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09.120.147) 조회 수 1972 추천 수 157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월령 17일이라 딱히 주제로 삼을만한 대상이 많지 않았습니다. 위 사진은 위난의 바다 동쪽벽을 확대해 본 모습으로 사진 우측 하단의 큼지막한 크레이터 이름이 Condorcet 이라고 되어 있네요. 아래 사진은 풍요의 바다 한 가운데 나 있으면서 볼 때마다 꼭 혜성을 연상시키는 메시에A 를 게인 듬뿍 낮추고 바라본 것입니다. 볼품도 없고 재미도 없는 사진이어서 따로 올리기 죄송해서 한꺼번에 올려 봅니다. 어서 달의 고도가 높아졌으면 좋겠습니다.

사진 1: 2006년 8월 11일 새벽 1시 42분 51초~42분 40초
사진 2: 2006년 8월 11일 새벽 1시 40분 21초~41분 10초
충남 아산
ALPO Seeing Scale: 7/10, Transparency: 4/10
Takahashi μ-300 (12-inch Dall-Kirkham, F11.9) at F23.8 using TeleVue Powermate x2
Lumenera LU075

다음은 Messier 와 Messier A 에 대한 간략한 설명입니다.

풍요의 바다(Mare Fecunditatis) 복판에 위치하고 있는 매우 독특한 모양새의 한 쌍의 크레이터입니다. 동쪽의 크레이터(위 사진에서 좌측 하단의 작고 밝은 타원형의 크레이터)가 Messier, 그리고 그로부터 서쪽으로 20km 남짓 떨어져 있는 크레이터(위 사진에서 Messier의 1시 방향으로 근접해 있는 크레이터)가 Messier A입니다. Messier A로부터 나 있는 빛줄기는 풍요의 바다를 가로질러 무려 120km나 서쪽 방향으로 뻗어 있어 마치 혜성을 연상시킵니다.

Messier는 통상적인 크레이터와는 달리 타원형으로서 깊이 1,250m, 장경 11km, 단경 8km로 알려져 있습니다. Messier A는 옛날에는 Pickering이라고 불리웠던 것으로 11x13km로 Messier보다 약간 더 큽니다. Messie A는 얼핏 하나로 보이지만 위 사진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Messier A의 서쪽 벽 부분(사진 상 12시 방향)이 두 겹으로 되어 있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아폴로 오비터가 촬영한 근접사진을 보면 좀더 분명해 지는데, 오래된 크레이터 위에 새로운 크레이터가 오버랩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Messier A의 동쪽 벽은 매우 밝고 가파른 반면 서쪽 벽은 상대적으로 어둡고 완만해 보입니다.
http://www.maa.agleia.de/Messier/E/Xtra/m-crat1.html

어떻게 이와 같은 모양새가 되었을까요? 확실치는 않으나 운석이 달의 지평선과 4도 이내의 매우 얕은 각도로 충돌한 결과로 추정되어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먼저 Messier가 만들어졌고 동일 운석의 파편에 의해서 Messier A와 이어 서쪽으로 긴 빛줄기가 생성되었을 것이라는 가설입니다. 한 연구에 의하면 운석의 충돌 당시 속도가 대략 1.7km/s였다면 이와 같은 결과를 낳았을 것이라는 것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습니다.
  • 박성준 2006.08.12 09:11 (*.136.156.253)
    위난의 바다 이미지는 달의 지형을 정말 입체적으로 보여주는군요!
  • 윤홍선 2006.08.12 10:14 (*.109.120.147)
    말씀하신 대로 월면의 가장자리가 입체적이긴 한데 왠지 시상의 영향을 훨씬 더 많이 받는 것 같이 보이더군요. 멀미 유발 가능할 것 같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540 Moon 추석 다음날 달... 3 file 2010.09.24 1294 박영식
539 Moon 초승달과 지구조 (Crescent Moon and Earthshine) 2 file 2010.12.10 1797 염범석
538 Moon 초승달과 지구조 file 2017.12.24 194 염범석
537 Moon 초승달_화성_금성_2017_0201 file 2017.02.02 97 김영렬
536 Moon 초승달, 국제 우주 정거장 (ISS), 그리고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 (Discovery)호 2 file 2011.03.16 1487 염범석
535 Moon 초승달, 80mm F5굴절 + PL25mm file 2003.04.07 2087 조윤호
534 Moon 초승달 10 file 2007.12.16 1982 강문기
533 Moon 초생달, 2003년 3월 9일 file 2003.05.10 1741 박병우
532 Moon 천왕성과 개기월식 2 file 2022.11.09 143 황인준
531 Moon 처음찍는 구역 2 file 2016.01.16 130 김종호
530 Moon 지구조(Earthshine) 4 file 2006.03.07 1448 염범석
529 Moon 지구조 1 file 2004.12.09 1212 이건호
528 Moon 좀처럼 보기힘든 시상... 10 file 2016.01.16 181 김종호
527 Moon 정월대보름달_060212_중계동 7 file 2006.02.13 1850 신범영
526 Moon 정월대보름달... 7 file 2008.02.22 2602 신범영
525 Moon 정월 대보름 달입니다. 9 file 2004.02.06 857 박현권
524 Moon 정월 대보름 달 10 file 2005.02.24 1043 김승남
523 Moon 저도 달입니다. (도심의 달) file 2004.07.31 983 박현권
522 Moon 자작 160mm 돌커크햄 6 file 2016.02.18 541 김종호
521 Moon 의미있는 보름달(음력 10.15)~~ 4 file 2008.11.13 2139 조용현
» Moon 위난의 바다 동쪽벽. 메시에A 2 file 2006.08.11 1972 윤홍선
519 Moon 위난의 바다 file 2006.09.10 2448 윤홍선
518 Moon 위난의 바다 file 2016.06.11 152 김종호
517 Moon 월식의 색깔 2 file 2018.08.04 211 김상욱
516 Moon 월면 산책... 5 file 2017.04.04 194 박영식
515 Moon 월령7.1(2004.12.19.) 4 file 2004.12.22 723 김시태
514 Moon 월령17.7의 월출~~~ 3 file 2009.10.06 1719 조용현
513 Moon 월령 8.3일의 달 5 file 2009.12.26 1524 권기식
512 Moon 월령 7일의 달입니다. file 2003.05.10 1622 문병화
511 Moon 월령 7.1일의 달입니다(모자이크 합성) 8 file 2016.06.17 169 김도익
510 Moon 월령 6.5일 3 file 2013.10.15 684 임재식
509 Moon 월령 6.2일(2014.3.7) 3 file 2014.03.07 874 임재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