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oon
2007.12.23 04:43

Darwin

(*.36.215.21) 조회 수 2114 추천 수 225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매우 독특하게 생긴 크레이터로 이러한 부류를 “벽으로 둘러쌓인 평원(walled plain)"이라 부르기도 하는 모양입니다. 사진에서와 같이 Darwin은 인근의 다른 크레이터들에 의해 혹독하게 파괴되어서 크레이터보다는 말마따나 얕은 벽으로 둘러쌓인 분지와도 같아 보입니다. 그나마 서쪽, 동쪽의 벽은 남았으나, 남쪽, 북쪽 끄트머리는 거의 완전히 무너져 내렸으며, 한줄기 또렷한 rill(=Rima Sirsalis)이 Darwin의 북쪽(사진에서 5시 방향)을 횡축으로 가로지르는 재미있는 모양새를 하고 있습니다. 월령 14일의 달에서 꽤나 재미있는 대상을 건졌습니다. 울렁거리는 시상에 달무리까지 더해져서 높은 고도의 잇점을 무색케 하는 아쉬운 밤이었습니다.

* Rima Sirsalis에 대한 부연

오늘 새벽에 촬영했던 Darwin 크레이터 주변부 사진에 보이는 rill(=rille) 시스템에 대해 부연하고자 합니다. 위 사진에서 "화살표 머리"로 표시된 rill이 Rima Darwin으로서 총 길이는 280km로 되어 있습니다. 한편 Rima Darwin과 거의 수직으로 만나게 되는 장대하고 선명한 riil(긴 화살표로 표시)이 Rima Sirsalis로서 월면에서 발견되는 rill 시스템 중 가장 긴 축에 속합니다 - 사진 상에는 나타나있지 않지만 좀더 북쪽으로 Sirsalis 크레이터에 이르기까지 380km를 사행하고 그 너비 또한 3.5km에 달합니다(아래 사진 참조).

이러한 월면의 rill은 지표면 아래에 마그마가 흐르는 도랑, 말하자면 "dike"에 의하여 지각이 두쪽으로 갈라져 벌어지면서 단층이 생기고 지면이 내려앉은 형태로 추정되어지고 있습니다. riil은 전체 도랑을 일컫고 rill의 내측벽은 단층, 바닥은 graben이라고 부릅니다. 결국 달의 화산활동의 일환으로 생긴 구조물인데 주변부를 아무리 봐도 volcanic cone 따위는 보이지 않습니다. 이 분야의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르면 달의 지표면 100km 깊이로부터 유래되어 솟아오른 마그마가 지표면 2.4km 깊이까지 치고 올라와서 폭 500m 정도의 dike을 만들었고, 이로 인해 지각이 갈라져 확장되면서 그 흔적을 드러낸 것이 Rima Sirsalis라고 합니다.

Rima Sirsalis는 달표면에서 가장 강력한 자기장이 감지되는 곳으로도 유명한데 아마도 지면 아래 dike 속을 흐르던 마그마가 굳어, 그 속에 다량 함유된 철분의 영향일 것으로 단지 추측되어질 뿐입니다.

2007. 12. 22. 23:07:10 ~ KST
Albireo
  • 전영준 2007.12.23 12:25 (*.238.80.182)
    대구경이라 디테일이 참 좋아보입니다.
    지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어 더 흥미롭네요..
  • 박정용 2007.12.23 17:20 (*.189.54.144)
    요즘 시상이 별로 좋지 않았을텐데 사진 좋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348 Moon [2006/09/29] 월령 6.4일 2 file 2006.09.30 1513 박성준
347 Moon 2010 첫 월령 16.3일 ~~~ 2 file 2010.03.07 1500 조용현
346 Moon 코페르니쿠스-5월 19일 3 file 2005.05.20 1499 박영식
345 Moon 또 달... 4 file 2006.08.13 1489 김상욱
344 Moon [2006/09/08] 부분월식 3 file 2006.09.11 1487 박성준
343 Moon 초승달, 국제 우주 정거장 (ISS), 그리고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 (Discovery)호 2 file 2011.03.16 1487 염범석
342 Moon 아주 특별한 Moon-rising 3 file 2010.09.29 1480 공준호
341 Moon 041006_alphonsus brothers 17 file 2004.10.06 1475 최승용
340 Moon 2006년 5월 8일 달 - 플라토(Plato) 1 file 2006.05.09 1474 남기현
339 Moon Moon of Mok-Dong 5 file 2005.01.25 1471 추현석
338 Moon 050619_moon_invert 2 file 2005.07.08 1469 최승용
337 Moon Color of the Moon 2 5 file 2011.03.18 1468 박영식
336 Moon Aristarchus file 2011.04.18 1465 박영식
335 Moon 하현달 3 file 2004.08.11 1464 김영렬
334 Moon 구름속의 산책 3 file 2011.08.12 1464 조영현
333 Moon 050714_moon_11 4 file 2005.07.15 1463 최승용
332 Moon 어린 달과 지구조 6 file 2004.11.16 1459 윤홍선
331 Moon 월령 11.7 6 file 2009.10.05 1452 임재식
330 Moon Moon 2003-5-10 (C) file 2003.06.03 1451 이건호
329 Moon 지구조(Earthshine) 4 file 2006.03.07 1448 염범석
328 Moon Moon 2003-5-10 (B) file 2003.06.03 1443 이건호
327 Moon 050925_moon_12 2 file 2005.09.26 1443 최승용
326 Moon 20030707상현(미니보그 촬영) 6 file 2003.07.07 1435 남명도
325 Moon 050129_moon_com_40 11 file 2005.01.31 1435 최승용
324 Moon 달~~~ 임다. 7 file 2003.07.17 1433 최훈옥
323 Moon 2010년 1월 1일... 부분월식... 5 file 2010.01.04 1431 박영식
322 Moon 041030_moon_16.4 5 file 2004.11.01 1430 최승용
321 Moon 만월 - 2003년 4월 16일 1 file 2003.04.17 1425 이건호
320 Moon 050519_moon_53_75p 8 file 2005.05.23 1421 최승용
319 Moon 달-5월18일 00:33 4 file 2003.05.18 1410 이경화
318 Moon 개기월식전의 달 2 file 2011.12.12 1410 이상헌
317 Moon 03622 Parrot, Arzachel, Alphonsus, Ptolemaeus & Rupes Recta 2 file 2003.06.22 1408 김상욱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