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Jupiter
2005.02.26 14:21

050225_jupiter

(*.255.216.142) 조회 수 1372 추천 수 76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05년 2월 25일 밤 안산 일대학에서 촬영된 목성 입니다.
투명도가 요즘 들어서 가장 좋았던 밤이기도 합니다만 그래도 역시 싱이 따라 주지는 않는군요.
순간순간 보이는 모습은 요즘 들어서 볼 수 있었던 목성 중 가장 잘 보이기도 했습니다만 이건 어디까지나 동영상 중의 한 프레임에 지나지 않았나 싶습니다.
결과적으로 아주 디테일한 이미지는 얻을 수 없었습니다.
대적반이 나오기를 기다리다 내일을 위하여 결국 대적반은 못 보고 철수 했지요.
함께 관측 했던 박정용씨는 아마도 멋진 목성과 대적반의 이미지를 찍지 않았나 싶습니다.
이 목성 이미지도 과도한 이미지 처리를 했습니다만 그나마 조금의 디테일은 볼 수 있습니다.
남적도대 위에 있는 검은 암반도 볼 수 있고 남적도 대의 다른 색깔들도 볼 수 있습니다.
조금만 더 싱이 좋았다면 아마도 근사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을텐데 무척 아쉽습니다.
초저녁의 싱은 나빴지만 함께 촬영된 토성을 보면 싱과 투명도의 중요성을 알 수 있게 해 줍니다.
즐거운 주말 되시길 바랍니다.  
  • 남기현 2005.02.26 14:55 (*.103.12.126)
    좀 무식한 질문이지만 CM I, CM II 이건 무엇을 말하는 건가요?
  • 최승용 2005.02.26 15:29 (*.255.216.142)
    중앙경도를 말하는 것 입니다.
    원래는 I, II, III이렇게 세가지가 있습니다.
    목성은 기체로 이루어진 행성이면서 자전 속도가 9시간 50여분 정도로 무척 빠릅니다.
    그래서 적도대와 중위도 그리고 극지방의 자전속도가 각각 다르다고 합니다.
    물론 적도대가 가장 빠르겠지요.
    그래서 이렇게 중앙경도 (Central Meridian) 표시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CM I, CM II, 2가지를 쓰는데 이 자료는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The sky 등의 프로그램에서 목성 데이터를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CM III는 쉽게 구하지 못하겠더군요.
    구하는 공식이 따로 있는데 적용을 하지 못하여 사용을 못하고 있습니다.
    외국 천무 사이트 등에서 찾아 보면 알 수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 중앙경도를 써야 하는 경우는 보고 형식을 빌어 자료를 보낼 때 사용이 됩니다. (예로 알포제펜에 목성 이미지를 올리 때 등등)
    저는 그냥 The sky에 응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The sky에 토성에 대한 중앙경도 데이터는 없더군요.
    모든 행성들의 이미지를 올릴 때 이 중앙경도를 표시해 주는 것이 정석이겠지만 찾을 수 가 없더군요.
    아니면 귀차니즘의 발로인지...^^
    도움이 되셨기를....
  • 황인준 2005.02.27 12:39 (*.81.91.215)
    전 시즌과 변화가 없는 듯 하지만 있군요.
    내심 벨트가 많아지기를 기대 했지만 그래도 큰 변화 몇개는 관측 욕구를 자극하기에 충분합니다..
  • 박정용 2005.02.28 01:31 (*.255.160.250)
    그랬죠. 모니터로 보이는것은 잘 보이는듯 했는데 막상 처리해놓고 보면 기대 이하 였었지요.
    그래도 자세히 잘나왔군요. 색감 또한 좋습니다.
    저는 대적반이 나오고 위성이 지나가는 것은 보고 아침에 철수 하였지요. 바람이 거세게 불었고 결과는 그리 좋지 못하였습니다.
  • 김영렬 2005.02.28 13:03 (*.232.128.122)
    여전히 좋은 목성 모습이군요. 설명과 함께 많은 도움이 됩니다.

  1.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