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Jupiter
2005.02.05 10:17

050127_jupiter

(*.255.216.142) 조회 수 909 추천 수 42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05년 1월 28일 새벽에 찍은 목성 영상 중 일부분 입니다.
목성의 대적반이 오른쪽으로 부터 나오기 시작하면서 왼쪽으로 들어갈 때까지 모두 찍어 보았으나 시상의 영향으로 인하여 디테일한 이미지는 얻지
못하고 그냥 그런 이미지들만 보이네요.
왼쪽 이미지에서 대적반의 모습과 NTB(대적반 아래쪽의 테)왼쪽으로 흰반점들이 나열 된 듯한 이미지가 보입니다.
(가운데 파란 페스툰 왼쪽으로 길게 늘어선 햐얀색의 반점들...)
이미 세계의 다른 행성촬영가들이 촬영해서 보고한 바로 그것이지요.
이제야 처리 하는 바람에 저도 이제야 확인 했네요. 찍긴 찍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행성 관측의 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같은 현상을 두고도 시간차로 인하여 어떤 사람은 보고를 하고 어떤 사람은 그냥 모르고 지나가게 되는 것이지요.
아니면 나중에야 알게 되던지.....
바로 바로 처리하고 보고 하는 일도 쉽지는 않습니다.
백야드 관측소가 있으면 혹시 모르겠군요......
즐거운 명절 맞으시길 바랍니다.^^
  • 박정용 2005.02.05 10:51 (*.255.167.225)
    맞습니다.
    마치 오징어 다리처럼 백반구조가 늘어져 있더군요.
    페스툰도 회오리 같이 피어오르는 것이 목성의 대기상태가 무척이나 활성적인것 같았습니다.
  • 김영렬 2005.02.06 17:09 (*.162.8.146)
    적반을 비롯해 다양한 모습이 잘 보입니다. 그동안 여러가지 일로 별을 보지 못하다가 저도 오랜만에 행성을 보았지요. 감회가 새롭더군요. 사진 잘 보았습니다.
  • 김일순 2005.02.06 21:34 (*.160.109.75)
    작년 이후로 목성 토성 본지가 언제인지... 덕택에 요즘 잘 보고 있습니다.
  • 남기현 2005.02.06 22:43 (*.103.12.126)
    우왕~ 드뎌 목성 시즌 시작인가요.
    하지만 아직 제 8인치 슈미트카세그레인으로는 어림 없더군요. -.-;
  • 황인준 2005.02.07 21:12 (*.85.115.146)
    부드럽고자연그러운 것이 좋습니다.
    전 오랜만에 12인치 단 촛점으로 덕초현에서 안시를 했었습니다.. 좋더군요.^^
    NTB에 White oval이라..
    다음에 사진을 찍게 되면 유심히 안시관측을 먼저 해 보아야 겠습니다..
    그나저나 저 이러다가 ALPO에서 짤리지 않나 모르겠어요..

  1.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