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Jupiter
2004.04.26 15:41

040425_test_raw

(*.255.244.57) 조회 수 1674 추천 수 46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040425_test_raw

새로운 방법으로 이미지들을 찍어 보고 있습니다.
그 새로운 방법이란 다름이 아니고 일반적으로 찍는 CCD이미지를 raw 이미지로 바꾸는 작업을 하는 것 입니다.
물론 찍을 때부터 raw 이미지로 찍어야 합니다.

a는 원본 이미지 입니다.
b는 a를 이미지 프로세싱을 한 것 입니다.
c는 a를 찍었던 원본 동영상을 raw color 이미지로 바꾼 원본 이미지 입니다.
d는 c를 이미지 프로세싱을 한 것 입니다.
e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찍은 원본 입니다.
f는 e를 이미지 프로세싱 한 것 입니다.
g는 non color 이미지 입니다.
h는 g를 이미지 프로세싱 한 것 입니다.

a를 2번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거치면 d가 됩니다.
노이즈가 많이 감소는 했지만 콘트라스트가 좀 떨어집니다.
그리고 이미지가 좀 부드럽습니다.
반면에 b는 raw 이미지 프로세싱한 것인데 훨씬 콘트라스트가 높습니다. 이런 이미지에 칼라면 좋겠지요.^^

그리고 마지막의 non color 이미지는 decoding이 필요하지 않은 방법 입니다.

raw 이미지로 찍으면 반드시 color로 decoding을 해 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raw 이미지는 반드시 흑백으로 보입니다.

노이즈가 많이 감소하는 대신 콘트라스트가 떨어지는 점이 아직 머뭇거리게 하는 점 입니다.

이런 모든 프로그램은

http://arnholm.org/astro/index.htm

이곳에 가시면 받으실 수 있습니다.

물론 모두 무료이지만 사용상 발생하는 모든 하자에 대하여는 본인이 책임을 져야 합니다. 당연 하겠지만....^^

아직 제가 더 많은 공부를 해야 하는 관계로 자세히 적지 못 합니다.
여러분들이 저보다 더 열심히 해 보시고 저에게 알려 주시면 더욱 고맙겠습니다.^^

여기에 사용된 이미지는 모두 2004년 04월 25일 일요일 안산 일대학 주차장에서 촬영된 것 입니다.  
충분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하지 못했고 관측 당시의 투명도와 시상이 그다지 좋지 못하여 완벽한 테스트는 아닙니다.
다만 현재 세계적으로 몇몇 웹켐 사용자들이 이런 raw 이미지를 이용한 방법으로 이미지를 찍어서 보고를 하는 것을 보고 우리나라에서도 누군가는 해야할 것 같았습니다.
행성만을 보는 저로써는 상당히 구미가 당기는 과제였습니다만 시기상 건강상 문제가 있었습니다.
나머지는 모두 여러분의 몫입니다.^^
다음 행성 시즌에는 모두 멋진 이미지들을 건지시길 바랍니다.
테스트는 계속 되어야 한다.!!!!!!!
  • 최승용 2004.04.26 15:51 (*.255.244.57)
    여기서 d가 바로 문제의 raw 이미지 입니다.
    이 사진을 찍기 위하여 이런 여러가지 프로세싱을 해야 하는 것 입니다.
    그런데 이런 여러가지 프로세싱이 번거로운 분들이 원하는 것이 바로 h 이미지 입니다.
    바로 decoding없이 raw이미지를 얻으니까요.
    또한 d는 특별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해야 합니다만 저는 아직 거기까지는 알 지 못합니다. 좀 더 좋은 이미지를 위한 프로세싱 이겠지만 일반적인 이미지도 아직 잘 모르는 저로서는 벅찬 일 입니다.
    여기까지가 제가 할 수 있는 또한 여러분들에게 알려 드릴 수 있는 모든 것 입니다.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 최승용 2004.04.26 16:50 (*.255.244.57)
    첨언 하자면 f가 기존에 찍던 방식으로 찍은 이미지 입니다.
    d와 h가 raw이미지들 입니다. 과연 어떤 이미지가 좋은 것인지는 각자의 입맛에 달렸겠지요.
  • 박현권 2004.04.26 17:46 (*.126.9.12)
    g의 non-color이미지란게 어떤의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a와 어떻게 다른건지요?
  • 최승용 2004.04.26 18:04 (*.255.244.57)
    a는 raw mode로 촬영된 이미지 입니다. 이것을 d이미지로 만들기 위해서는 흑백 raw이미지를 칼라 raw 이미지로 바꾸어야 합니다. 이때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iris프로 그램을 사용해야 합니다. 제 경험으로는 iris는 그다지 좋지 않은 것 같습니다.
    아무튼 이렇게 해서 컬러 raw 이미지로 바뀐 이미지를 합성하고 이미지 프로세싱을 할 수 있는 것 입니다. 결과물도 역시 컬러이구요.
    그런데 g는 이런 번거로운 일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 입니다.
    바로 촬영하고 바로 프로세싱을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마치 일반적인 방법으로 촬영해서 레지스텍스에서 합성하고 프로세싱을 하듯이 말 입니다.
    훨씬 간편하지요. 다만 좀 소프트한 이미지가 된 가는 것이 흠이라고 생각 합니다.
  • 어진선 2004.04.26 21:13 (*.144.103.214)
    재미있습니다.
    RAW 이미지를 얻기위해, ToUcam의 EEPROM에 있는 정보를 바꾸어 주어야 함으로, EEPROM에 정보가 날라가면 안되기 때문에, 미리 원래 정보를 저장해두어야 합니다.

    EEPROM을 설정하는 프로그램으로 RAW 이미지를 얻어 내는 군요.

    대단하십니다. 이런 정보를 얻어내서 시도를 하시다니요.

    g의 이미지는 raw 이미지는 아니지만, color 이미지에 대한 파라미터 값을 옵티마이지 해놓은 매크로를 돌려서 찍는 것 같습니다.

    즉, RAW 이미지로 컬러로 처리한 것은 D가 최종입니다.

    홈페이지를 읽어 보시면 다들 아시겠지만, 저같이 읽어보지 않고 궁금해 하는 사람이 계실 것 같아 조금 첨부해 보았습니다.
  • 어진선 2004.04.26 21:15 (*.144.103.214)
    G 이미지의 셋팅 내용입니다.
    3) 'Set OPTIMIZED COLOR (NON RAW) Mode AND Special Factory Settings'
    That's the new NON RAW macro for color CCD's, without decoding needed, but with the advantages of RAW macros like Sharpness and offset to zero for less noise, less artifacts and better low light :o)))
    With this mode, you can work exactly as before, and the only difference with real RAW Color mode is the impossibility to try a better RAW decoding than the internal webcam original decoding...
    (Theorically, a good Color RAW decoding can improve lightly the final resolution of the picture)
    - In this case, there is no RAW activating, no color gain adjusting, no special matrix, only offsets and vertical and horizontal gain are set to zero...
    - For the "factory settings", that's almost the same as other macros, but the White/Bal adjusted to have good final colours :o)
    WARNINIG, if you want to try this OPTIMIZED macor on a Vesta webcam, and if you tried first the Color RAW mode, you need to execute a 'Restore Original Datas and Factory Settings' macro BEFORE to execute the optimized macro, to restore original colour pre-matrix gain...
    (no risk foor the webcam, but if you don't do that, you will have B/W pictures)

  • 최승용 2004.04.27 09:16 (*.255.244.57)
    저도 어진선님의 댓글을 첨부하려고 했는데 파일 제목 옆에 최승용이라는 글이 생겨서 지웠습니다.
    그냥 풀어서 설명드렸지요.^^
    사실 이렇게까지 하면선 촬영을 해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어렵기도 하고 결과가 그리 만족스럽지도 않으니까요.
    다만 노이즈가 현저하게 줄어든다는 측면에서는 한번쯤 시도해 볼만 합니다.^^

  1. by 최승용

    041231_jupiter 2 file

  2. by 박정용

    신년 목성입니다. 4 file

  3. by 최승용

    041229_jupiter 5 file

  4. by 최승용

    041225_jupiter 7 file

  5. by 남기현

    목성 4 file

  6. by 박정용

    041219-JUPITER 2 file

  7. by 최승용

    041210_jupiter 5 file

  8. by 박정용

    목성재처리 6 file

  9. by 최승용

    041130_jupiter 9 file

  10. by 최승용

    041120_jupiter 6 file

  11. by 박정용

    Jupiter-041031 0 file

  12. by 최승용

    041030_jupiter 3 file

  13. by 박정용

    아직 어리고 귀여운 목성입니다. 5 file

  14. by 최승용

    040731_Jupiter 5 file

  15. by 박정용

    장마가 언제 끝이 날까요~ 1 file

  16. by 박정용

    지리한 장마의 시작입니다. 3 file

  17. by 박정용

    이제는 아쉬운 목성입니다. 4 file

  18. by 박정용

    지난 5월 22일 안산의 목성입니다. 5 file

  19. by 박정용

    지난 5월 17일 안산 일대학의 목성 1 file

  20. by 지승용

    5월 1일 목성 0 file

  21. by 최승용

    040501_jupiter 2 file

  22. by 박정용

    목성 1세트 1 file

  23. by 최승용

    040428_jupiter_rotation 3 file

  24. by 박정용

    4월 28일 목성 6 file

  25. by 최승용

    040428_jupiter 3 file

  26. by 최승용

    040427_jupiter 3 file

  27. by 육호준

    4/27일 계남공원의 목성 3 file

  28. by 박현권

    [re] 040425_test_raw 4 file

  29. by 최승용

    040425_test_raw 7 file

  30. by 최승용

    040425_jupiter 2 file

  31. by 박정용

    4월23일 목성 1 file

  32. by 어진선

    4월24일 목성 1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23 Next
/ 2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