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oon
2008.01.10 15:32

Tycho의 여명

(*.27.253.207) 조회 수 2682 추천 수 194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천문대에 내려왔으나 날씨도 별로이고 화성도 멀어져만 가고 월령도 안좋고... 예전에 촬영하여 버려두었던 이미지를 찾아 프로세싱한 것으로 화질은 그다지 만족스럽지 않습니다만 막 떠오르는 Tycho의 징글징글한 여명 풍경이어서 게재해 봅니다.

Tycho는 달의 남부 고원지대의 핵심을 이루는 유명한 크레이터로 1억 8백만년 전에 생성된, 비교적 젊은 크레이터로 되어 있습니다. 직경은 85km, 깊이 4.8km로서 저배율로 보이는 특유의 방사형 빛다발로 유명합니다만, 1968년 무인탐사선인 서베이어 7호가 착륙하여 얻은 샘플 조성에 따라 더더욱 흥미로운 사실이 알려졌습니다.

1억6천만년 전 직경 170km 정도 크기의 소행성이 파괴되어 수많은 산(山) 만한 파편들로 흩어져서 돌아다니다가 태양계의 여러 행성/위성들에 떨어져 상처를 남겼는데 그 집단을 흔히 Baptistina 그룹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 현재 살아남아 있는 가장 큰 덩어리는 298 Baptistina로서 직경 18~30km 사이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그 Baptistina 그룹의 한 조각이 1억 8백만년 전 달에 떨어진 것이 Tycho이고, 다른 한 조각은 6천 5백만년전 지구에 떨어져 멕시코 유카탄 반도의 Chicxulub 크레이터를 만들면서 공룡을 멸종시켰을 것이라는 이론입니다.

Tycho를 볼 때마다 경외감과 더불어 두려움을 느끼게 되는 이유입니다.

2007. 12. 18. 20:14:02 ~ KST
Albireo
  • 김상욱 2008.01.10 16:09 (*.55.40.75)
    자세한 설명이 곁들여져 있어 보는 재미가 더합니다.^^
    사진을 보고 있으려니 티코을 중심으로 7시 방향에 보이는 크레이터의 그림자가 좀 특이합니다.
    티코처럼 반달 모양이 아니고 말발굽 모양입니다. U자 모양.
    크레이터의 내부가 언덕처럼 부풀어 올라 있나 봅니다. 그림자가 안 지는 걸 보니.
    아니면 햇빛의 방향이 절묘해서 그런건가요. 잘 모르겠네요. ^^
  • 선숙래 2008.01.10 18:21 (*.120.130.166)
    재미있는 설명입니다.일단 내가 1억년전에 안살았기에 다행입니다.
    얼마전 러시아 자연사 박물관전에서 본 공룡들이 생각납니다.
    그리고 4번씩이나 지구에서 생물이 거의 없어질뻔 했더군요.
    지구상의 생물 참! 질긴 생명들입니다.
  • 박정용 2008.01.11 12:36 (*.78.14.130)
    아주 선명한 티코군요.
    중심부에 솟은 봉우리와 그림자가 뚜렷합니다.
  • 최승용 2008.01.12 09:40 (*.78.47.13)
    그림자에 의한 봉우리의 솟아 오른 모습을 보면 참 신기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도 여러번 찍어 보았지만 찍을 때마다 달라 보였지요.
    멋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252 Moon Darwin 2 file 2007.12.23 2114 윤홍선
251 Moon Alphonsus 5 file 2007.12.25 2278 윤홍선
250 Moon 새해 첫 달 (하현) 9 file 2008.01.02 2001 강문기
» Moon Tycho의 여명 4 file 2008.01.10 2682 윤홍선
248 Moon 하현 9 file 2008.01.21 2599 황인준
247 Moon Petavius인근 4 file 2008.01.25 2753 황인준
246 Moon 080126-Moon 3 file 2008.01.28 2317 박정용
245 Moon Fracastorius 1 file 2008.01.28 2408 윤홍선
244 Moon 상현달 3 file 2008.02.16 2308 선숙래
243 Moon 상현 달 3 file 2008.02.18 2139 권기식
242 Moon 상현달 5 file 2008.02.18 2390 박성래
241 Moon 정월대보름달... 7 file 2008.02.22 2602 신범영
240 Moon 상현 반달 9 file 2008.03.15 2918 강문기
239 Moon 하늘에서 본 하늘 2 5 file 2008.04.17 2819 임상균
238 Moon 보름-2일 달 12 file 2008.04.20 2464 강문기
237 Moon Moonage 6.2 4 file 2008.05.12 2555 황인준
236 Moon 080601_27.0달의 월출 10 file 2008.06.02 2391 김호섭
235 Moon moon27.4_080730 2 file 2008.07.31 2323 김호섭
234 Moon 080823_moon 8 file 2008.08.25 2030 최승용
233 Moon 080823_Moon detail 11 file 2008.08.25 2615 황인준
232 Moon 광덕산 한가위 보름달 3 file 2008.09.15 1895 신범영
231 Moon 추석대보름 전날 4 file 2008.09.16 2176 고창균
230 Moon 무심코 찍어본 moon 4 file 2008.10.10 1962 이상희
229 Moon Aristrchus & schreter 10 file 2008.10.15 2608 황인준
228 Moon 오랜만의 달 3 file 2008.11.12 1623 권기식
227 Moon 의미있는 보름달(음력 10.15)~~ 4 file 2008.11.13 2139 조용현
226 Moon 달 6매 모자이크 11 file 2008.11.22 1680 권기식
225 Moon moon [음력11.8] 9 file 2008.12.06 1666 이상희
224 Moon 하현반달 (+나머지반쪽) 9 file 2008.12.19 1720 강문기
223 Moon 쿼드러플_081231 5 file 2008.12.31 1881 김호섭
222 Moon 2009 기축년 첫 만월~~ 5 file 2009.01.11 2022 조용현
221 Moon Moonage 10.8 6 file 2009.02.06 1556 황인준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