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Jupiter
2004.04.30 04:43

4월 28일 목성

(*.255.160.45) 조회 수 858 추천 수 35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지난 28일 안산1대학에서 최승용씨, 배철균씨와 함께 관측한 결과물입니다.
20여장 찍었더니 아직도 다 처리하지 못했습니다.
이번주말에 또 관측나갈텐데 처리도 못하고 또 관측하게 생겼습니다.
처리도중에 두장 올립니다.
씽이 좋으리라 기대하고 나갔는데 결과는 영 신통치가 못합니다.
그래도 뜻이 같은 사람들과 밤을 지새는것이 너무도 좋습니다.
  • 김상욱 2004.04.30 08:58 (*.112.73.11)
    햐~ 대단한 사진입니다.
  • 최승용 2004.04.30 11:50 (*.255.244.57)
    대구경의 위력을 보여주는군요.
    현장에서는 궁시렁궁시렁 하시더니^^.
    약간 작은 이미지는 아주 디테일해 보입니다만 원래의 확대율의 이미지는 약간 과도한 이미지처리기가 보입니다.
    같은 이미지를 가지고 여러가지 실험을 해 보시는 것도 더 좋은 이미지를 얻는 방법일 수 있습니다.
    현재 보이는 이미지는 모래를 뿌려 놓은 듯한 현상이 있는데 이것은 블러를 약간 주면 없어지기는 하지만 이미지의 디테일이 사라집니다. 그러므로 이미지 처리를 할 때부터 적당한 처리를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노트북과 데스크 탑과의 색감이나 밝기를 최대한 같은 조건으로 맟추시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 입니다.^^
  • 박정용 2004.04.30 12:53 (*.181.18.130)
    씽도 그러했지만 역시나 촛점이 제대로 맞추지 못한것이 그대로 보입니다.
    색감도 말씀드렸듯이 노트북보다 더 노랗게 보이구요.
    이미지 처리에서는 블루를 한방먹이고 노이즈감쇠를 한방먹였을 뿐인데도 그렇게 보입니다.
    덕분에 샤프한 이미지가 사라졌고 관측적인 측면에서는 디테일에서(특히 FESTOON에서)많은 손해를 보았습니다.
    노트북에서 상기 포샵작업과 글씨를 넣었고 노트북의 통신라인으로 이미지를 올렸습니다. 노트북에서 본것과 회사에서 본 것과의 노란색 차이가 좀 심합니다.
    어떻게 보면 블루나 노이즈의 감쇠작업을 하지않고
    노이즈 있는그대로가 관측적인 측면에서 더 생생한 느낌을 주는것도 같습니다.
  • 황인준 2004.04.30 15:17 (*.85.131.222)
    사진이 너무 멋집니다..
    저는 박정용님이 말씀하신 샤프한 것 보다는 이 사진이 관측적인 측면에서도 훨씬 훌륭하다고 보입니다.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 목성의 무늬가 모두 대기의 소용돌이 이므로 모든 디테일은 디테일 하면 할 수록 무늬가 곡선형테로 나오는 것이 실제 이미지에 가깝다고 보입니다..
    암튼 정말 멋진 사진입니다.
  • 박정용 2004.04.30 15:36 (*.181.18.130)
    한가지 더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어제 새벽까지 합성하는둥 잠 자는둥 했었는데 결국 시험을 못해보고 말았습니다.
    같은 이미지의 합성매수가 적고 많음에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즉.. 90%이상의 양질의 이미지 500매 합성과 80%이상의 양질의 이미지 1000매의 합성의 차이가 어떠할런지 궁금합니다.
    제 생각은 전자가 이미지의 색상과 깊이는 덜한만큼 노이즈도 줄지 않을까 싶습니다.
  • 이경화 2004.04.30 19:15 (*.253.39.59)
    작은 이미지의 목성무늬가 참 입체적으로 보이는군요. 멋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416 Jupiter 2006년 1월 08일 새벽 목성 4 file 2006.01.08 986 남기현
415 Jupiter 040408_jupiter file 2004.04.09 985 최승용
414 Jupiter 031226-jupiter 5 file 2003.12.26 984 최승용
413 Jupiter 4월 22~23일 목성 1 file 2005.04.25 984 박영식
412 Jupiter 040404_jupiter 8 file 2004.04.06 980 최승용
411 Jupiter 040307_jupiter file 2004.03.08 978 최승용
410 Jupiter 050508_jupiter 5 file 2005.05.09 977 최승용
409 Jupiter 050302_jupiter 3 file 2005.03.04 976 최승용
408 Jupiter 천안 호반 목성 모음(6.12) 8 file 2005.06.21 975 이병국
407 Jupiter 040425_jupiter 2 file 2004.04.26 974 최승용
406 Jupiter 201404014_20140415_Mars 1 file 2014.04.15 967 최승용
405 Jupiter 2012년 9월 23일 새벽 목성 file 2012.09.24 964 김상욱
404 Jupiter 2004년 3월 18일 분당목성 AP130EDF 3 file 2004.03.19 963 이건호
403 Jupiter 040408_Jupiter 3 file 2004.04.09 963 김영렬
402 Jupiter 보그 첫 목성 2003-12-27 3 file 2003.12.29 962 박현권
401 Jupiter 2003년 첫 목성사진(2003.10.19) 7 file 2003.10.19 959 남명도
400 Jupiter 031130_saturn_chunan 8 file 2003.12.01 959 최승용
399 Jupiter 2004년 식목일 목성 7 file 2004.04.06 955 남명도
398 Jupiter 4/27일 계남공원의 목성 3 file 2004.04.28 954 육호준
397 Jupiter 040225_jupiter 9 file 2004.02.26 951 최승용
396 Jupiter 041030_jupiter 3 file 2004.11.01 951 최승용
395 Jupiter 040115_Jupiter 6 file 2004.01.16 949 김영렬
394 Jupiter 2004091030 Juputer 13 file 2004.04.11 949 황인준
393 Jupiter 투유캠 설정을 달리하면서 촬영한 목성 1 file 2005.03.06 947 남기현
392 Jupiter Jupiter_2013_1208 4 file 2013.12.14 946 김영렬
391 Jupiter 5월 1일 목성 file 2004.05.03 945 지승용
390 Jupiter 031213_jupiter 3 file 2003.12.13 942 최승용
389 Jupiter 040404_Jupiter 7 file 2004.04.05 942 김영렬
388 Jupiter 2006년 3월 4일 목성 3 file 2006.03.04 940 남기현
387 Jupiter 목성 4 file 2014.02.05 939 임재식
386 Jupiter 130202_jupiter 6 file 2013.02.04 934 최승용
385 Jupiter 첫 목성 사진, 그리고 새해 첫 사진... 4 file 2004.01.02 930 문재곤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3 Next
/ 2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