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Jupiter
2004.02.13 04:45

040211_Jupiter

(*.162.8.146) 조회 수 1103 추천 수 88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04년 2월 12일 00시 44분(Central USA)
2004년 2월 12일 15시 44분(KST)


Celestron Advanced C10-NGT
Celestron 10" Newtonian Reflector (D=254mm, f=1200mm, F:4.7)
Celectron CG-5 GT EQ mount
5X Powermate, ToUcam


사진을 보면 목성 가장자리로 물결처럼 패턴이 반복해서 나타납니다.  약간만 언샵을 주어도 나타나니까 언샵을 주기가 곤란합니다.
블러를 다시 주는 것은 디테일을 손상시키니 마찬가지고.  전에는 없었는데, 요즘은 왜 항상 그런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이유나 처리 방법을 아시는 분 안계신가요?
  • 최승용 2004.02.13 09:02 (*.187.167.129)
    대기의 흔들림이 심할 때 이런 현상이 나타나더군요.
    즉, 싱이 안정되지 않아서 목성의 크기가 변하는 것이지요. 초점이 맞은 상태와 맞지 않은 상태는 크기도 변하지요. 그러면 이렇게 많은 장수를 합성 하면 결국 크고 작은 이미지들이 합성이 되어서 결국 이런 물결 무늬가 생기는 것 같습니다. 제 경험상 그렇다는 것 입니다.^^
    그래도 멋집니다.^^
  • 김상욱 2004.02.13 09:36 (*.79.222.171)
    사진 좋습니다.
    제 6인치 막스토프는 날카로운 맛은 있지만
    구경이 작아서인지 세부 묘사를 살리는데는 아무래도 어렵더군요.
    최소한 8인치, 적어도 10인치 이상은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자가 뽐부질 해봅니다.^^
  • 박현권 2004.02.13 13:43 (*.126.9.12)
    모두들 상향 평준화 되는데, 저만 제자리 걸음이네엽.
    사진 좋습니다.
  • 김영렬 2004.02.13 23:13 (*.162.8.146)
    말씀 감사합니다. 제 생각에도 일단은 상이 안정되지 않은 것이 합성이 되면서 이상을 일으키는 것 같습니다. 결국 시잉이 좋아야 겠네요. 다만 비슷한 시잉에서 전에는 별로 못 느꼈는데, 요즘 특히 더 그런 것 같아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행성사진에도 아닌게 아니라 구경이 보통 8 인치 이상은 되야 한다고 저도 생각합니다. 사실은 딥스카이도 그 정도 이상이 좋은 것 같습니다. 물론 정밀급 소형 망원경은 날카로운 성상 등 다른 좋은 면이 있지요. 제가 트라페지움을 9.25 슈미트 카세그레인과, 지금 10인치 반사로 찍어 보았는데, 4인치 굴절로 찍은 것처럼 이쁘지 않더군요. 성상이나 별의 색상 등이 굴절만 못했습니다.(트라페지움을 망원경 비교에 이용하였지요.^^)

  1.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