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Jupiter
2004.04.26 17:39

[re] 040425_test_raw

(*.126.9.12) 조회 수 1197 추천 수 82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최승용님의 무한한 탐구심과 노력에 존경을 표합니다.


요즘 병이 하나 생겼네요.
바로 흑백이미지 만 보면, 색깔 입히는 병이요.

위 이미지는 b이미지에 e이미지로 색상을 lrgb로 재현한 이미지 입니다.
굳이 e이미지를 이용한 이유는 lrgb합성시 resolution은 전적으로 L영상에만 영향을 받고, e이미지의 resolution은 전혀 반영되지 않는다는 걸 보여주기 위해서 입니다.
만약 평균을 내었다면, 원래 b이미지의 resolution이 많이 떨어졌겠지요. 색감도 회색과 원래색 중간쯤이었을 꺼구여.


다르게 말하면, 색상 정보를 이용할 이미지의 해상도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흑백 영상이라도, 정성들여 선명하게 잘 찍을 수 있다면, 이를 color복원하는거는 어려운 일이 아니고, 예전에 찍어두었던 색감만 제대로 표현된 삐리리한 이미지라도 이용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언제 시간나면, 저도 Raw모드 촬영에 동참하고 싶습니다.
재미있는 분야일거 같습니다.

>040425_test_raw
>
>새로운 방법으로 이미지들을 찍어 보고 있습니다.
>그 새로운 방법이란 다름이 아니고 일반적으로 찍는 CCD이미지를 raw 이미지로 바꾸는 작업을 하는 것 입니다.
>물론 찍을 때부터 raw 이미지로 찍어야 합니다.
>
>a는 원본 이미지 입니다.
>b는 a를 이미지 프로세싱을 한 것 입니다.
>c는 a를 찍었던 원본 동영상을 raw color 이미지로 바꾼 원본 이미지 입니다.
>d는 c를 이미지 프로세싱을 한 것 입니다.
>e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찍은 원본 입니다.
>f는 e를 이미지 프로세싱 한 것 입니다.
>g는 non color 이미지 입니다.
>h는 g를 이미지 프로세싱 한 것 입니다.
>
>a를 2번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거치면 d가 됩니다.
>노이즈가 많이 감소는 했지만 콘트라스트가 좀 떨어집니다.
>그리고 이미지가 좀 부드럽습니다.
>반면에 b는 raw 이미지 프로세싱한 것인데 훨씬 콘트라스트가 높습니다. 이런 이미지에 칼라면 좋겠지요.^^
>
>그리고 마지막의 non color 이미지는 decoding이 필요하지 않은 방법 입니다.
>
>raw 이미지로 찍으면 반드시 color로 decoding을 해 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raw 이미지는 반드시 흑백으로 보입니다.
>
>노이즈가 많이 감소하는 대신 콘트라스트가 떨어지는 점이 아직 머뭇거리게 하는 점 입니다.
>
>이런 모든 프로그램은
>
>http://arnholm.org/astro/index.htm
>
>이곳에 가시면 받으실 수 있습니다.
>
>물론 모두 무료이지만 사용상 발생하는 모든 하자에 대하여는 본인이 책임을 져야 합니다. 당연 하겠지만....^^
>
>아직 제가 더 많은 공부를 해야 하는 관계로 자세히 적지 못 합니다.
>여러분들이 저보다 더 열심히 해 보시고 저에게 알려 주시면 더욱 고맙겠습니다.^^
>
>여기에 사용된 이미지는 모두 2004년 04월 25일 일요일 안산 일대학 주차장에서 촬영된 것 입니다.  
>충분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하지 못했고 관측 당시의 투명도와 시상이 그다지 좋지 못하여 완벽한 테스트는 아닙니다.
>다만 현재 세계적으로 몇몇 웹켐 사용자들이 이런 raw 이미지를 이용한 방법으로 이미지를 찍어서 보고를 하는 것을 보고 우리나라에서도 누군가는 해야할 것 같았습니다.
>행성만을 보는 저로써는 상당히 구미가 당기는 과제였습니다만 시기상 건강상 문제가 있었습니다.
>나머지는 모두 여러분의 몫입니다.^^
>다음 행성 시즌에는 모두 멋진 이미지들을 건지시길 바랍니다.
>테스트는 계속 되어야 한다.!!!!!!!
>
  • 최승용 2004.04.26 17:49 (*.255.244.57)
    이미지가 바로 바뀌었군요.^^
    이런 좋은 방법이 있었군요.
    아직 전 이런 방법을 모릅니다.
    전 무지 고지식 합니다. 아는 방법으로만 합니다. 가는 길이 멀어도 먼길만 아니까 먼길로 만 갑니다.^^ 참 답답하지요.
    그런데 현권님의 방법은 흑백 사진에 칼라를 입히기는 했지만 노이즈를 없애는 문제는 없애지를 못하는 것 같습니다.
    d 이미지는 노이즈가 현저하게 줄어든 이미지 입니다. 물론 잘 찍힌 이미지는 아니지만...
    흑백 ccd를 하나사서 목성을 촬영해서 그동안 가지고 있던 칼라를 입힌다면 좋은 이미지를 얻을 수도 있겠군요.
    그래서 st-5로 좋은 행성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것 이군요.^^
    아무튼 여러가지 방법을 실험 하고 있습니다만 아직 흑백 이미지는 실험 하지 못했습니다. 흑백 ccd가 없어서....
    흑백에 칼라를 입히는 방법도 알고 싶습니다.^^
  • 박현권 2004.04.26 17:58 (*.126.9.12)
    흑백에 칼라 입히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스텔라 이미지에서 [합성]-[LRGB합성]을 선택하고,
    L영상과 Color영상을 각각 선택해주면 됩니다.
    만약 두 영상의 위치나, 크기나, 각도가 틀리다면,
    대화상자 내에서 보정해 줄 수 있구요.
  • 최승용 2004.04.26 18:05 (*.255.244.57)
    스텔라 이미지에서 커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힘좀 서 보세요.^^
    일본어를 모르는 까막눈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 주세요^^.
  • 이건호 2004.04.28 07:54 (*.101.108.100)
    STLIMG4 폴더에 가셔서...
    sigcve.ocx를 드래그해서...
    regsrv32.exe에 드롭해 보세요.
    그러면 커브를 사용하실수도 있을지 모릅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544 Jupiter 가니메데 목성식 2 file 2005.04.18 1031 윤홍선
543 Jupiter [수서] 3-31 Jupiter 7 file 2004.04.01 897 박현권
542 Jupiter [분당]4-9 목성 2 file 2004.04.10 1018 박현권
541 Jupiter [분당] 목성 (재처리) 1 file 2004.04.04 925 박현권
540 Jupiter [re] 3월 18일 목성 4 file 2004.03.19 673 육호준
539 Jupiter [re] 1/25일 계남공원의 목성과 토성 입니다. 1 file 2004.01.27 735 최승용
» Jupiter [re] 040425_test_raw 4 file 2004.04.26 1197 박현권
537 Jupiter [Meade 8inch] Jupiter 20160409 4 file 2016.04.10 292 김승남
536 Jupiter Saturn & Jupiter 2020_0708 1 file 2020.07.09 149 김영렬
535 Jupiter Saturn & Jupiter 2020_0704 file 2020.07.06 97 김영렬
534 Jupiter Saturn & Jupiter 2020_0704 2020.07.06 48 김영렬
533 Jupiter NX500 목성 촬영 테스트 2 file 2015.05.03 616 박성래
532 Jupiter Jupiter_Saturn_2020_0817 file 2020.08.18 105 김영렬
531 Jupiter Jupiter_2020_0819 file 2020.08.20 102 김영렬
530 Jupiter Jupiter_2019_0729 2 file 2019.07.30 175 김영렬
529 Jupiter Jupiter_2019_0702 file 2019.07.03 120 김영렬
528 Jupiter Jupiter_2019_0624 1 file 2019.06.25 87 김영렬
527 Jupiter Jupiter_2019_0622 file 2019.06.23 107 김영렬
526 Jupiter Jupiter_2019_0612 file 2019.06.15 101 김영렬
525 Jupiter Jupiter_2019_0605 file 2019.06.06 160 김영렬
524 Jupiter Jupiter_2018_0629 file 2018.06.30 132 김영렬
523 Jupiter Jupiter_2018_0624 file 2018.06.24 109 김영렬
522 Jupiter Jupiter_2018_0616 6 file 2018.06.17 214 김영렬
521 Jupiter Jupiter_2018_0608 2 file 2018.06.09 108 김영렬
520 Jupiter Jupiter_2018_0601 4 file 2018.06.02 132 김영렬
519 Jupiter Jupiter_2017_0611 8 file 2017.06.12 163 김영렬
518 Jupiter Jupiter_2017_0524 4 file 2017.05.25 101 김영렬
517 Jupiter Jupiter_2017_0316 2 file 2017.03.17 115 김영렬
516 Jupiter Jupiter_2017_0303 5 file 2017.03.04 83 김영렬
515 Jupiter Jupiter_2016_0331 5 file 2016.04.02 145 김영렬
514 Jupiter Jupiter_2016_0319 애니메이션 5 file 2016.03.25 128 김영렬
513 Jupiter Jupiter_2016_0319 9 file 2016.03.19 162 김영렬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3 Next
/ 2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