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Jupiter
2005.05.06 15:52

천안 호반의 목성(2005.5.4)

(*.69.206.32) 조회 수 844 추천 수 46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날씨가 그리 좋지 않아 망설이다가 10시 50분경부터 30여분 찍어 봤읍니다. 이중 처음찍은것중 하나를 올려봅니다.
아무리 레지스탁스에서 조정을 해도 선명도가 잘안나옵니다. 잘 못찍어서겠지요.  
같은날 찍은 고수들의 사진과 저같은 초보의 사진이 함께 있으면
행성촬영공부하시는 분들에게는 도움이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매일매일 배워가고 있읍니다.  지도 바랍니다.
  • 박정용 2005.05.06 16:30 (*.117.112.19)
    Seeing의 영향이 절대적이긴 하지만 C14같이 밀폐된 경통은 온도적응 역시 상당한 사진의 질에 영향을 주지요.
    저의 경우 설치와 동시에 촬영한 이미지들은 기대하지 않고 적어도 3시간은 넘어야 볼만한 이미지들이 나오더군요.지금은 목성의 고도가 높아 일찍 온도적응을 시켜놓지 않으면 좋은이미지를 건질 수 없더군요.
    처음사진이 상당히 좋습니다 지금 이렇게 보이면 나중에 찍은 사진은 더욱 기대가 됩니다.
  • 이병국 2005.05.06 18:42 (*.118.239.52)
    좋은조언 감사합니다. 항상 박선생님 사진을 표준으로 삼아 비교하고 있읍니다.
    저는 C14경통도 제대로 들지를 못해 도움을 받아 설치를 했는데
    박선생님 매번 그무거운 경통과 적도의등을 설치하고 해체하고 하시는것을 보면서 경이로운 생각이 들뿐입니다.
    저는 고정관측이 가능하니까 열심히 배우고 노력해서 좋은 행성지기가 되겠읍니다.
    이번 목성시즌이 가기전에 안산에 한번 들리겠읍니다.
    많은 지도바랍니다.
  • 최승용 2005.05.07 09:29 (*.255.216.142)
    어제는 오후에 서울 출장이 있어서 시간이 없었습니다.
    오늘 아침에야 제 이미지도 바로 고쳐 놓을 수 있었지요.
    시상이 좋지 못한 것도 한 가지 요인이고 또한 너무 어둡게 촬영한 것도 한가지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제 경험상 너무 어둡게 촬영하면 색감을 살려내는 것이 쉽지 않더군요.
    그렇다고 너무 밝게 촬영하면 노출 오바가 되어서 디테일이 또한 떨어져 버리고...
    자신만의 절대적인 기준치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왜냐하면 사용하는 장비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지요.
    구경이 작은 것이 단순히 핸디캡이 될 수는 없습니다.
    또한 구겨이 큰 것도 장점만 될 수도 없습니다만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장비를 이용해서 최고의 작품을 찍어 낸다면 그것이 최고가 아닐까요?
    또한 가장 중요한 점은 이미지의 질이 좋고 나쁨을 떠나 항상 별을 본다는 자체겠지요.
    이교수님도 단순히 저희를 따라 한다기 보다는 별을 보는 자체를 즐기신다는 기분으로 별을 보시면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별생활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냥 별 보다 보니 좋은 이미지도 건졌다 하는 식으로....^^
    좋은 주말 되시길 바랍니다.
  • 이병국 2005.05.07 20:45 (*.118.239.52)
    여러가지 촬영팁 감사합니다. 많은 관측경험에 의한 자신만의 기준치가 생기리라 생각합니다.
    좋은지적이십니다. 별을보는 자체를 즐기다 보면 자연스럽게 배우고 좋은 이미지도 얻을수 있겠지요.
    최선생님도 좋은 주말보내세요.
    저는 지난 2일에 찍은 사진들을 정리해서 대적반 일주를 만들어 올려 보겠읍니다.

  1. by 이건호

    행성 3종세트 4 file

  2. by 최훈옥

    한번해본 목성 8 file

  3. by 김도익

    평창 청X산에서 목성입니다.. 1 file

  4. by 남기현

    투유캠 설정을 달리하면서 촬영한 목성 1 file

  5. by 남기현

    크리스토퍼 고의 목성과 비교 2 file

  6. by 남기현

    크기를 달리해서 처리해본 목성 4 file

  7. by 박병우

    카세그레인 310mm로 찍은 목성 3 file

  8. by 어진선

    최초의 목성 사진 2장 7 file

  9. by 박영식

    초점거리별... 목성의 보이는 정도... 6월 13일 3 file

  10. by 선숙래

    청학리 목성 4 file

  11. by 전영준

    첫 목성이네요.. 5 file

  12. by 문재곤

    첫 목성 사진, 그리고 새해 첫 사진... 4 file

  13. by 이병국

    천안 호반의 목성(2005.5.4) 4 file

  14. by 이병국

    천안 호반의 목성(2005.5.3) 7 file

  15. by 이병국

    천안 호반의 목성(2005.5.2일) 3 file

  16. by 이병국

    천안 호반의 목성(2005. 4.30) 8 file

  17. by 이병국

    천안 호반 목성 모음(6.12) 8 file

  18. by 이병국

    천안 호반 목성 (2005. 5. 2) 모음 5 file

  19. by 이병국

    천안 호반 목성 (2005. 5. 2) 대적반일주 8 file

  20. by 박정용

    지리한 장마의 시작입니다. 3 file

  21. by 박영식

    지난사진... 8 file

  22. by 박정용

    지난 5월 22일 안산의 목성입니다. 5 file

  23. by 박정용

    지난 5월 17일 안산 일대학의 목성 1 file

  24. by 김종호

    지겨운목성... 6 file

  25. by 김종호

    쥬피터 5 file

  26. by 김종호

    주피터~ 4 file

  27. by 문병화

    전에 촬영한것 재처리하였읍니다. 4 file

  28. by 김영혜

    저의 첫 목성사진입니다. 3 file

  29. by 박병우

    저도 초생달 6 file

  30. by 박정용

    장마가 언제 끝이 날까요~ 1 file

  31. by 김종호

    자작 돌커크 목성 8 file

  32. by 김시태

    입만가지고 덤으로 한 수 배우러... 2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