성과 해왕성을 찍을 수 있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천왕성은 지난번 인준씨가 잘 찍은 사진이 있기는 하지만 이번에는 하루밤에 볼 수 있는...
    Date2003.11.14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2858
    Read More
  5. 030925 Uranus

    밑에 있는 화성 찍을때 찍은 사진입니다. 천왕성도 충을 지나서 약간씩 기울어지면 시직경이 작아질 것입니다. 전번 사진 보다는 시상이 좋아서 그런지 훨씬 잘 나온 셈입니다. 도전해 보실분은 빨리 찍어 보세요. 화성 아주 가까이 있습니다.
    Date2003.10.02 CategoryOther By황인준 Views2677
    Read More
  6. 달과 토성의 근접

    2007.4.25 20시 무렵 달과 토성이 약 0.5도까지 근접한 모습입니다. 위의사진 : Takahashi FC60+Canon 10D, ISO200, 1/90초 아래사진 : ADT320DS + Canon 10D, ISO100, 1/90초 2007.4.25. 20시 서울 연광초등학교 공개관측회장에서
    Date2007.04.26 CategoryOther By신범영 Views2517
    Read More
  7. Moon & Mars

    초승달과 화성의 접근... ^^ 빅센 가이드팩으로 대충 북쪽으로 두고 대충 극축 정렬... ---------------------------------------------------------------------------------- Date : 2008. 05. 10. 22:10 (KST) Object : Moon and Mars Location : Daejeon....
    Date2008.05.11 CategoryOther By염범석 Views2373
    Read More
  8. 토성과 화성과 벌집성단

    지난 6월18일 토성과 화성이 0.5초각까지 근접하여 벌집성단(M44)옆에 있는 모습입니다. 왼쪽 위가 화성, 아래가 토성이고 오른쪽 아래쪽의 별의 집단이 벌집성단(M44)입니다. 아쉽게도 토성의 테가 보이도록 확대하면 세 대상을 동시에 넣을 수가 없네요. FS...
    Date2006.06.21 CategoryOther By신범영 Views2265
    Read More
  9. 031101 Three Planets

    토요일 황교수님과 죽(?)이 맞아 번개를 쳤습니다. 새벽 3시에 안산 일대학에서 관측을 한 상태였기에 좀 피곤하기는 했지만 하늘이 좋아 보여서 또 주말이고 해서요. 황형태 - HP 250 뉴튼 이경화 - 따스한 커피와 맑은 마음씨 최승용 - 뮤론 250 김상욱 - T...
    Date2003.11.03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2253
    Read More
  10. 트리플랑데뷰_081202

    어제 찍었어야 하는데 내내 구름때문에 애태우다 못찍은거 오늘 달이 제법 올라갔지만 그래도 찍어보았습니다. 그런데 제 작품이 아니고 중1/초5 인 제 두아들의 합작품입니다. 저희집 발코니에서 소니F-717로 찍었네요. 한시간동안 20여장을 찍었는데 그중 ...
    Date2008.12.02 CategoryOther By김호섭 Views2193
    Read More
  11. 신년 우주쇼

    - 촬영일시 : 2009년 01월02일 - 촬영장소 : 경남 의령 자굴산 쇠목재 - 렌 즈 : Canon 18-55mm IS / f = 4.5 - 카 메 라 : Canon 450D - 노출정보 : ISO 200 2.5Sec - 소프트웨어 : 포토샵 보정 오랜만의 출사를 우주가 어떻게 알아보고 멋진 쑈 를 하더군요...
    Date2009.01.04 CategoryOther By이상희 Views2016
    Read More
  12. 해왕성의 이동모습

    5월부터 7월까지 연수 받느라 좀 바쁘기도 하고 날씨도 흐린 날이 많아서 촬영장비가 거의 개점 휴업상태입니다. 개편되는 새 지구과학 교과서를 집필중인 후배가 천구상에서 행성이 움직이는 것(그래서 행성인데...)을 보여주는 사진이 필요하여 여거 저기 ...
    Date2009.07.31 CategoryOther By신범영 Views1996
    Read More
  13. 040204 Venus

    금성 2004년 2월 4일 18시 36분(Central USA) 2004년 2월 5일 09시 36분(KST) 화성 2004년 2월 4일 19시 42분(Central USA) 2004년 2월 5일 10시 42분(KST) Celestron Advanced C10-NGT Celestron 10" Newtonian Reflector (D=254mm, f 1200mm, F/4.7) Celect...
    Date2004.02.05 CategoryOther By김영렬 Views1919
    Read More
  14. 060411_jupiter rotation

    2006년 4월 12일 새벽에 촬영한 목성 모음 입니다. 역시 고도가 낮아도 초반 시상이 더 좋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합니다. 갈수록 시상이 엉망이 되어 버려서 디테일이고 머고 전혀 생각할 수가 없습니다. 초반에 위성 이오가 목성의 뒤에서 나오는 장면부터...
    Date2006.04.13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890
    Read More
  15. 031227_2_planets

    분당에서 번개가 있었지만 전작이 있는지라 오늘은 쉬려고 했는데 배철균씨가 전화가 와서 날이 좋다고 별 보자고 해서 초저녁에는 한숨 자고 자정이 넘어서 새벽 1시경 안산 일대학으로 갔습니다. 이미 배철균씨는 장비를 설치한 후였고 전 이제부터 시작이...
    Date2003.12.27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870
    Read More
  16. Jupiter, Venus, and crescent Moon...

    Crop 바디에 200mm 렌즈 물리니 시야에 꽉 차게 들어오네요. 구름때문에 쓸만한 사진을 몇장 못찍었습니다. 왼쪽 위의 천체가 목성이고 (원본에서는 목성의 4대 위성도 점으로 찍혔더군요. 리사이즈하니까 보이지 않지만...), 왼쪽 아래에 밝은 천체가 금성입...
    Date2008.12.02 CategoryOther By염범석 Views1791
    Read More
  17. 부분일식_전북 무주

    어제까지만 해도 크게 기대하지 않았던 부분일식이었는데 오늘 날이 갑자기 좋아졌습니다. 덕분에 부분식 시작부터 끝까지 한장면도 놓치지 않고 관측할 수 있었습니다. 해외로 원정가신 분들은 날씨가 어땠는지 궁금합니다. 오전까지만 해도 거의 절망적인 ...
    Date2009.07.22 CategoryOther By박대영 Views1696
    Read More
  18. Moon & Venus

    작년에 썼던 교과서의 교사용지도서 집필하느라 본의 아니게 잠수중입니다... 사진은 틈틈히 찍고 있는데 이미지처라할 시간이 없네요... 몸풀기용 사진 몇장 올립니다.^^ 지난 1월30일 저녁 약 2도까지 접근한 초승달과 금성의 모습입니다. 촛점거리가 짧은 ...
    Date2009.02.08 CategoryOther By신범영 Views1593
    Read More
  19. 040909_uranus

    (이미지는 확대 및 크롭한 것 입니다.) 갑자기 나빠진 투명도와 엄청난 습기로 인하여 멍청한 천왕성 입니다. 어제 안산 번개에서 철수하기 전에 찍었는데 오히려 안시가 더욱 좋았습니다.^^ 파란색도 아닌 것이 푸르스름한 색이었습니다. 찍어 보니 파란색 ...
    Date2004.09.10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571
    Read More
  20. 050814_jupiter_venus

    2005년 8월 14일 서해안에서 연휴 기간 중에 재미 삼아 찍어 보았습니다. 삼각대도 없고 해서 손각대를 이용해서 찍었는데..... 카메라가 니콘 쿨픽스 995라서 표현이 좀 그렇네요. 어서 좋은 카메라 하나 장만 하고 싶기는 한데....^^ 서쪽 하늘 낮은 곳에 ...
    Date2005.08.18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490
    Read More
  21. 040823_uranus_II

    8월 23일 밤에 찍은 천왕성을 확대 크롭해 보았습니다. 확대하면서 상이 찌그러지지 않게 그리고 오바 하지 않은 이미지 처리를 하려고 노력해 보았습니다. 그렇지만 역시 포토샾에서의 한계와 저의 이미지처리 실력의 한계로 이렇게 밖에는 못하겠습니...
    Date2004.08.25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475
    Read More
  22. 해가 지면 달이 뜨고...

    허접한 뽀샵 실력이라... 파노라마는 아직 멀었네요. 그냥 재미로 보세요.
    Date2005.12.26 CategoryOther By임상균 Views1465
    Read More
  23. 040823_neptune

    천왕성과 함께 찍었던 해왕성 입니다. avi 동영상으로 2개를 찍었는데 그나마 이놈이 좀 낳은 편 입니다. (확대하고 크롭한 것 입니다.) 구름속에 숨어 있어서 밝기도 어두웠고 또한 고도가 원낙 낮아서 찍는 자체가 좀 그랬지만 행성이라고는 이 두놈 밖에는...
    Date2004.08.27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459
    Read More
  24. (2924)-Mitake-mura

    Camera : SBIG ST-2000XM (-30 degree cooled) Lens : Takahashi MT-160 (1000mm F6.25) Guide : EM-200 Temmar 2 L = 5 minutes 20060125 in Sang-ju, Korea it's very difficult to survey manualy to find a new minor planets and comets the necessiris ...
    Date2006.01.26 CategoryOther By김승남 Views1450
    Read More
  25. 040307_3_planets

    040307_3_planets 3월 7일 찍은 금성, 목성, 토성 이미지를 한장에 담았습니다. 상대적인 크기도 실제로 보이는 크기 입니다. 날도 좋지 않고 기분도 꿀꿀하고 해서 기분 전환용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그래도 즐거운 마음으로 남은 하루를 잘 보내시기 바랍...
    Date2004.03.10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434
    Read More
  26. 051211_venus

    2005년 12월 11일 금성 입니다. 올해는 금성의 위치상의 이유로 좋은 이미지를 얻지를 못했습니다. 아니 찍을 시간적 여유가 없었습니다. 작년보다 훨씬 남쪽으로 치우쳐서 지기때문에 고도상의 문제로 시상의 영향을 절대적으로 받습니다. 또한 고도도 낮으...
    Date2005.12.12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418
    Read More
  27. 2005 FY9

    Takahashi SKY-90 SBIG ST-2000XM (-30도 냉각) Takahashi EM-200 Temmar 2 LRGB = 20m 9m 9m 9m 20060120-0121 in Sang-ju 카이퍼 벨트에 속한 천체 중 가장 큰 녀석 중의 하나입니다^^ 달빛 때문에 이미지 처리하기가 힘드네요... 겨우 존재가 확인되는 정...
    Date2006.01.21 CategoryOther By김승남 Views1377
    Read More
  28. 031215_7_planets

    (수성, 금성, 화성, 토성의 이미지를 약간 손보았습니다. 토성의 본체에 있는 백반을 볼 수 있습니다.) 하루밤의 7행성 프로젝트 하루 밤사이에 볼 수 있는 7행성을 모두 찍어 보았습니다. 휴~~~~ 일요일 새벽의 2번의 관측과 저녁의 수성 사냥으로 몸이 피곤...
    Date2003.12.16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345
    Read More
  29. 남산 3종 세트

    남산에 올라가서 한번 찍어 봤습니다. 예쁘게 봐주세요~ SUN / VENUS / MOON Nikon D70s + SUN : Sigma 18-200mm VENUS : Nikkor 28mm(f/2.8) MOON : FS-60C
    Date2005.12.25 CategoryOther By임상균 Views1343
    Read More
  30. 소행성

    천문인 마을에서 M1의 L 이미지를 찍는동안 소행성이 찍혔습니다. 이미 알려진 소행성일 가능성이 많지만 한번 알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알아봐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두번째 그림은 소행성의 이동 동영상입니다.
    Date2004.11.16 CategoryOther By이준화 Views1342
    Read More
  31. 제 12회 천체사진공모전 출품작

    예상치 못했던 수상이었습니다. 내심 딮스카이가 선택되지 않을까 했으나 이 사진이 선택 되었더군요.. 암튼 감사한 일입니다. 두번째는 같이 보낸 또 하나의 행성사진입니다... 8월 25일 찍은 것인데... 홈에 한번 놀러오세요.. 재 이미지 처리해서 출...
    Date2004.03.23 CategoryOther By황인준 Views1331
    Read More
  32. 040823_uranus

    어제 밤 하늘이 조금씩 열리는 기미가 보이길레 안산 일대학으로 향했습니다. 많은 구름 사이로 보이는 하늘은 정말 까맸습니다.^^ 구름 사이로 보였다 말았다 하는 천왕성을 촬영해 보았습니다. 싱과 투명도가 만족스럽지 않아서 좋은 이미지는 아니지만 그...
    Date2004.08.24 CategoryOther By최승용 Views133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